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 접시 위에 놓인 이야기 5
헬렌 니어링 지음, 공경희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채식과 그 반대편을 뭐라 부르면 좋을까...육식? 잡식? 아무튼 둘로 나눠 어느 한쪽에 서라고 강요한다면 나는 채식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완벽한 채식주의자는 아니라서 두어 달에 한번 닭고기 가슴살을 먹는 정도고 다른 육류며 그 부산물들은 입에 대지 않는 편이다. 결혼 전 직장생활을 할 때는 구내식당의 점심 식사 자리와 회식 자리에서 혹은 교류가 깊지 않은 사람들과의 식사 자리에서 “고기는 왜 안 먹어요? 원래 안 먹었어요?”라는 질문을 숱하게 들으며 살아왔다. 기분이 좀 좋을 때면 “아기 때부터 하얀 생선살은 받아먹었는데 빨간 고기는 톡톡 뱉어냈었데요. 그러니까 태어나서부터 고기는 입에 맞지 않았던 모양이에요.”하고 대답을 하지만 매번 날아오는 질문에 일일이 대답하기에 지친 상태가 된다. 그런 나를 배려한다고 회식 메뉴를 고르는데 자꾸 내 이름이 거론되면 큰 죄를 지은 사람마냥 움츠러들게 된다. 지나친 배려가 오히려 불편할 수도 있다는 것을 몇 년을 함께 지내며 자연스레 깨닫게 돼서 나중에는 편해졌지만 말이다. 나 스스로 ‘채식주의자’라고 생각하거나 육식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채식의 장점을 떠벌리고 다닌 적이 없고 단지 육식을 좋아하지 않는 것뿐인데 나는 고기를 입에 넣고 있는 사람에게 “그런 걸 어떻게 먹어요?”라는 질문을 안 하는데 고기를 먹지 않는다는 이유로 별스런 사람 취급하며 무례한 질문을 던지는 사람들을 가끔 만난다. 식상한 질문에 뻔한 대답...하지만 이 상황을 웃음으로 멋지게 날려줄 말을 찾은 건 20대 초반에 읽었던 <아라비안 나이트>에서였다. 우연히 발견한 문장, 지금은 앞뒤 내용도 생각 안 나고 그 방대한 책 속에서 다시 그 문장을 찾을 자신도 없지만 ‘내 뱃속을 동물의 무덤으로 만들고 싶지 않다.’는 글귀였다. 예상 질문에 이런 대답을 툭 던지면 한바탕 웃음으로 넘어가곤 했었다. 
 

결혼을 하고나서 가족들의 식사를 준비하는 주부의 입장이니 육류를 빼놓을 수가 없었다. 헬렌 니어링처럼 인생의 철학과 목표와 방향이 일치하는 동지 같은 남편 스콧 니어링과 함께 산다면 모를까. 성장기 아이에게도 균형 잡힌 영양을 위한 육류는 필요하고, 남편은 고기의 질을 따질 정도로 육류를 즐기는 사람이다. 상황이 이러하니 냄새 맡기도 힘들어하던 고기 요리를 먹지는 않지만 만들어 상에 올리기는 한다. 아이 입으로 들어가는 고기가 맛있다고 하면 뿌듯해지고, 간도 안 보고 요리하는데 맛이 좋다는 남편의 칭찬에 으쓱해 하는 걸 보면 난 ‘채식주의자’ 특히 헬렌 니어링의 강경한 채식, 자연주의 식사법의 편에 설 수는 없을 것 같다. 자신의 신념과 음식과 건강한 삶에 대한 철학을 채식과 자연주의 밥상을 들어 강경한 입장을 취하는 헬렌 니어링의 글이 다소 불편했다. 채식이든 육식이든 개인이 취향 정도로 생각하고 채식 위주의 식사를 하는 내가 이럴진대 방대한 분량의 강경한 어조의 인용문을 읽어가는 내내 살인자 야만인 취급을 참아내야 하는 심기불편한 사람들이 많지 않았을까 싶다. 몇 개의 인용문을 예로 들면...

먼저 제 입을 핏덩이로 더럽히고, 제 혀를 도축된 것의 살에 닿게 하다니 대체 인간은 어떤 감정이나 마음, 이성을 가졌는지 의아하다. 움직이고, 지각하고, 목소리를 가진 것들을 죽여 그 시체 덩이를 식탁에 펼쳐 놓고, 그걸 맛좋은 식사라고 말하는 인간이 아닌가? 플루타크 
 

육식을 하는 자여, 그대는 사자, 호랑이, 구렁이를 야만스럽고 흉포하다고 말하면서, 하필이면 자기 손을 피로 물들이누나. 하지만 그런 동물에게는 살해가 생명 유지의 유일한 수단이다. 반면 그대에게 살해는 불필요한 사치이다. 왜 땅이 그대에게 먹이고 영양을 주지 못한다는 듯이 땅을 기만하는가? 그대는 존재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넘치도록 갖고 있다. 사실 우리가 사자와 늑대를 죽이는 것은 자기 방어를 위해서지 먹기 위함이 아니다. 반대로 우리는 그런 동물은 평온하게 내버려둔다. 그리고 결백하고 길들여진 무기력한 동물들을 죽이는 것이다. 플루타크

 

창자를 창자 속에 묻는 것이야말로 얼마나 기괴한 죄악인가. 탐욕스런 몸이 그 안에 밀어 넣은 다른 동물의 몸을 취해 살찌는 것은 얼마나 기괴한 죄악인가. 살아 있는 생물이 다른 살아 있는 생물의 죽음으로 인해 살아야 하는 것은 얼마나 기괴한 죄악인가. 피타고라스

헬렌 니어링과 남편 스콧 니어링은 동물착취를 최소화하는 식이요법을 실천했다. 달걀이나 우유나 치즈를 사용하는 요리 또한 없다. 요리책이라 이름붙일 수 없는 이 요리책에 소개된 요리법은 야채와 과일과 견과 씨앗에 집중되어 있다. 단맛을 위해서는 꿀과 메이플 시럽을, 간을 위해서는 극소량의 천일염 정도를 첨가물로 사용한다. 조리법은 요리할 때 참조하려고 손때를 묻힐 필요가 없을 정도로 서너 줄 분량으로 간단하고 단순하다. 육식에 대한 경계뿐만 아니라 여성들이 부엌에서 요리에 매여 있는 시간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한껏 높였다. 요리를 즐겨하는 부류가 아니라면 요리 시간을 최소화해서 나머지 시간에 음악이나 책을 읽든가 즐거운 일을 하는데 에너지를 쓰자는 페미니스트의 어조로 말이다. 강경하고 극단적인 자연주의 입장은 수용할 수 없더라도 신선한 천연의 재료와 첨가물을 최소화한 식단은 분명 건강한 삶을 위해 차용해 올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다. 요리가 고역이라 생각한다면 과감하게 부엌에서의 시간을 줄이자는 의견에도 찬성한다.  

 

세상에는 요리를 잘하는 사람과 요리를 잘하고 싶어 하는 사람, 두 종류가 있는데 헬렌 니어링 자신은 요리를 잘하지 못하면서 잘하려고 신경 쓰지 않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나는 요리를 잘하고 싶어 하면서 요리 잘하는 사람을 부러워하는 사람이다. “나는 음식을 식도로 넘겨 뱃속으로 들어가게 하는 일을 놓고 야단법석을 떠는 걸 좋아하지 않는다.”, “배설물을 만들 것에 무엇 하러 마음을 쓰겠소?”라는 잔뜩 거드름 피운 말들보다 조지프 콘라드가 아내 제시 콘라드의 요리책 <소가족을 위한 간단한 요리>(1923) 서문에 적은 ‘좋은 요리라 함은 일상생활에서 소박한 음식을 성실하게 준비하는 것이지, 희귀한 요리를 기교 있게 꾸며 내는 것을 말하지 않는다.’는 말의 소박함이 더 좋다.

‘대충 말고 철저하게 살자. 부드럽게 말고 단단하게 먹자. 음식에서도 생활에서도 견고함을 추구하자.’

자신의 논지를 뒷받침 해줄만한 방대한 양의 인용문들은 수천 권에 이르는 도서관 서가의 요리관련 서적들 속에서 찾아낸 것들이다. 엄청난 독서량과 빈틈없이 완벽하고 꼼꼼한 성격이 보인다. ‘땀 흘려 일해서 먹고 살고, 땅에서 나온 먹거리로 건강한 삶을 살고, 여가와 휴식의 즐거움을 만끽하고, 삶의 틀에 갇히기보다 삶이 존중되는 조화로운 삶’을 꿈꾸는 데만 머물지 않고 실천하는 삶을 몸소 보여준 스콧 니어링과 헬렌 니어링 부부.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자신의 신념대로 살아낸 니어링 부부의 범접할 수 없는 세계에서 난 그저 내가 실천할 수 있는 소박함만 배우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