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의 심장 애장판
하기오 모토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배경은 겨울, 독일의 한 기숙제 남학교. '아무르(사랑의 신)'처럼 누구에게나 예쁨받던 미소년 토마 베르나가 철도 위에 몸을 던져 죽는다. 소년의 죽음은 기숙사 전체를 술렁이게 하지만 누구보다도 깊은 충격을 받은 것은 유리스모르라는 학생이다. 생전의 토마는 유리스모르를 유혹할 수 있는가 없는가를 걸고 '내기 연극'을 했고, 그 계획을 안 유리스모르는 모두가 보는 앞에서 토마를 거절한다. 유리스모르는 자신의 책상에 놓인 토마의 유서를 읽고 그 죽음이 자신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죽은 토마의 그림자에 사로잡혀 괴로워하는 유리스모르의 눈앞에 어느날 토마와 꼭 닮은 소년 에릭이 나타난다. 전학생 에릭은 모든 이들이 자신에게서 토마의 모습을 찾는 것을 알고 토마의 죽음에 대해 흥미를 가진다. 필연적으로 에릭은 유리스모르에게 다가가고, 유리스모르의 어두운 비밀이 점점 드러나기 시작한다.

   풍문으로 이름만 계속 들어 온 전설의 명작 [토마의 심장]이다. 내가 이걸 한국어판으로 손에 들 날이 오리라곤 바로 어제 영풍에서 기웃거리기 전까진 몰랐다. 

   온다 리쿠 박순희로서 [네버랜드] [보리의 바다에 가라앉는 열매] 등과의 유사성을 발견하지 않을 수 없다. [네버랜드]에 대해 리쿠 여사가 "토마의 심장 같은 이야기를 쓰려고 했는데 전혀 다른 얘기가 되어 버렸다"고 고백했지만, 전체적인 분위기는 차라리 [보리바다]가 훨씬 닮았다. 클라이막스의 고백 부분, '사랑하는 소년'의 죽음의 그림자라는 요소는 네버랜드가 상당히 유사하다. 라스트 가까이 도서관의 책 속에 끼워  죽은 사람의 글을 읽는다는 연출은 보리바다가 생각났다. 

   아름다운 소년의 죽음, 그에 얽히는 미스터리. 간단히 이야기의 방향성을 말하자면 그렇다. 옛날 만화임에도 불구하고 이야기를 끌어가는 방식이 세련돼서 낡았다기보단 고전적이라고 하는 게 어울린다. 기숙사제 학교에서 비밀을 품고 죽은 남학생이란 것도 뭔가 하나의 영원한 테마가 아닐까. [사육계 리카]의 테츠 같은 변주가 있는가 하면, [K의 장렬] 역시 이 계통의 방계인 듯하다. 열거하라면 의외로 몇 개 떠오르는 게 없지만, 이 테마에는 아득하게 가슴을 설레게 하는 무언가가 있다. 성별이 없는 천사(혹은 타천사) 같은 아름다운 소년들의 청춘과 죄, 순진함과 잔혹함, 즐거움과 고통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에는 그 정도로 절묘한 상황설정이 더는 없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폐쇄된 공간에서 죽은 이의 그림자를 쫓는다는, 변형된 고딕-유령이야기로서의 딱히 집어낼 수 없는 기묘한 긴장감이 그들의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이 책 [토마의 심장]은 그런 불온한 아름다움의 원형질이 살아 있는 이야기다. 유리스모르-(토마)-에릭의 (삼각)구도는 전형적이면서도 전형성만이 갖는 깊은 맛이 있다. 여러가지 자기만의 내면과 역할을 가진 조연 소년들의 매력도 상당하고, 특히 유리스모르의 룸메이트 오스카는 정말 멋지다. 오스카가 등장하지 않는 부분을 읽으면서 그 녀석 언제 등장하나 기다렸을 정도로.

   하기오 모토의 팬뿐 아니라 이런 종류의 이야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적극 추천하는 한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