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짧고 욕망은 끝이 없다 민음사 모던 클래식 55
파트리크 라페르 지음, 이현희 옮김 / 민음사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페미나 상은 프랑스의 가장 중요한 문학상인 공쿠르가 남성 작가들로만 구성된 것에 불만을 가진 여성 작가들이 모여 만든 상으로 당연하게도 공쿠르와는 수상작 발표로 인한 이런저런 충돌도 있었으나 현재는 공쿠르와 협의를 거쳐 번갈아 수상작을 내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문학상이기도 하다. 설립 의도나 이름에서 풍기는 뉘앙스와는 달리 이 상은 심사위원들이 여성이라는 것이 공쿠르와의 차이일 뿐 공쿠르와의 차이점을 무엇일까라는 생각―물론 비슷한 수준의 작품이 있다면 페미니즘적이거나 여성 작가 취향의 작품이 지지를 받을 수 있겠지만 이것은 이것대로 문제라고 생각한다. 당연히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이 바로 파트리크 라페르의 『인생은 짧고 욕망은 끝이 없다』를 보며 들었다. 물론 이것은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 덕분이기도 하다.

루이 블레리오, 그는 전화 한 통을 받는다. 죽은 듯이 이 년 동안을 기다리기만 했던 노라의 전화. 그는 심장이 뛰기 시작한다. 머피 블롬데일, 자신의 아파트에 돌아왔을 때 노라가 없다는 것을 알고 심장이 싸늘해지기 시작한다. 노라는 머피를 떠나 루이에게 돌아온다. 자신의 아내를 두고 노라에게 모든 것을 던져 욕망에 젖어드는 루이와 욕망보다는 진실한 무언가를 찾으며 노라에게 헌신하는 머피, 노라는 양쪽을 오가며 둘을 사랑한다. 루이와는 욕망을 채우고 머피에게는 따스함에 기댄다. 흘러가는 대로, 한쪽이 싫증 나면 다른 쪽으로, 연약하고 작은 노라이지만 둘에게 그녀는 스스로 움직이는 태양이다.

남녀의 사랑이라는 것은 어느 시대, 어떤 장르를 막론하고 예술의 주제가 되어왔고 인류가 멸망하지 않는 한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만큼 우리들 삶에 있어서 가장 본질적인 감정이기 때문일 것이다. 흥미로운 것은 시대가 변해감에 따라 사랑 이야기 역시 시대의 흐름을 따른다는 것이고 과거 남성 위주의 시각에서 벗어난 작품들이 등장하고 있음을 말할 것도 없다. 파트리크 라페르의 『인생은 짧고 욕망은 끝이 없다』 역시 이런 시대의 흐름에 맞는 작품이지만 조금 미묘하다. 편향적인 시각이라 하면 할 말이 없겠지만 만약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성(性)이 반대가 되었다면 이만큼의 반응은 힘들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노라 역이 젊고 매력적인 남성이었고 두 유부녀와 사랑에 빠진다면 이 이야기처럼 프랑스 흑백영화 같은 느낌을 주는 독특한 톤의 이야기가 지금처럼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까? 심사위원들―특히 여성 심사위원들로만 구성되어 있다면―의 눈에는 마초적인 소설이라는 평을 들을 수도 있을 것이다. 뻔하디뻔한 불륜 이야기―매력적인 노라뿐 아니라 서로 비교되는 클리셰 같은 불륜 대상 남성들도 더해서―를 아름다운 톤으로 포장해 주는 것은 주인공이 노라 같은 여성이기 때문에 더 쉬운 것이었다고 생각하면 이것 역시 차별적인 생각일까? 어쩌면 맞는 이야기일지 모르겠다. 여성의 사랑은 남성의 그것보다 오래전부터 금기시되어 왔기 때문에 더 파격적이고 더 독특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겠지만 파트리크 라페르의 『인생은 짧고 욕망은 끝이 없다』은 남성에게나 여성에게나 절대로 공평한 것이 아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2-05-07 2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 잘 읽었습니다. 곰곰 생각해보니 정말 그렇네요. 노라라는 주인공이 여자가 아니라 남자라면... 저 같아도 식상하거나 통속적인 불륜소설이라고 생각했을 것 같아요. 흠,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성의식은 이중적인 것 같기도 하네요. 어떤 때는 정숙함을 요구하다가, 또 어떤 때는 자유롭고 분방한 여성의 모습에 매혹당하고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걸 보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