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알라딘도서팀 > [지하철에서 읽은 책] <냉정과 열정 사이-Blu>

퇴근 무렵이나 금요일 저녁이면, 주변에 사람들이 주섬주섬 모여듭니다. "뭐 읽을 책좀 없어요?" 퇴근길 지하철이나 주말에 집에서 뒹굴거리며 읽는 책을 찾는 게지요. 각자의 취향에 따라 딱 맞는 책을 권해주......지는 물론 못하고(흐흐;) 그 주에 나온 책 중 적당한 책을 몇권 골라 건네주곤 합니다.

직업상 하루에도 여러 권의 책을 훑어보지만, 지하철에서 책을 읽는 시간만은 온전히 제것입니다. 회사에서 집까지-지하철에서 50분을 보내야하는 저에게 책과 CDP는 필수. 너무 두껍지 않은 소설을 선택하는데(무기같은 책들은 팔이 아프거든요. ^^;), 내용의 경중에 따라 편차가 있지만 대략 200여 페이지 가량을 봅니다. (사실 지하철만큼 집중해서 책읽기 좋은 장소가 없지요.)

어제는 미루고 미뤄두었던 <냉정과 열정 사이-Blu>를 읽었습니다. 너무도 유명한 이 베스트셀러를 아직도 안 읽고 있었거든요. 에쿠니 가오리를 좋아하는 편이긴 하지만, 그래도 베스트셀러에 대한 편견이 조금은 남아있었나 봅니다. 읽기 전에 사람들에게 Blu를 먼저 읽어야 해, Rosso를 먼저 읽어야 해? 물었습니다. 의외로 의견이 분분, 그냥 내키는 대로 Blu 편을 먼저 펴들었습니다.

* 이미 아시는 분이 많겠지만 <냉정과 열정 사이>는 하나의 스토리를 한 남자작가와 여자작가가 반씩 나누어쓰는, '릴레이 합작'이라는 특이한 과정으로 만들어진 소설입니다. 츠지 히토나리는 <냉정과 열정사이 Blu>에서 한 남자의 이야기를 하고, 에쿠니 가오리는 에서 한 여자의 이야기를 하지만 실은 소설속 남녀는 같은 이야기 속의 두 주인공인 것이지요.

영화 '러브레터'의 주인공 나카야마 미호의 남편이기도 한 츠지 히토나리가 쓴 <Blu>편에 대해선 사실 큰 기대가 없었습니다. 전에 읽은 그의 다른 작품이 그다지 재미있지 않았거든요,  하지만 이 책은 첫장부터 눈길을 뗄 수 없었습니다. 제가 얼마전 피렌체에 여행을 다녀와서일 수도 있지요. 소설 속의 쥰세이가 아오이를 생각하며 걸었던 거리와 다리, 두오모의 묘사가 더 실감나게 다가왔습니다. 아, 저긴 내가 갔던 거기잖아. 하지만 그보다 저를 더 강하게 사로잡은 건 쥰세이의 마음-부름이었습니다. 조용한 생활, 조용한 호흡 속에 가득 묻어나는 그리움과 외로움, 끊임없이 '아오이'의 이름을 부르는 쥰세이의 간절함이 아프게 다가왔습니다.

지하철에서 내리기 전, 소설 속의 쥰세이는 두오모에 올라 아오이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집에 도착해 씻고 컴퓨터를 켜고, 책의 나머지 부분을 읽는 건 조금 미루어 두었습니다. 아오이가 올지 안 올지, 두 사람의 다음이 어떻게 될지 궁금했지만, 쉽게 결말을 읽기가 아쉬웠어요. 가끔 그런 책들이 있지요. 끝이 다가올수록 페이지 한장 한장 넘기기가 너무 아까운 책. 어쩌면 겁이 났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예전에 <H2> 완결을 보았을 때, 이후 몇일간 마음이 안 좋았던 것처럼 그럴까봐요. 쥰세이와 같은 마음으로, 저도 두오모에 올라 아오이를 기다린 것이지요.(이후 둘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스포일러이니 생략합니다. ^^;)

<Blu>를 다 읽은 저는 오늘 지하철에서 <Rosso>를 읽을 예정입니다. 오늘 아침 회사에 와서 그 책 재미있더라 말했더니 "어, 그 책은 두 권을 번갈아 보는 건데"라는 말을 듣고 좌절하긴 했지만. ㅠ.ㅠ 뭐, 어쩌겠습니까. 이미 읽어버린 걸. 피렌체의 쥰세이가 그렇게 지내는 동안, 밀라노의 아오이는 어떤 세월을 보냈는지 무척 궁금합니다. 사람의 감정-특히 헤어짐의 정서를 잘 표현하는 에쿠니 가오리는 아오이의 이야기를 어떻게 그려나갈지 기대되네요.(주변에선 Rosso가 재밌다는 사람이 조금 더 많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