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세상에 맞설 때
황종권 지음 / 마이디어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퍼렇게 벼린 낫이여, 풀을 이기지 못하느니

낫은 매번 이기고, 이겨서 자꾸 지고

언제나 풀은 지면서 이기기 때문이다



마음이 타오르는 시들과 글이 내 마음을 대변해 줘서 좋았다.

낫이 아무리 베어내어도 풀은 지치지 않고 자란다.

힘없는 무리라 생각해서 누르고, 무시하고, 금방 잊어먹을 거라 생각하는 자들이 아무리 눈 가리고 아웅해도

우리 힘없는 무리들은 늘 밝혀내고, 이겨내고, 밀어내 버렸다.

모든 시대엔 그 시대의 권력에 저항하는 시들이 있다.

<시가 세상에 맞설 때>에 담긴 시들은 모두 한국의 근현대사의 폭력과 권력과 부도덕에 맞서는 시다.

그 시들에 지금의 대한민국의 현실을 담아내는 황종권 시인의 이야기가 현실을 돌아 보게 한다.






우리의 시는 시대가 위독할 때마다 가장 먼저 일어나 가장 먼저 사람을 지켰다. 이 책은 세상의 모든 폭력과 고통에 항거했던 사람의 이야기이며, 시로서 맞설 수밖에 없었던 사람의 숭고한 정신을 담았다.




그래서인지 본색을 입은 노란 표지 속 금 간 담벼락에 피어난 잎사귀가 온몸으로 부르짖는 거 같다.

이 신선한 봄을 저항하지 않고 받아들일 수 있게 이제 그만 물러가라고.

너희가 아무리 승기를 잡은 거처럼 느껴도 우리는 이제 모든 걸 알아버렸다고.

그러니 더 구차해지기 전에 네 발로 그만 가라고..



세상의 모든 총들이 방아쇠가 없다면

탄약 창고엔 탄약 대신 읽어야 할 시집이 가득하다면

행운을 접어놓은 평화가 갑자기 침침해진다면

군인들은 이제 군화를 벗어 던지고

그냥 가거나 오는 것도 없는 국경의 밤을 생각할지도



벌써 3개월이 흘렀다.

계엄령이 무슨 TV 쇼처럼 펼쳐졌다 접힌 게.

기획자는 아무 일도 안 일어났으니 아무 일도 아니라고 한다.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고 조직에 충성한다고 한 인간은 오로지 마누라한테만 충성질이다.

반성하지 않아도.

1년만 지나면 다 잊어버릴 개, 돼지들이 있기에

저절로 회복된다 믿는 저들에게 알려주고 싶다

너희가 감추었던 민낯이

너무나 낱낱이 드러나서

우리는 지금 어이 상실 중이라고

이제 조금씩 회복되는 중이고, 즐기는 중이라고

그러니 실컷 방심하라

그 방심의 대가는 너희의 상상을 무너뜨릴 것이니...



오로지 계산만을 따지는 욕망처럼 "못 된 것 못 된 것'들이 흉기를 드는 세상이 왔다. 하지만 이 시를 보면 사람의 슬픔이 있는 한, 환한 눈물을 만날 수 있으며 마침내 못을 뽑을 날도 있다는 걸 알겠다.



수많은 슬픔들이 우주에 구멍을 내듯이

사연 없는 시들이 없듯이

시대의 아픔을 시로써 토로하고

시대의 슬픔을 시로써 위로하고

시대의 고독을 시로써 달랬다

무수한 글들 속에서 갑자기 시를 만났을 때

마음이 잠시 글 사이에서 오붓한 오솔길을 찾은 기분이었다.

그래서 가끔 시를 탐했다.

내가 찾았던 시들은 그저 아름답고

그저 예쁘고

그저 화사했다

교과서에서 만났던 나라 잃은 울분의 시들은 이미 잊힌지 오래였다.

저항시가 있었다는 걸 잊고 산 내 시간은 행복했나?

시대를 품은 시를 그저 사랑시로 잘못 해석하며 살지 않았나?

책도 안 읽는 시절에

시는 더더욱 보이지 않았다.

그런 시들이

소리 없이 아우성치고 있었다는 걸

이제야 알게 되었다.

봄은 왔지만

마음이 춥다.

울컥이는 마음을

시들이 어루만져 준다.

누군가의 아픔이

누군가의 고통이

누군가의 고독이

돌고 돌아

내 안의 감정들을 희석시켜 주었다.

똑똑해져야겠다.

그 나라의 정치는 국민들 수준 이랬지.

이 나라를 저들에게 맡긴 건 슬프지만 우리다.

그러니

이제 잘 수습하자.

우리는 후진 정치를 물려받았지만

우리 아이들에게는 이런 후진 정치만은 물려주지 말아야지..

바람 잘 날 없는 봄날

시들이 소리 없이 외치는 봄날

내 마음도 소리 없이 외쳐댔다

이렇게 살지 말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