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에게 저마다의 향기가 있다면 나의 뇌리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 잡은 향기는 아버지의 향기다. 냄새라 말하는 것이 더 어울리는 그것은 부연이 필요 없는 아버지 자체이다. 딱 벌어진 어깨와 쩌렁쩌렁한 목소리, 호탕한 웃음소리 때로는 한없이 여리셨던 마음.
오늘 아침 출근길에 아버지가 몸담았던 회사 앞을 지나다 그 냄새를 맡았다. 들큼한 페인트 냄새였다. 여태껏 모를 리 없었을 텐데 그 냄새가 새롭게 느껴진 건 그 새삼스러움의 크기만큼 내가 아버지의 냄새를잊었기 때문일 것이다. 아버지의 작업복에선 바닷바람과 페인트 냄새가 나곤 했었는데 이제는 그 작업복을 볼 수도 느낄 수도 없으니 무뎌짐과의 싸움은 점점 패색이 짙어지고 있다.
#잘 말린 수건 두 장과 달걀 프라이
아버지는 28년 전 울산에 오셨다. 그리곤 그 세월 모두를 조선소에서 보내셨다. 조선소 깊은 도크에 거만하게 들어앉은 배에게 아버지는 넘치도록 부지런한 친구였다. 아침 6시면 집을 나섰고 그 순간부터 오직 친구만을 위했다. 천직이라는 말씀을 자주 하셨는데, 그건 무난한 핑계였고, 정든 친구를 떠날 수 없어 하루하루 지내다 보니 그 세월 속에 아버지의 젊음이 고스란히 녹은 것이다.
조선소 배 위에서 청춘을 보낸 것이 후회되지는 않으셨는지 겨울의 매서운 바닷바람과 한여름 철판 위더위가 버겁지는 않으셨는지 지금은 누구도 알 수 없지만 분명한 건 아버지가 그 시간을 지나왔다는 사실이다.
내가 아르바이트할 때 경험한 조선소의 겨울바람은 매섭고 짐승 같은 바람이었는데, 그 바람을 안고 일했던 아버지의 작업복에선 시원한 바람 냄새가 났다. 공포감마저 느껴지던 한겨울의 바닷바람이 어떻게가을바람의 향취를 가질 수 있었는지 아이러니하지만, 난 어렴풋이 추측하고 있다. 그건 아버지의 따뜻함 때문이었다고. 아버지의 온기가 오롯이 작업복에 스몄기 때문이라고. 아버지는 따뜻한 분이셨다.
아버지, 유난히 더위를 많이 타셨다. 여름에는 땀을 훔칠 수건이 필수여서 어머니는 잘 말린 수건 두 장을 아침마다 아버지께 건네셨고, 아버지가 돌려주는 저녁의 수건은 더없이 축축했었다. 퇴근길 벌겋게달아오른 얼굴을 마주하면 아버지의 하루가 눈앞에 그려지고 붉음의 강도에 따라 그날의 더위가 내 머릿속 한구석에 정확히 각인되었다.
언젠가 여름에 달궈진 철판 위에 달걀을 풀면 기다릴 새 없이 프라이가 된다는 말씀을 하셨다. 어린 아들에게 어마한 더위를 말하려 농담처럼 한 말이었겠지만, 그 달걀 프라이는 아버지 자신을 가리키는 기막힌 은유법이었고, 그걸 깨달았을 때는 이미 겨울이었다. 그렇게 난 아버지를 이해하는 것에 한 박자가 느렸다.
#만년필
아버지는 필체가 좋으셨다. 정연하게 글자가 쓰인 아버지의 사무용 수첩이 미술작품 같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었다. 좋은 필체를 위해서였는지 아니면 또 다른 이유가 있으셨는지 아버지는 만년필을 소중히여기셨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아들에게 대학 입학 선물로 꽤 비싼 파커 만년필을 선물하신 걸 보면 아버지에게 만년필은 필기도구 이상의 어떤 상징이다.
내겐 아버지가 쓰시던 만년필이 있다. 잘 쓰지도 나오지도 않는 만년필이지만 내 양복 안주머니에는 항상 그 만년필이 꽂혀있다. 내가 그 만년필을 꽂고 다니는 것은 엉뚱하게도 그리운 아버지의 필체가 만년필을 통해 나오리라는 바람 때문이다. 언젠가는 만년필도 옛 주인의 손길을 잊지 못해 필체를 흉내 낼 것이다.
#여진과 노영심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음악이라곤 트로트 몇 자락밖에 모르셨던 어머니께서 요즘 음악을 즐겨 들으신다. 처녀 시절 들었던 양희은의 노래들을 소리 높여 부르기도 하시고 CD플레이어가 없던 차에 카 오디오까지 다시는 걸 보면 어머니의 음악사랑은 마땅히 인정해 줘야 할 특별한 것이 되었다. 월요일 밤 텔레비전채널 선택권은 전적으로 어머니가 행사하셔서 우리 가족은 월요일 밤마다 가요무대를 보고 있다.
이런 어머니께 최근 들어 애창곡이 생겼다. 누구의 노래인지 나와 실랑이를 벌이다, 가수는 중요치 않다말하며 부르시는 노래는 여진의 <그리움만 쌓이네>이다. 실제로 여진이든 노영심이든 누가 불렀는가는어머니께 중요하지 않다. 어머니는 감미로운 멜로디나 가수의 젖은 목소리보다 이 노래의 가사에 푹 빠져 있기 때문이다. ‘그리움만 쌓이네’를 힘주어 따라 부르며 그리움을 가슴 한쪽에 차곡히 쌓고 계시는것이다.
나는 아버지를 그리워하고 있다. 아버지의 흔적이 바래지는 않을까 걱정하고 내 감정의 무뎌짐이 매 순간 안타깝다. 몇몇 사람들은 무뎌짐을 받아들이라 충고하지만 아버지의 흔적을 잃는 건 내게 잔인한 일임을 잘 알기에 나는 아버지의 냄새, 만년필, 어머니의 노랫소리를 새기며 아버지를 그리워할 것이다.
아버지의 흔적이 늘어날수록 내 가슴은 감당하기 벅찬 기운을 추슬러야 하겠지만 나는 잘 추스르고 이겨내리라 믿는다. 그것들의 존재가 아버지를 내 곁에 머물고 숨 쉬게 하기 때문이다.
오늘 하루도 그리움이 쌓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