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 골 The Goal 2 - 성과관리,‘묻고 답하다’
이재형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2년 2월
평점 :
성과관리와 평가를 위해 '중간 관리자'의 역할은 중요하다. 팀원들의 결과에 정확한 코칭과 피드백을 줘야 하지만 때로는 그 평가 그 자체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S전자, H자동차, L그룹, S그룹, C그룹, D그룹 등 유명한 기업의 부서장과 중간 관리자들이 실제로 묻고 저자가 대답한 내용이 가득한 <THE Goal 2 더 골 2>. 리더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이번엔 전문 분야가 아니라 그런지 조금은 어렵게 읽혔다. 이론과는 다르게 현장에서의 실전에서는 여러 가지 세세한 문제점들이 일어나기에 성과관리 제도에서 중간 관리자들의 입장이 참 난처할 때가 많다는 걸 새삼 깨닫게 되었다. 결과는 당연하고, 팀원과의 소통 그리고 개개인의 면담을 통해 제대로 된 평가를 한다는 게 말은 쉽지 실제로 적용하기는 참 어려운 부분이 많을 것이다.
크게 두 개의 파트로 나뉜 이 책은 - 성과관리 Q1 ~ Q12, 성과평가 Q13 ~ Q22 - 이렇게 다양한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로 중간 관리자들의 궁금증이 담긴 질문들이기에 이 분야, 이 직무를 맡고 있는 사람들에게 저자의 답 (팀원들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공정성 그리고 수용성 확보 방법까지) 은 명쾌할 것이다.
성과에 대한 목표도 중요하지만, 팀원과 리더의 적극적인 소통과 성과를 내지 못하는 팀원은 동기부여를 주며 이끌어야 하는 것도 리더의 덕목이자 진정한 성과관리 그리고 성과평가라고 말하는 저자. 다양한 이론과 사례, 피드백과 조치사항까지 상세하고 알찬 저자의 답을 알고 싶다면, 도움을 받고 싶은 리더라면 꼭 읽어보시길.
'플랜비디자인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적은 리뷰입니다.'
지시는 저항과 방관을 불러오고 자율은 주인의식과 몰입을 불러옵니다. 좀 돌아가고, 그만큼 좀 늦어지더라도 아무리 중요하고 급한 일이어도 경영진과 리더는 구성원 스스로가 선택하고 스스로 결정하게끔 업무 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합니다. - P19
제도라는 것이 각각의 장/단점이 있어 제도는 돌고 돌기 때문입니다.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그리고 다시 상대평가로 말입니다. ... MZ세대들은 평가를 받고 순위가 매겨지는 것은 싫지만 그래도 자신이 어느 정도 수준으로 일하는 사람인지 알고 싶어 했다는 것입니다. - P97
도전적인 목표는 그냥 설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 기업의 성숙된 문화가 전제되어야 합니다. - P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