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버 가족의 재회 ㅣ 빨간우체통 2
패트릭 왓슨 지음, 트레이시 톰슨 그림, 윤희순 옮김 / 박물관 / 2008년 2월
평점 :
환경에 중요함은 강조하고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음을 많은 사람들은 알것이다..
그러나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기에는 말처럼 그리 쉽지만은 않은거 같다..
어찌보면 쉽게 지킬수 있고 또한 행동할수 있는 것을 말이다. 우리의 인간으로 하여금
많은 생물들과, 동물들이 그들의 보금자리와, 삶의 터전을 잃어가고 있다.
반대로 생각하여 우리가 그들의 입장이었다면 과연 우리 인간들은 어찌 그 상황을 대처하고
모면할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이 책을 접하면서 문득 생각하게 되었다. 우리는 항상
자연의 중요함을 생각지 못하다가 어떠한 계기를 통해서 그 한순간에만 소중함을
생각하게 된다. 이 책에서는 비버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서 우리에게 가족의 소중함과
인간의 환경에 대한 잘못된 행위로 자연의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느낄수 있게
하는 또한 충분한 조사와 실화를 바탕으로 아름답게 쓰여진 유머와 역사가 잘 결합된
아이들과 어른 모두를 위한 자연을 다룬 동화이다.
이책을 통해서 비버에 대한 새로운 많은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 나에게는 또하나의 생물에
대해서 알게 해주는 과학책인듯도 싶다. 그마만큼 비버에 대한 상세한 것들을 알수 있다.
엄마를 잃은 슬픔을 겪게 되었던 비버의 가족에게 다가온 낯선 사람의 냄새.. 탐 존슨이라는
화가협회의 멤버 중 한명이며 실존 인물이기도 하다. 이야기의 끝 무렵에서 의문의 죽음을
당하지만, 비버만 모르는 사실일뿐.. 그는 누구가(밀렵꾼)에 의해 살인되어진것이다.
탐 존슨은 밀렵꾼들의 위협을 받는 위기의 상황에서 비버를 모면하게 해주고, 곧 둘은 친구가
되지만, 결국 그 밀렵꾼들에 의해 가족들과 생이별을 하게 된다.
보통 비버들은 혼자 있는 것을 싫어한다고 한다. 그런 홀로 남겨진 비버는 보통 갈색과,
검정색인 비버들과는 다른 하얀고 커다란 비버를 만나게 되고 그에 의해 새로운 정착지에
머물게 된다.. 그곳에서 비버는 많은 비버들을 만나고 새로운 가정을 이루게 된다..
비버들은 배워서가 아닌, 그저 머리속의 지침서대로 댐을 만들고, 수리하고 그러면서 자신들의
보금자리를 만들어나간다. 또한 비버들은 포플러를 좋아한다고 한다.. 벌써 비버에 대한
몇가지를 새로 안것인가.. 비버는 새로운 가족들을 이끌고 고향을 향하는데.. 그곳에는 비버는
아버지와, 할머니, 그리고 천적이지만, 어릴적부터 둘도 없는 친구로 지냈던 수달에 의해 잃었던
엄마도 만나게 된다. 모두 모인 가족들은 많은 이야기들을 나누며 가족의 사랑과, 소중함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된다. 이 부분에서 보면 생태계에 대한 위협적은 현실만을 보여주는것이 아닌
요즘의 이기주의에 의해 파괴되어지는 가족의 소중함과 비록 같은 비버들은 아니어도 서로에게
도움을 주고, 어우러 가는 모습에서 메마른 현실을 다시 한번 돌아볼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는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