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얄의 추천 4 - Seed Novel
오트슨 지음 / 디앤씨미디어(주)(D&C미디어)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전에 모 뻘글에서도 썼었지만 얘네들 다 귀신크리. 특히 미얄은 완전 그거라 놀랄 정도.
대대적인 감상을 준비하느라 3권까지 재독하며 미얄의 정체는 아마 독서감상부 ■■■■ ■■이 아닐까 생각했지만.....야 임마 이렇게까지 딱 맞아떨어지면 당혹스럽다고. 이제껏 미스터리 읽어오면서 그 흔한 범인(?) 한번 맞춰본 적 없는 나놈이 왠일로. 아, 두세번 한번 맞춘 적 있구나. 근데 그게 온다 리쿠 책이란 게 문제지(........................).
뭐 이렇게 츤츤대며 시작했지만, 재밌게 읽었어요.
컬러페이지에 곧잘 있던 본문 발췌문 인쇄가 전혀 없는건 의도된 건가요? 아님 인쇄 미스인가요. 덕분에 활자에 침범당하지 않은 일러를 감상할 수 있는 건 좋았지만.
[미얄의 추천]을 미스터리로 보기에는 너무나도 치명적인 게, 갑툭튀가 너무 많다는 거다. 랄까 이야기의 구조가 갑툭튀에 의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번 4권에선 ■■인 줄 알았던 놈의 정체 같은 것이 아무런 복선 없이 "훼이크다 이 병신들아!!" 하고 튀어나와 버린다. 야 이자식아 네놈이 그놈인지 어떻게 아냐 그놈에 대해선 이제껏 일언반구도 없었는데, 라고 독자가 대들면 그걸로 끝이다. 논리성을 중요시하는 독자는 그런 점에서 지대한 불만과 일말의 모욕감을 느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분위기나 정서의 효과를 중시하는 감각적인 독자에게 미얄처럼 매력적인 이야기는 드물다. 논리성을 중시하기 위해 설치해야 하는 여러가지 작위들이 제거되었는데, 역설적으로 그렇기 때문이야말로 "미스터리 같은 분위기" "기이함" "의외성" "놀라움" 같은 느낌들이 잘 유발되는 게 신기하다.
하긴 미스터리 소설에서 느끼는 그 소름끼치고 뇌가 간지러운 '분위기'는 논리성과는 그다지 상관이 없다. 오히려 그런 느낌들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비논리적인 '감각'이 중요하다. 이야기를 마무리짓는 단계가 되면 관건이 되는 것은 '정합성'이 아닐까. 어째서 이러한 이야기가 나와야 했는가, 이런 식의 '진실'이 있어야 했는가의 필요성이 준비되어 있고, 그것이 작품의 세계를 해치지 않는다면 그걸로 됐다.
이것은 미스터리의 전 단계, 모 뻘글에서도 썼듯이 고딕 로맨스에서의 내적인 논리와 무척 닮았다고 생각한다. 거슬러 올라가자면 민화, 설화다. 고딕 소설에서의 "유령"은 비합리적인 존재이고 그들의 출몰도 논리성과 거리가 멀다. 그들은 초자연적인 존재인 한편, 소설 속에 숨겨진 '무언가(시대상부터 인물의 심층심리, 끝까지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진실에 이르기까지)'를 반영하는 존재이기도 했다. 민화나 설화에서 보이는 신화적인 인물이나 몬스터도 반쯤 초자연적이며, 반쯤은 숨은 무언가를 강하게 상징하면서, 합리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독자적인 원리(신성 혹은 마성, 계시, 운명이나 저주 따위일지도)에 의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미얄의 추천]의 이야기는 이 가려진 원리, 말하자면 "운명" 에 의해 좌우되고 있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 미얄의 플롯은ㅡ플롯이라고 부르기 뭐한 느낌이 있다. 가려진 이야기의 전체상은 이미 설정되어 있지만(이것을 운명이라고 부르자), 그것에 대한 힌트(복선)은 없거나 당췌 알아먹지 못할 수준으로, 불가사의한 "전조"들만 횡행한다(3권 말에서 민오가 느낀 복통 같은 것. 미얄을 비롯한 인물들의 수수께끼스런 헛소리들도 여기 속할지도). 미얄에서는 "뭔가가 온다. 곧 일어난다" 는 느낌을 적절하게 불러일으키는 예언자의 포어사이트가 현재형의 이야기 속에 빈번히 삽입되어 있다. 현재형의 사건 자체도 불확실하며, 주인공은 정확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모르고 심지어는 자기가 뭐하는 놈인지도 모른다(...). 이것은 미스터리 소설에서 자주 보이는 이야기구조이지만, 명탐정과는 달리 탐정 역의 미얄은 처음부터 모든 것을 알고 있고 끝까지 정확한(합리적인) 해설을 하지 않으며, 사실은 그 정체조차 불분명하다.
미얄은 각 권 라스트에서 '운명'의 일부가 드러날 때까지 불길한 전조들을 제시하며 이야기를 이끈다. 그 이미지는 생경하고 강렬하며 기발하다. 앞으로 무엇이 일어날지 궁금한 한편, 이대로 영원히 이야기가 연장되었으면 하고 바라게 된다. 소설을 읽는 독자에겐 영원히 흥미를 유발하며 끝나지 않는 이야기야말로 네버랜드이므로, 그런 감각을 맛보게 하는 이야기는 어떤 형태이든 매우 뛰어나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역으로 독자가 막연히라도 '운명'에 대해 눈치채고 그것을 작가가 가공해서 드러내는 패턴에 익숙해지면 마력은 효력을 상실한다. 논리적이지 않기 때문에 더욱 위험한 약점이다. 보통 미스터리 소설의 독자는 막연히 '패턴'에 의해 진상을 눈치채더라도 그 진상을 도출해내는 논리의 정교함에 감탄할 때가 많다. 그러나 미얄에서는 치밀함을 감상할 기회가 빠져 있다.
쉽게 말해서 이 시리즈는 발상의 기발함에 의존하고 있다. 그것을 지탱하는 시스템이 약하다. 따라서 작가가 발상한 바를 직관하게 된 독자에겐 재미가 약해지는 것이다.
내 경우는.............좀 운이 없는 경우였다. 남들 다 칭찬한 4권이 3권보다 김빠졌으니. 소설 초반부터 극중 주요 인물(■■, 석선생, 미얄, 이쯤되면 자동적으로 '노예'까지 OTL)과 관련한 기믹을 다 눈치채 버렸으니 뭐 말 다한거(....................).
아마 시리즈가 더 진행되고, 작가의 스타일에 익숙해진 독자들이 늘면 운 없는 케이스는 얼마든지 증가할 것이다.
그렇다더라도, 작가 고유의 문체와 쾌적한 템포, 끝나지 않는 이야기에 대한 환상과 기이함이 감도는 묘하게 아름다운 분위기는 독자적인 매력을 갖고 있다. 중독성이라고 해도 좋다.
라노베 관련해서 덧붙이자면, 만약 이 작품이 '캐릭성'만을 강조해서 기획되었더라면 지금 갖고 있는 독특한 매력은 대폭 감소했을 것이다. 캐릭터를 중시한 작법으론 절대로 이 작품처럼 히로인(?)은 물론 1인칭 화자(남자)주인공까지 정체가 모호한 소설은 나올 수가 없다. 이것은 작가의 개성이 충분히 반영된 결과다. 물론 겉보기의 캐릭터성 역시 훌륭하게 구현되어 있다는 점 또한 간과해선 안 되겠지만, 이 [미얄의 추천]은 라노베를 쓰려는 사람 혹은 쓰는 사람들이 라노베적인 것에 대해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사고를 자극받기에 좋은 작품 중 하나라고 생각하며, 동시에 우리나라 토양에서 나올 수 있는 이례적이면서도 대표적인 라노베로 꼽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