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소녀
다이 시지에 지음, 이원희 옮김 / 현대문학 / 2005년 4월
평점 :
일단, 재미있다.
작고 얇은 책 한권에 담겨 있는 이야기가 재미있으면서도 책 없는 세상을 상상하게 한다.
이단, 문화대혁명 시절의 지식인층과 지식인층의 가족들에게 가해진 가혹한 현실을 엿볼 수 있다.
중국혁명 당시, 지식인의 자식들까지 겁나먼 촌구석으로 보내 "재교육"을 받게 하던 때의 이야기인데, 주목할 만한 것은 다이 시지에의 자전적 소설이라 더 현실감이 있고, 감정 이입이 잘 되더라.
'나'와 '뤄'는 '하늘 긴 꼬리닭'이라는 이름을 가진 농촌으로 보내진다. 서양 자유주의자들의 도서는 금서로 정해졌다. 국가에서 정한 책 이외에는 볼 수 없었던 그 시절, 호기심이 왕성하던 두 소년은 친구인 안경잡이에게 책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그것을 몰래 훔쳐, 서양고전을 읽기시작한다. 책을 훔칠때엔 내 심장이 벌렁벌렁할 정도로 스릴이 있다. 나와 뤄는 롤랑, 발자크, 뒤마 등의 작품들을 읽으며, 가죽옷에 옮겨 적으며, 또 다른 이들에게 그 이야기들을 들려주며 그들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 도대체 무엇을 위하여 그들은 책을 얻기 위해 필사의 노력을 펼치고, 책을 다 욀 정도로 읽어댔을까?! 추측하건대,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 혹은 지적 호기심 때문이었겠지. 산골 마을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이라고 해봐야 똥지게 짊어지고 산꼭대기 올라가는것 밖에 없었을테니... 둘은 책을 읽으면서 책의 내용을 그동네 최고 얼짱인 바느질 하는 소녀에게 들려주고 그녀를 개화시키겠다는 결심을 하는데, 그 대목에서 나는 요런 발칙한 놈들을 보았나라고 생각을 했다. 일단 금서를 보는 것도 반동인데 이제 소녀를 개화까지 시키겠다?!싶었다. 근데, 그게 어쩔 수 없는 인간의 욕구인거다. 끊임없이 지적 호기심을 채우고, 더 넓은 세상이 있다는 것을 알게된 후 자유를 찾아 산골 마을을 떠나는 바느질 하는 처녀의 모습을 통해서 다이시지에는 자연스럽게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가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또 그러한 기본적인 욕구를 억누르려 했던 중국 정부를 비판한 것이겠지.
삼단, 이 이야기를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던건 '나'와 '뤄'가 처해진 상황이 2009년 지금. 우리의 현실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사실이다.
얼마전에 군대에서 몇가지 책들이 금서로 지정된것이 생각났다. 물론, 우리나라는 전쟁중인 국가이고, 뭐 군대에 가면 우리의 주적은 북한이고 어쩌고 하는 그런것도 있다고 하더라, 때문에 그 책들이 내포하고 있는 사상이 어쩌고 저쩌고 하는 얘기를 들었다. 물론, 군대라는 특수한 상황이기에 용납될 수 있는 일일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사소한 일들을 차치하고서라도 우리 정부가 지나치게 국민을 우롱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나는, 촛불들고 거리로 나오는 사람들도 싫다.) 지금은 어느 한 도시의 길을 다 차단한다고 해서 그 도시에서 일어난 일이 퍼져나가지 않는 시대가 아닌데, 자꾸 눈가리고 귀막으려 한다. 어느 산골에 갇혀 마오쩌둥의 어록만 읽을 수 있고, 촌장이 감시를 하여도 사람의 기본적인 욕구는 사라지지 않는다. 부디, 어느 자리에 있는 누군가가 국민을 바보로 알지 않길 바랄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