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이 처음 나왔을 때, 어쩐지 공지영이라는 작가에게는 구미가 당기지 않았다. 그 이유라는 것이 그냥 이름만 들어도 눈물 펑펑 쏟을 듯한 소설을 지어낼 만한 사람이라서였다. 공지영의 얼굴을 처음 본 건 MBC 느낌표에서였다. 그때 책을 읽읍시다!코너에서, 유럽의 어디선가 공지영을 만났었다. 내가 처음 본 그녀의 느낌은 어쩐지 슬퍼보였다. 마흔 넘은 나이의 작가는 그 나이 또래의 옆집 아줌마처럼 푸근한 느낌이 없었다. 그렇게 삐쩍 마른 몸 때문이었을까. 웃고 있어서 슬퍼보였다. 내 눈이 어떻게 되어 버린것일지도 모르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선 확신했다. 그녀는 슬프다. 이유는 없다. 그냥, 슬프다. 슬픈 사람인건 맞지만, 그녀는 그 슬픔속에서 진짜 행복을 찾는 행복한 여자다.
최근에 읽은 <사랑후에 오는 것들>에서 만난 공지영은 진짜 공지영이 아니었다. 츠지 히토나리 때문에 공지영만의 스타일이 반쯤은 죽어버린 소설인 것 같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야말로, 진짜 공지영의 살과 뼈를 깎는 고통으로 나온 소설이라고 인정해주고 싶다.
내용이야, 결론이야, 뻔할듯한 스토리다. 인물 구성도 그렇고... 하지만, 나는 왜 그리도 눈물을 쏟아내었을까! 울고 싶은 맘이 전혀 들지 않는 지하철에서 울컥하는 바람에 끝내 책을 덮고야 말았다. 이 책에 의하면, 누구에게나 어떤 일에 대한 이유는 있고, 원하든, 원하지 않았든 평생이든, 아니면 순간의 실수로 잘.못.을 한 사람들의 이야기다. 그 잘.못. 때문에 세상 사람들에게 손가락질 받는 이들의 편을 들어주며 나 자신은 잘.못.이 없는가에 대해 생각하게 해준다. 책을 읽는 내내 나는 얼마나 바른 사람일까?! 나는 진정 착한 사람일까에 대한 생각들을 떨쳐버리지 않을 수가 없었다.
나는 이 책에 대해서 사형제의 존폐에 대해선 얘기하고 싶지 않다. 이 책을 읽은 많은 사람들과 조금 다른 생각일런지 모르겠지만, 행복한 가정에 대해서 생각하게 해주었다. 윤수든, 유정이든 모두 행복하지 못한 가정에서 자랐다. 성무선악설. 그들은 불행하게도 좋지 않은 가정 "환경"을 만나서 그들의 인생은 꼬이고 꼬여 악한 사람이 되었지만, 서로를 만나며 다시금 선하게 되었다. 한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소외된 이들의 마음을 다시금 생각해보면서 나 자신도 돌아 볼 수 있는 슬프지만, 행복한 시간이었다.
어쨌든 나는, 나를 이렇게 죄짓지 않고, 키워주신, 무엇보다도 행복한 가정환경을 만들어준 우리 부모님에게 정말 감사하고, 사랑한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엄마, 아빠. 사랑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