대학에 가는 AI vs 교과서를 못 읽는 아이들 - 인공지능 시대를 위한 교육 혁명
아라이 노리코 지음, 김정환 옮김, 정지훈 감수 / 해냄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지털 보다는 아날로그를 더 선호하는 나로서는 과도한 기술 개발은 좀 불안하다.
얼마 전 세상을 떠난 스티븐 호킹박사는 지구종말은 빙하시대의 도래나 우주에서 날아오는
암석과의 충돌이 아니라 AI의 출현이 될 것 이라고 예견했다.
영화 '터미네이터'를 보더라도 인간이 개발한 로봇이 결국 인간을 공격하고 멸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과연 영화속 이야기만이 될 것이라고 누가 단언하겠는가.
알파고가 바둑의 고수들을 차례로 격파했고 IBM이 개발한 인공지능 로봇이 퀴즈대회에서
우승했다는 보도가 불안한 미래의 전조는 아닐지 걱정스럽기만 하다.


 


그럼에도 인간들은 도전을 멈추지 않는다. 무엇을 위해서? 더 안락한 생활을 위해서?
잘 모르겠다. 어느 순간 멈추지 못하는 폭주기관차처럼 인류가 도달해보지 못한 그 어떤 것을
향해 무작정 돌진하고 있는 것은 아닐지 생각이 많아진다.
여기 어찌보면 무모하다 싶은 도전을 하는 사람이 있다.
2011년 일본에서 시작된 인공지능 로봇 '도보로군'의 도쿄 대학 입학 프로젝트!
10년에 걸쳐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이미 AI라고 통칭되는 인공지능은 우리생활 깊숙히 들어와있다.  지금 우리가 일하고 있는 직종들이 AI의 등장으로 절반 이상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다고 한다. 실제로 공장견학을 다녀보면 사람들의 모습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자동화고 착착 물건이 만들어지고 있고 아주 소수의 사람들이 컴퓨터를 작동시키거나 관리하는 정도였다. 이렇게 사람들이 할 일이 줄어든다는 것은 좋은 현상인가.


 


인공지능, 즉 컴퓨터가 내장된 AI의 학습의 원리는 바로 수학이다. 하지만 이 세상의 모든 원리가
이 수학으로만 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분명 컴퓨터의 한계가 있다.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할까.


 


'도보로군'의 대학 입학 프로젝트를 보면 수식으로 치환된 통계를 입력시키고 무한 반복을 통해
학습을 한다. 하지만 그 것으로만 뛰어 넘을 수 없는 많은 한계가 있었다.
인간의 뇌과학을 뛰어 넘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렇게 AI에게 빼앗기는 수많은 일자리중에 그래도 10~20년 후에도 남아 있을 직종이 있어서
안심이 된다. 대부분이 감성이 요구되는 직종들이다. 기계적으로 환산할 수 없는 일들이 분명 있다는 증명인 셈이다.


 


하지만 문제는 그뿐만이 아니다. 이렇게 AI가 진보하고 있는 반면 인간들의 뇌는 어떤 면에서
도태되고 있다는 것이다.  많은 것들을 기계에 의존하고 살고 있는 아이들이 오히려 독해력이
떨어지고 뇌를 활용하는 일들이 점점 없어지는 것은 언젠가 AI에게 잠식당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닐까.
저자는 바로 그 점을 주목한다. 인공지능시대에 과연 우리는 어떤 교육으로 인간다움을 유지
하면서 잠식당하지 않고 살아갈 것인가.

'한줄기 광명은 있다'
그 광명의 빛 한줄기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싶다면 꼭 읽어봐야 할 책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료로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