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인지 대화법 -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는 사람이 말을 잘한다
이윤지 지음 / 넥서스BIZ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타인지 대화법

이윤지 지음

 

자신을 객과적으로 보는 사람이 말을 잘한다.

 

메타인지란?

내가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 얼마만큼 할 수 있는지 자신의 현재 능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을 말한다.

말을 잘하기 위해서는 상대방과 대화를 나누면서 내가 지금 맥락에 맞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대화의 흐름에서 벗어나고 있지는 않은지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스스로 나의 말솜씨를 인지해야 부족한 부분을 명확시 알고 개선해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나뿐인 말하기를 하고 있는가?’

책 속의 예시들을 읽으며 손가락 발가락, 심어지 머리카락마저 오그라드는 기억이 떠올랐다.

자료를 준비하는데 급급해서 정작 ppt발표연습을 제대로 못하고 들어간 수업발표에서 ppt화면을 그대로 읽어버려 학생들을 졸게 한 일, 질문의 요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서 에둘러 장황하게 설명하다 핵심을 놓친 면접 자리, 판매를 해야하는 자리에서 판매로 이어지지 않는 이야기로 시간을 모두 허비한 경험들. 이 모든게 내 이야기이다. 발표 혹은 평범한 자리에서 말로 인해 부끄러운 경험들이 한 두 번이 아니다. 지금도 ing인 메타인지 없는 말하기 경험.

나름 강사경험이 길어 말에는 자신이 있는 편이었으나 짜여진 수업 내용을 기억해내서 말하는 강의와 현장에서 말하기는 확실히 다른 것 같다. 책을 읽으며 무릎을 몇 번이나 쳤는지 모른다. 이거 내 이야기인데 하며...

 

이윤지저자의 이야기대로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소통에는 연습이 필요하다. 한참을 이야기해도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고 머릿속이 하얘졌던 기억들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말을 잘하기 위해서는 첫째 말을 잘하려는 이유, 목적이 명확해야 할 것이다. 듣는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내용도 달라져야하는 것은 당연한 것. ‘가 돋보이고 싶은 마음을 누르고 주인공이 청중이 되는 말하기 연습을 해야 한다.

그리고 말을 할 때는 자신감의 표현인 아이콘택트는 필수이다. 마음의 창인 눈으로 더욱 깊이 있는 진정성 있는 소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삶자체가 연극이라는 무대에선 누구나 장면 속 배우, 혹은 전체를 보는 감독이 된 듯 상황에 맞는 각본읽기가 되어야 한다. 거짓된 연기가 아닌 상황에 따라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모습이어야 한다.

 

메타인지 비결은 수많은 반복과 노력

여러 문제집을 반복적으로 풀며 개념을 완벽히 알아가듯이, 수많은 말하기 상황에 부딪히면서

경험을 쌓아가는 것이다. 여러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때마다, 눈 질끈감고 발표를 도전할 때마다 내 안의 메타인지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모든 말 속에는 말하는 사람의 진의가 담겨 있다.

대화 전체를 아우르는 메타인지 말하기를 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질문과 내게 건제는 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면, 모든 원인을 상황과 상대방 탓으로 돌려버릴 수도 있다. 상대방이 건넨 말의 숨은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다 보면, 사람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질 때 궁극적으로 내가 원하는 것에도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말만 잘한면 길게 멀리 볼 수 없다는 사실.

말만 잘하는 사람이 아닌 끌리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긍정적 인상, 사소한 일에도 집중하며 정성을 다하는 태도가 우선 되어야 한다. 그러한 태도중 단연 으뜸은 경청의 자세.

그리고 그 뒤에는 실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아무리 멋진 말로 기회를 잡는다해도 실력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이어질 수없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사실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력보다 진심이 먼저여야 한다는 말로 책의 내용을 마무리한다. 실력은 진심과 함께여야 더욱 빛을 낸다. 누구에게 보여주기가 아닌 내가 임하는 일 자체에 집중하여 진심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상대의 마음을 울리는 메타인지 말하기는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