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를 바꾸기로 했다 - 아무것도 하기 싫은 나를 위한 성장 심리학_꿈과 성장
우즈훙 지음, 이에스더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나를 바꾸기로 했다.
우즈홍지음
이에스더옮김

가짜 자아를 버리고 진정한 나로 살아가는 법
내면의 공포와 두려움을 인정해야 비로소 진짜 나로 살아갈 수 있다.

파트별로 기억에 남는 문장을 옮기고 그에 따른 생각을 함께 적어보겠다.

part1 꿈

창조할 것이냐, 파괴할 것이냐
인간은 기본적으로 창조를 통해 쾌감을 느낀다. 하지만 파괴의 쾌감도 있다.
안타깝지만 실현할 가치가 없는 욕구나, 실현하기 어렵고 실현 불가능한 욕구는 소멸시켜보는 연습을 해보자. 주도적으로 희망과 가능성이 없는 소망을 죽이는 쪽을 선택하는 것이 자신을 위한 선택이다. p39

사색이 필요하다.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시간과 성찰이 필요하다. 현실에서 꿈을 찾고 내 안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끌리는 삶이 아닌 주도적인 삶이 되기 위해서는 실현가치가 없는 것은 선을 그어야 한다. 파괴를 해야 창조도 가능하다. <유진>


자신의 경계를 넓혀라.
경계와 독립은 상대와 맞물려 있는 경우가 많아 매우 복잡하다. 경계를 지켜낸 사람은 그 안에서 자유롭고 강해질 수 있다. 영역 인식이 확실하면 상대와의 관계에서 규칙이 생겨난다. 관계에서 자신을 낮추는 것은 자기 보호 차원이다.
경계와 이익은 사회생활의 기본적 수칙이다. 서로의 경계를 인정하고 존중할 때 좋은 사회가 된다. 여러 명분을 근거로 함부로 개인의 이익을 착취해서는 안된다. p57

상대의 영역을 인정하라. 누구나 성공한 분야이니 나도 성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버려라. 나의 영역은 내가 만들어 가는 것이다. 상대를 경쟁상대로 보기 시작하면 삶자체가 지켜야하는 영역 투성이로 보인다. 피곤한 하루의 연속이 될 것이다. 나다운 영역을 구축하고 상대의 영역도 인정해준다면 각자의 성 안에서 자기다운 성과를 이루어 낼 것이다. <유진>

자신을 관찰해야 하는 이유
“알아차림은 시작이자 끝이다.!”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우리는 적의 존재도 알게 된다. 처음에는 그 적이 권력이나 사회 시스템처럼 먼 곳에 있는 존재 같다. 하지만 자신을 알면 알수록 적도 가까이 있음을 알게 된다. 나의 가족일수도 있고 가장 친한 친구일수도 있다.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서는 그 적이 자기 마음에 있다고 깨닫는다. 적은 나의 ‘본능’중 일부이며, 줄곧 외면했던 ‘감정’이며 경험이다. p87.88
무언가를 도전하는데 방해꾼 역할을 하는 사람은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들이다. 특히, 가족,
나를 가장 잘 안다고 생각하는 가족들이 나의 꿈도 조절하려 한다. 조절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꿈이 명확해야할 것이다. 그런데 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 그것 조차 핑계일 때가 많다. 사실은 내가 나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 때마침 가족의 한 마디에 정당화를 시키며 주저앉는다. 선택은 본인이 했지만 결과의 원망은 가족에게로 돌린다. 그래야 본인의 그나마 마음이라도 편하니깐. <유진>



part2 성장

연약한 사람은 자신을 공격한다.
무언가로 좌절하게 되었을 때도 자신에게서 원인은 찾되 집착하거나 정도를 지나쳐서는 좋지 않다. 자신의 잘못이나 문제점에 대해서는 스스로 위로하고 다른 사람의 지지를 요청하면 된다. 객관적 시선으로 외부의 문제점도 함께 찾는다면 자기 위로에 도움이 될 것이다. p115

내가 할 수 있었음에도 포기했던 일과 할 수 없었던 것을 명확하게 구분해야 한다. 할 수 있었음에도 포기했던 일에는 반드시 피드백으로 보완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끝까지 해낼 수 있는 힘을 기르긴 힘들 것이다. 조금만 어려움에 부딪히면 할 수 없는 일이라고 단정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안간힘을 썼음에도 되지 않았던 일은 깨끗이 포기할 줄도 알아야 한다. 에너지를 어디에 쏟는냐를 결정하는 것이 포기하지 않는 강해지는 나를 만드는 첫 단계이다. <유진>


타인에게 자신의 일부를 내주고 싶은가
우리는 상대의 반응에 따라 자기 존재 가치를 판단한다. 상대의 반응이 좋으면 자기 존재에 긍정의 영향력이 미치고, 나쁜 반응을 얻으면 자책한다. 아무 반응도 얻지 못하면 자신의 존재감을 잃는다. 그러므로 정확하고 객관적이면서 수용적인 좋은 거울을 찾아야 한다. 자신을 위해 사소한 일에도 긍정적인 평가로 ‘당신은 좋은 사람’이라고 말해주는 거울이 필요하다. p144

존재가치를 일깨워주는 거울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근거없는 긍정적인 평가의 지속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지도 않을까. 자신을 주관적도 아닌 그렇다고 객관적인 평가도 아닌 중간입장의 평가해 줄 수 있는 멘토가 있음 좋을 것이다.
어쩌면 거울 역할은 타인과 스스로의 평가에서 흔들리지 않는 자아가 해나가야 할 것이다. <유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