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문학에 취하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그림, 문학에 취하다 - 문학작품으로 본 옛 그림 감상법
고연희 지음 / 아트북스 / 2011년 1월
평점 :
어렸을 적 시화전을 떠올리게 된다. 저자가 소개하고 있는 우리나라 선인들의 그림은 타인의 시들의 일부에서 전문, 혹은 약간 자신만의 해석이나 유희적인 의도에서 변형된 시들이 함께 그림을 이루기도 하고 한명의 문인이 시와 그림을 하나로 묶고 있기도 하다. 그림을 그린 선비나 화가들의 가치관과 당대의 세계관이 함께하는 책 속의 그림들 속에서 그들은 등장인물이 되기도 하고 관찰하거나, 이미지를 상상하여 구축해 가기도 한다. 저자의 시 원문 해석과 덧붙이는 설명 등 풍부한 사료와 함께 그림의 배경이 되는 역사적, 혹은 인물 설명들 덕분인지 16세기에서 19세기 초까지의 옛 그림들이 더 빛나 보인다.
나는 고그림에 완전한 무지의 상태였고 그나마 기억 속에 있는 우리 옛 그림이란, 학창시절의 교과서에서 본 게 전부인 듯하다. 그래서인지 색바랜 종이 위의 정적이고 평면적인 옛 그림이라면 저자의 이름과 그들이 자주 쓰던 소재, 혹은 시험에 나올 법한 서체의 종류와 대표 인물들이나 외고, 그리고 조금 더 나아가 감상의 포인트 정도를 생각한다면 특히 오래전 그려진 수묵화에서는 내러티브가 가장 강조된다고 무의식적으로 생각했었던 듯 하다.
하지만 우리가 시를 해석할 때는 그렇지 않다. 그 비유적 표현에 감탄하고, 소리를 문자로 옮기는 저자의 표현력과 운율 등에도 눈을 돌린다. 그렇다면 시와 함께하는 그림에서 이 또한 읽지 못할 게 무어란 말인가.
저자는 우리의 적극적인 관심밖에 있었던 시화의 그림과 시를 함께 읽기의 즐거움을 깨닫게 한다. 결코 짧지 않은 시간과 공을 들인 자료조사와 집필기간이 들었을 이 책을 만나면 또 한명의 성실하고 책임감 있는 학자 한명을 발견하게 된 데 기쁨을 느낄 것이다. 나도 모르게 주변에 책을 보여주며 소개하고플 정도로 감탄하게 된 데는 그만큼 우리가 고문학과 우리의 옛 그림에 대해 무관심했던 것을 반증하는 듯도 하다. 또 고시들을 읽으며 그림과 함께 배우는 듯한 기분은 그림을 참고로 하는 쉽게 읽을 수 있는 고문학 입문서라는 생각도 들게 한다. 어느 학문이건 입문자들을 위한 그림책들처럼 말이다. 고문학이 눈 앞에서 그림으로 펼쳐지며 한자로 씌여진 문자의 표현을 다시 들여다보게 된다.
서구예술에서는 카툰이나 플럭서스의 일련의 작업, 그리고 지금 거의 모든 디자인 등이 문자와 함께 하는 그림이라는 생각을 쉽게 할 수 있는데 우리의 옛 예술에 이렇게 문자와 함께 하는 독특하고 운치있는 예술장르가 있다는 생각을 왜 하지 못했을까. 글자와 의미의 배치를 생각해볼 수 있는 모더니즘에서 포스트 모더니즘의 여러 미술작품들을 생각해보면 우리의 옛 그림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문학적 표현과 서체, 화체가 모두 함께 어우러져 하나의 작품을 이루는 평면예술은 말그대로 시적이면서도 지금 스토리텔링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 꿈과 현실이 어우러진 자연과 삶들로 아름다움을 이루고 있었다.
내가 특별히 감동했던 책 안의 작품들은 강세황의 ‘괴석’, 이재관의 ‘오수도’ 등 여러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옛 그림과 싯구들이었다. ‘괴석’의 경우에는 돌덩이 가에 숨겨진 여린 꽃의 선때문이었는지, 움직이지 않지만 왠지 힘이 들어간 바위의 형상때문이었는지 모르겠지만 그림의 힘이 ‘변치 않는다’는 시 속의 내용과 함께 그대로 전달되어 위로가 되었고, ‘오수도’는 그림 당시의 선비들의 서재에 대한 로망처럼 책에 대한 애정이 들어있는 책배게와 ‘현실의 그림자’라는 창문과 책상과 선반 사이의 작은 틈으로 갈 수 있는 숙수념의 세계가 내게는 굉장한 매력이었다. 현실을 도피하기 보다는 숙수념의 세계로 가는 명상과 오수를 즐길 수 있는 당시의 선비들의 모습에서 그들의 삶의 태도가 느껴지기도 하고 현재 우리의 삶에 필요한 상상력과 건강한 여유를 위해서도 귀기울일만한 그림 속 이야기가 아닐까.
무엇보다 움직이지 않는 이미지에서 소리를 느끼려고 애써본 경험이 거의 없는 이들에게는 조선시대의 옛 그림에 관한 이야기에 귀가 솔깃할 것이다. 구양수의 ‘추성부’를 그린 김홍도의 ‘추성부도’가 그렇다. 구양수의 한자와 중국어 발음을 생각한 소리의 시적표현에도 감탄하게 되지만 김홍도의 그림을 다시금 영상으로 상상해보게 되는 계기가 된다. 그림 속 가을바람과 고즈넉한 낙엽 떨어지는 소리며 풀벌레 소리며 나무 사이를 흐르는 바람소리가 약간은 차다싶은 가을공기와 함께 느껴진다. 시와 함께 하였기 때문에 그림 또한 시각적이거나 촉각적인 심상만이 아닌 부분까지를 자극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우리 옛 그림, 아니 모든 그림을 대할 때 후각적이고 청각적인 부분까지를 읽어내려고 감각을 더욱 열 수 있을 듯 하다. 새가 날면 퍼덕이는 날개짓 소리와 새의 울음소리가, 물 흐르는 풍경에서는 물 떨어지는 소리가, 음식과 사람의 표정에서 후각과 미각을 예상하고 심플한 네러티브에서 그치지 않은 스토리텔링으로 나아갈 것만 같다.
이야기를 담은 그림들도 그저 기록이 아닌 캐릭터성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는 점을 세심하게 살피고 있는 저자의 연구와 칸만화를 연상하게 하는 연속화면 식의 회화 표현들의 소개만으로도 나와 같은 독자들에게는 다양한 고미술을 들여다보는 즐거움을 주기에 충분하다. 조금은 따분한 박물관의 죽은 미술로 여겼던 우리 옛 미술을 시적 표현의 문자와 그림이라는 하나의 독특한 예술장르로 생각하게 된 계기가 된 것이 가장 큰 변화가 되었다고 말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