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버지 잘 계시지요? 내일이면 저희를 두고 가신 12년째 되는 날입니다. 12년이라는 시간은 헛헛한 시간이었습니다. 삶의 조각들이 구멍 난 풍선처럼 떠다니다 소리 없이 시들어간 시간이었다고 할까요? 남은 자의 이면에서 풍화되길 거부하는 굳건한 그리움은 침묵만 끓게 하였습니다.
해마다 5월이면 흩뿌려진 초록빛에 감화되지 못하고 만선의 깃발을 올리지 못한 낡은 고깃배의 어깨를닮아가며 바닥만 들여다보았습니다. 조그맣게 펄떡인 생에 대한 의지로 고개 들었을 땐 플라타너스가누런 잎사귀를 떨구고 있었으니, 그렇게 반쪽의 시간을 살았습니다. 제가 아버지를 이해함에 한 박자가늦어 늘 반쪽이었듯이 말입니다.
저는 언제나 한 박자가 늦었습니다. 엇박자가 아님에 안도하기도 했지만 돌이켜보면 늦은 한 박자와 엇박자는 동어라는 생각이 듭니다. 어쩌면 영원히 닿지 못할 공간을 만드는 늦은 한 박자가 더 무서운 말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두려운 말과 사실을 깨달을 무렵 아버지의 시간이 멈추었습니다.
아버지의 시간이 멈춘 후 흐른 12년과 해마다 잃어버렸던 6개월의 시간이 얽혀 아버지와 저 사이에 심연으로 존재했던 불가해한 공간이 좁혀지고 있습니다. 어느 소설가는 닿을 수 없는 것들을 사랑이라 부르겠다, 선언했지만 전 닿고자 하고 닿고야 마는 것을 사랑이라 부르려 합니다. 아버지께 닿고자 함을 어찌 사랑이라 부르지 않을 수 있을까요?
아버지.
조선소 노동자로 삶 앞에 겸손하고 순간에 치열했던 아버지를 존경합니다. 아버지와 저 사이에 변방의메아리처럼 남은 미극의 불가해도 서서히 사라질 것입니다. 그 틈이 사라질 때면 제가 미처 깨닫지 못한아버지의 힘겨움과 권태, 허무, 외로움까지 이해할 수 있겠지요?
폐염전에 간 적이 있습니다. 수많은 소금 알갱이들이 여물던 염전에 풀들만 무성하고 짠 내 하나 나지 않았습니다. 서글펐습니다. 폐염전에서 5월의 초록빛으로 소금 알갱이가 여물고 짠 내가 진동하길 바라는마음으로 아버지께 닿고자 합니다.
사랑합니다, 아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