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자들
고은지 지음, 장한라 옮김 / 엘리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호 씨만 그런 건 아니에요. 보이지 않는 경계가 우리나라를 가르고 있다는 사실. 그것 때문에 세상이 흑백이 되는 거죠. 그래서 성호 씨가 집에서조차 반으로 갈라져 있는 거고요."



80년대부터 2014년까지 한 가족의 이야기에 한국사를 곁들인 <해방자들>

책을 읽고 있으니 '우물 안 개구리'라는 말이 떠오른다.

대한민국 안에서 사는 우리들을 밖에서 보는 시선들에서 낯섬과 묘한 반항심이 생긴다.

그런 한편으로 우리가 모르고 있던 우리에 대해 알게 된 느낌이다.

그러나...

그런 그들조차도 우리와 같았다.

살아보지 않으면 절대 알 수 없는 분단국가에서의 삶.

타국에서 조국을 바라보는 그들의 시선 역시나 우물 안 개구리였다.

인숙과 후란

며느리와 시어머니

신혼 한 달도 안 돼서 남편이 미국으로 떠나고 시어머니와 남겨진 인숙에겐 아버지를 잃은 상처가 있다.

길에서 끌려가 총에 맞아 죽은 아버지.

80년대 한국은 그런 시절이었다.

아들을 두고 시어머니의 묘한 경쟁의식은 두 사람을 갈라놓고, 그런 인숙의 곁에 로버트가 자리한다.

후란을 보면서 남편의 빈자리를 아들로 채우려 했던 할머니들의 시대가 떠올랐다.

남편보다 아들, 그 아들 중에서도 큰 아들에 대한 의지가 대단했던 시어머니들.

우리 집도 예외는 아니었기에 후란의 모습이 그닥 생소하지 않다.

하지만 뭔가 다른 표현 방식이 묘하게도 거리감을 준다.






"가라앉는 배에 타고 있을 때는 아무도 믿으면 안 돼. 다른 사람 말은 절대 듣지 마."



후란과 인숙

인숙과 제니

같은 관계지만 다른 관계로 자리하고

성호와 헨리는 아버지와 아들의 서먹함을 안고 산다.

이민자들의 삶을 다뤘다기보다는 한국인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던 거 같다.

하지만 그 한국인이라는 것에 대한 작가의 생각이 겪어서 알아낸 것이 아닌 들어서 알아낸 것이라 묘한 괴리감이 있다.

게다가 원래 문장이 그런 것인지, 번역이 그런 것인지 모르겠지만 '섬세하고 아름답게 묘사한 작품'이라는 말이 와닿지가 않았다.

후란의 죽음으로 성호와 인숙은 그제야 해방이 되었다.

새로운 신혼을 시작한 인숙에게 로버트는 의미 없는 사람이 되었다.

헨리와 제니는 로버트가 그렇게 염원하던 통일을 이루었다.

남남북녀의 만남은 위태로워 보였지만, 그런 염려에도 불구하고 화목한 가정을 이룬다.

마치 통일에 대한 우리의 염려도 기우일지 모른다는 것처럼.

해외 동포들이 듣는 조국의 소식들은 그 긴 세월 동안 기쁨보다는 슬픔과 아픔이 많았다.

지금 우리의 이 현실도 해외 동포들에게는 다르게 전달될 것이다.

5.18도, 햇빛정책도, 삼품 백화점 사고와 세월호의 죽음도 그들에게 어떤 파장을 주었는지 그저 감히 짐작해 볼 뿐이다.

지금 대한민국의 민낯은 그들에게 또 어떤 짐이 될까?

88년생 재외 한국인 작가의 눈에 비친 한국의 현대사는 불안과 고통과 답답함과 무거움을 담고 있다.

하지만 나는 그 시간들을 관통해 살면서도 늘 희망차게 살았다.

불안과 고통과 답답함과 무거움 속에서도 한국인인 나와 내 주변 사람들은 늘 희망에 차 있었다.

내일은 오늘보다 나으리라는 희망을 지니고 살아냈다.

인숙과 성호와 헨리와 제니가 꾸려가는 가정처럼

우리는 불안을 잠재우고 고통을 이겨내고, 답답함을 걷어내며 무겁지만 가볍게 나아갈 것이다.

이런 낯선 느낌들 속에서 현대사를 대하는 기분이 묘했다.

그 갭들을 어떤 것들로 해방시킬지 이제는 생각해 봐야 할 시간대에 살고 있는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