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역사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영화는 역사다 - 한국 영화로 탐험하는 근현대사
강성률 지음 / 살림터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는 역사다’는 한국영화사중에서도 일반인에게는 조금은 관심밖일 수 있는 초기 영화사를 모든 국민이 아는 굵직굵직한 한국의 근대사를 중심으로 풀어가고 있어서 매우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책이다. 한국의 초기 영화사에 조금 관심이 있는 독자와 한국영화사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가장 최근의 재정리된 초기 한국영화사(초창기 영화~일제강점기시대)에 대한 논의를 볼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낄 것이다. 그리고 일제시대의 중심에서 친일영화에 대한 정의와 예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싶다면 국내의 친일영화의 독보적 연구가라고 할 수 있는 저자의 ‘영화는 역사다’가 도움이 될 것이라 믿는다. 저자는 친일영화를 중심으로 다룬 박사논문에서 더 나아가 한국전쟁과 군부독재를 다룬 역사영화, 그리고 2000년대의 시대상을 담은 영화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장르를 넘나들고 있는데 이는 한국영화에서 어떤 영화를 역사영화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 있다.

우리가 사극이라고 부르는 대부분의 역사영화는 왕정이후, 일제 이전의 조선까지의 역사적 사건(기록에 남아 우리가 알 수 있는 군주정부의 이야기들이 대부분이긴 하다)을 다룬 극들이 대부분이다. 저자의 구분대로 실제 역사의 사건을 토대로 시대상을 보여준다면 이는 역사영화로서의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영화에 대한 분석보다는 영화를 통해 한국근대사를 읽고, 한국영화에서 근현대사를 다룬 역사영화의 예를 제시함으로써 사극의 정의 범위를 확대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저자의 특기분야인 친일영화에 있어서는, 필름복원작업 등으로 친일영화에 대한 가부논의 또한 가장 최근 논의를 읽을 수 있어서 단언코 일제시대의 한국영화와 친일영화에 대해 공부하려는 이라면 충분히 교본이 될 것이다. ‘영화는 역사다’는 대중을 위해 매우 쉽게 풀어쓴 책이므로 일제시대의 영화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이 책을 입문서로 접한 후 저자의 박사논문을 접해보길 권한다.

‘영화는 역사다’에서 저자는 단지 억압에 의해서 친일영화가 탄생되었으리라는 단순한 이유를 넘어서 일제정책에 동화되었으리라는 친일감독의 정의에 대한 기준을 생각해보게 한다. 여기에서 일제의 문화 식민주의 정책 뿐 아니라, 현재의 일본문화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천황제 가족주의가 낳은 충성자발과 더 나아가 가미가제가 탄생하게 된 정책은 여러 일본문화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영감을 줄 것이다.

저자는 초기한국영화부터 현재까지의 영화에서 근대사를 발견하는 것을 한정짓지도, 멈추지도 않는다. 일제시대의 영화보다 덜 억압적이랄 것 없는 군부독재시대의 반공영화정책과 거기에서 탄생한 영화들, 반공영화 변종인 베트남전영화에서 조금씩 변화해서 직접 피해자로서의 상처를 드러내는 ‘우리는 제네바로 간다’, ‘하얀전쟁’, 가해자로서의 모습마저 파헤치는 ‘알포인트’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역사와 함께한 영화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영화는 역사다’라며 미래에 과거가 되고, 시대상을 담은 역사영화로서의 기능을 할 최근으 영화를 언급한 점은 매우 흥미롭다. 임순례 봉준호 감독의 영화들이 언급된 것 또한 역사적 영화로서의 가치를 그들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을 것이고 독자로서 매우 공감한다. 그러나 저자가 대중에게 조금은 접근이 어려운 한국초기영화, 그 중에서도 친일영화와 한국근대사의 어두운 부분을 담고 있는 영화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가기 위해 매우 쉽게 풀어내고 있어서 일반 독자에게 일제시대의 영화를 알리는 데는 부족함이 없으나 초기한국영화사 전체를 아우르지는 못해서 한국영화사 교본으로서는 참고용으로 적합할 것이라 여겨지고 현재의 영화들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저자의 생각이 궁금해지는 아쉬움이 남는다.


나는 저자의 언급 중 팩션영화에 대한 부분이 가장 주목해야 할 이슈라고 생각한다. 실제 사건과 영화적 상상이 결합한 팩션영화의 팩트의 재현에 대한 언급보다는 ‘이를 재현한 감독의 세계관을 짚어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저자의 언급은 의미가 있다. 역사영화의 해석에 있어 저자의 가치관을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낸 부분이기도 하다. 이 부분은 이 책의 가장 앞에서 다뤄졌어야 했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 책의 핵심주제라고 여겨진다. 역사영화 해석에서 가장 먼저 전제되어야 할 기준이기도 하고, 과도한 미디어를 소비하는, 그 중 팩션을 소비하는 대중에게 가장 어필되어야 하는 주제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드라마와, 특히 역사적 사실을 재구성한다는 사극 드라마의 경우 팩트와 영화적 상상력에 대한 비판 없이 수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팩션에 대한, 혹은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수용력에 관심이 없는 소비의 경우이다. 저자의 말대로 여기에서 팩션극에 대한 이해와 팩션극 감상과 비평에 있어서 (다소)작가주의적인 해석이 다수 등장한다면 인식의 변화가 충분할 것이라 생각된다.

이 책에서 보여주는 여러 친일영화를 접하고 그 안의 시대상, 그리고 감독의 가치관(친일 혹은 반일, 혹은 극단적 친일 등)에 따라 달라지는 영화의 내용과 미장센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봉준호의 ‘괴물’을 다시 읽으며 현재 우리의 모습은 어떻게 영화적으로 재현되었나를 생각하다보면 저자가 대중에게 개봉과 동시에 과거가 되는 한국영화들에 드러나거나 혹은 숨겨진 우리의 시대상을 보는 방법을 일러주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