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쟁과 약, 기나긴 악연의 역사 - 생화학무기부터 마약, PTSD까지, 전쟁이 만든 약과 약이 만든 전쟁들
백승만 지음 / 동아시아 / 2022년 9월
평점 :
수백 년간, '전쟁, 질병, 약'은 끊임없이 이 세상과 함께했고, 그동안의 역사를 이끌어왔다고 해도 무방하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권력으로 인해 사람들 사이에서 더욱 이슈가 되고 있지만, <전쟁과 약, 기나긴 악연의 역사>를 읽는다면, 이 세 가지는 정말 질긴 악연을 이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약은 전쟁에 기생하고 전쟁은 약을 먹고 자란다!', '전쟁이 만든 약과 약이 만든 정쟁들!' 문구만 보면 사실 갸우뚱하게 되는 게 사실이다. 이 세 가지는 어째서 악연의 고리를 끊을 수 없는 것일까? 초반부터 아찔한 진실이 공개된다. '2017년 미국에서 1만 8,000여 명을 중독으로 사망한 펜타닐은 무통 분만에 쓰였으며, 마약류 각성제는 남북전쟁 당시 진통제로 소중히 쓰였고, 아편은 그 자체만으로도 아편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전쟁이 약을 만들고 약이 전쟁을 일으키는 아이러니한 상황들.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처럼 종류만 다를 뿐 현재까지도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이라 마냥 흥미롭게 읽을 수는 없었다. 저자의 말처럼 '전쟁과 질병이 없는 세상을 살 수는 없을 것이고 그렇기에 우린 꾸준히 대비해야 할 것'이다.
어려울 것만 같았던 단어와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 참 좋았다. 역사적으로 영향을 끼친 전쟁, 질병, 약 그리고 인물들을 한 번에 볼 수 있어 세계사를 공부한 것 같았다. ('약학대학 인기 교양 강의'라는 수식어 인정이다) 전쟁, 질병, 약의 다양한 이면을 볼 수 있었던 책 <전쟁과 약, 기나긴 악연의 역사>. 역사를 좋아하는 분들 강력히 추천한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가끔 "페스트가 어떻게 사라졌나?"라는 질문을 받는데, 항상 같은 답변을 한다. 페스트는 사라지지 않았다. 1800년대를 지나면서 결핵이나 소아마비, 폐렴, 매독, 말라리아 같은 다른 감염성 질환이 더 심하게 창궐하며 페스트의 권위를 떨어뜨리기는 했지만 페스트가 사라진 적은 없다. 지금도 페스트는 꾸준히 발병하고 있다. 우리가 강해졌을 뿐이다. 하지만 페스트 역시 최근에 더 강해지고 있다. - P25
면역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인터페론을 사용하지만 면역이 높아지면 다시 부작용이 생기는 아이러니 속에서, 인터페론에 대한 기대는 조금씩 낮아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해답을 찾기 어려운 바이러스 질환에 대해서는 인터페론을 사용하고 있고 관련 기술도 좋아지고 있다. 사람들은 항상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래왔듯이. - P216
PTSD는 비정상이거나 나쁜 것이 아니다. 누구나 살아가면서 겪은 어려움 중의 하나다. 그러므로 자신이 특정한 트라우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진단해 볼 필요가 있다. 본인이 먼저 느끼고 도와달라고 해야 다른 사람이 도와줄 수 있다. 자신의 아픔을 가까운 누군가와는 공유했으면 한다. 우리 사회가 그 정도는 성숙했으니 말이다. - P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