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돌봄이 돌보는 세계 - 취약함을 가능성으로, 공존을 향한 새로운 질서
김창엽 외 지음, 다른몸들 기획 / 동아시아 / 2022년 8월
평점 :
코로나19가 터지기 전까지 '돌봄노동'은 존중받지 못한 노동이었으며, 관심조차 받지 못한 노동이었다. 과연 지금은 어떨까? '사회 서비스' 개념을 넘어선 '돌봄'에 대해 우리는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이 책이 아니었다면 그냥 넘어갔을, 아니 알지 못했을 '돌봄'에 관한 현실적인 이야기는 놀라웠다. '그저 누군가를 돌봐주는 것'만으로 돌봄이 취급되어왔지만, 돌봄은 더 많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총 열 가지의 키워드 - 질병, 장애, 권리, 노동, 의료, 교육, 젠더, 혁명, 이주, 탈성장 - 을 통해 보여주는 돌봄은 변화된 우리의 삶을 위한 새로운 질서를 제시했다.
'긴급 돌봄 사업', '돌봄SOS센터', '24시간 돌봄서비스' 등 코로나19로 인해 수많은 돌봄 서비스가 생겨났고 이를 통해 '돌봄 공백'을 느낄 수 있었다고 한다. 성공한 케이스도 있었지만, 실패한 케이스가 더 많았던 한국 사회의 돌봄 서비스. 이전까지 돌봄에 관한 가치와 가능성을 낮게 봤기 때문이었다. 물론 제도와 복지를 빠르게 개선하고 있지만, 사회적인 인식부터 달라져야 하는 게 우선이다.
인종과 계급 그리고 젠더 속에서의 돌봄의 가치가 이 책에 나온 방안을 토대로 바뀌길 바란다. 앞으로 이 세상을 살아갈수록 '돌봄'이 더욱 필요하고 중요해질 테니 말이다. 돌봄은 이 사회에 필요한 더 많은 것을 품고 있기에 그 가치가 꼭 우선시되어야 한다.
'경쟁에서 연대로, 독립에서 의존으로, 성장에서 돌봄으로!' 돌봄이 돌보는 세계가 되길 희망한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가 원할 수밖에 없는 게 정의로운 세상이라면, 어느 것도 타자 없이는 생존할 수 없다"라는 가야트리 스피박 말처럼, "돌봄을 공기처럼 들이마실 수 있는"(조한진희) 사회를 함께 만들어가기 위해 힘을 모았으면 한다. 시대의 마지막 게토ghetto로 남아 있는 정신장애와 그것을 유지시키는 권력에 대한 공동의 투쟁은 지금 이곳에서 대안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로부터 시작될 것이다. - P56
이윤과 자본 축적의 가능성이 클수록 더 많은 자본과 자본가가 시장에 진입하고, 그 결과 시장은 커지며 상품화 경향은 강화된다. 많은 자본이 수익성 있는 요양병원이나 요양원 사업에 진출했다. 이는 다시 제도와 규범, 문화를 통해 장기요양서비스시장을 키우는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 P180
한국을 포함한 북반구의 경제선진국은 자국민의 돌봄받을 자격을 보장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수의 외국인을 불러들이고 이들의 돌봄 능력에 의존하면서 사회를 유지한다. 하지만 정작 돌봄 이주자는 돌봄받을 자격이 없는 존재로 여겨진다. 코로나와 같은 전 지구적인 전염병 상황에서도 한국사회는 방역과 재난 구호체제에서 이주자를 배제하며 이들에게서 돌봄받을 자격을 빼앗았다. - P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