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빈치 코드 1 로버트 랭던 시리즈
댄 브라운 지음, 안종설 옮김 / 문학수첩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소설을 왜 읽는지 잘모르겠다. 요즘은 소설을 읽기가 싫어졌다...라고 하니 소설가 전경린 언니(?)가 이렇게 얘기를 해주었다.
<소설은 태풍처럼 삶을 뒤흔들려고 하고 홍수처럼 삶을 범람하게 하는 역활을 하죠. 새로운 삶과 욕망과 운명과 감성과 상상력을 창조해 생의 가능성을 확장 시키고, 안개 가득한 생을 투시도처럼 그려내 뚜렷히 인지하게하며 환멸을 통해 삶을 더 정확히 느끼게 하고, 방향을 전환시키고 궁극적으로 새로운 질서를 부여하고 사랑하고 싶게 하고 오감으로 느끼고 싶게 하고, 살고 싶게 하지요.내가 소설을 너무 권한 셈인가요? 그러나 정녕 마음의 변화를 원치 않는다면 소설은 읽지 말아야 하죠. 소설은 일시적으로나마 삶을 교란시킬 수 있으니, 실은 위험하지요>

책을 왜 읽는지 특히나 소설을 왜 읽는지에 대해 항상 의문을 품고 있었던 내게 있어서 아주 명확한 답변이 아니었나 싶다. 나의 부족한 어휘력으로 한번만에 이해가 되지는 않아 다시 읽고 또 다시 읽고서야 아...! 멋진 말이다...라는 생각을 했다. 이 글을 이해한후 처음 접하게 된 책이 바로 이 "다 빈치 코드". 전경린 언니가 말한 소설에 대한 정의중 어디에 들어 맞을까...생각을 해보았다. 하지만, 이 다빈치 코드는 책을 읽고 있는 도중엔 내 삶을 교란시킨 실로 위험한 책이었고 상상력을 창조하게 해 주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나 등장 배경이었던 각종그림 등 현실에서 존재하고 추종받는 존재들에 대한 이야기였던 터라 어떤것이 진실인지 머릿속에서 헷갈리게 하였다.
그리고 랭던과 소피의 움직임 하나하나가 머릿속에서 영상이 그려지듯 읽어내려갔다. 아래에 북글을 쓴 어떤 이가 영화 제작을 전제로 한 것이다...라는 글을 보았는데, 책을 다 읽고 나니 그런 생각이 정말 많이 들었다. 영화로 만들면 꽤 재미있을듯 했다. 하지만, 알비노인 사일래스의 피가 뚝뚝 떨어지는 그런 장면을 그리기엔 좀 좋지 않을 듯 싶기도 하고, 흥미진진한 영화가 될듯싶기도 하다. 외국영화를 좋아하는 편이 아니라 혹시 영화로 제작된다 해도 볼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어쨋든 숨막히게 재미있는 이야기였고 아주 오랜만에 읽은 소설이라 더욱 흥미로웠다. 헌데, 나는 기독교인도 아니고, 성배에 관한 혹은 그림에 관한 것들도 잘몰라서 최후의 만찬같은 그림을 다시 찾아보기도 했는데, 그런 쪽에 지식이 있다면 더욱더 흥미로운 책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물론 모른다고 해서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
그리고, 항상 기대는 실망을 부른다. 많은 사람들의 칭찬과 많은 북글들을 보고 많은 기대를 했으나, 결말이 좀 허무하다는 생각을 했다. 좀 김빠지기도 하고 뭐가 이러냐-_-;(결말을 봤을때의 딱 내표정이다)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뭐 결말은 좀 허무하지만 그래도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과정은 무척이나 흥미진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