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서점
이비 우즈 지음, 이영아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에게나 과거가 있고, 감옥처럼 졸졸 따라다니는 그 과거 때문에 우리는 진정으로 되고 싶은 인간이 못 되는 거잖아요.



<오펄린>

가짜 이름에 남모르는 임신, 그리고 에밀린 브론테의 발굴된 원고를 가진 1920년대의 그녀.

<마서>

책을 읽듯 사람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가졌지만 현실은 남편의 폭력에 길들여 살다 도망친 그녀.

<헨리>

알콜중독자인 아버지의 학대에 시달린 기억을 품고 현재는 에밀리 브론테의 두 번째 원고를 찾아 희귀본 서적계에 이름을 알리고 싶은 욕망을 가지고 오펄린의 서점을 찾아 헤매는 남자.

세 사람의 시선으로 엮어가는 이 신비한 이야기 속에 빠져 있다 보니 무더위쯤은 쉬이 잊어버렸다.

과거와 현재가 오가며 촘촘하게 엮이는 사람들의 인연.

오펄린의 세상에서 벌어지는 여자들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운명을 쥐고 흔드는 남자들의 횡포가 익히 알고 있는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분노 게이지를 높인다.

그리고 현재에도 폭력으로 상대의 심신을 망가뜨리는 사람들에게 발목을 잡혀 사는 사람들이 교차되면서 그들의 그늘진 과거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힘겹게 나아가는 사람들의 희망찬 이야기가 마음을 가득 채우는 <사라진 서점>.


처음 읽는 작가 이비 우즈의 <사라진 서점>엔 로맨스와 판타지와 책들의 이야기가 절묘하게 어우러져 아름다운 하모니를 들려준다.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라는 실존했던 서점과 그곳을 운영했던 실존 인물 실비아를 등장시킴으로써 오펄린의 존재는 현실과 환상 속에 섞여있다. 그래서 오펄린의 운명이 그 시대 여성들의 삶을 대변하는 거 같다.

씨줄과 날줄을 잘 엮어서 상상해 본 적 없는 이야기가 환상인 듯 현실인 듯 독자의 마음을 휘어잡는다.

<길 잃은 곳>을 쓴 사람은, 삶의 모든 시련이 더 큰 깨달음으로 이어지는 열쇠이며, 그 열쇠로 미래를 여느냐 아니면 문에 빗장을 지르느냐는 본인의 결정에 달려 있다고 했다.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이지만 또 그만큼 특별한 사람들이 자신의 '의지'를 찾아가는 이야기를 읽다 보니 내가 잃어버린 것들이 저 깊은 마음 바닥에서 꿈틀거렸다.

그래서일까? 책을 읽는 동안 좋은 일이 생길 거 같은 예감이 들었고 그 예감이 현실이 되는 상황을 겪었다.

마서와 헨리 그리고 오펄린의 인연이 내게도 닿은 것만 같았다.

<사라진 서점>은 이 세계에서 숨어지내는 곳이다.

간절한 누군가가 찾아주기를 바라는 장소.

그 장소를 지키고 가꾸어 나갈 줄 아는 사람과의 인연을 기다리는 장소다.

이 현실에도 그런 장소가 있을 거 같다.

사라진 게 아닌 숨어있는 그 장소가 어딘가에 있다는 생각만으로도 나에게도 그런 장소가 존재할 것만 같아서 설렘이 생겼다.

무더운 여름

잠 못 드는 나날이 계속되는 이 시기에

잠시 환상과 로맨스와 내가 좋아하는 책들로 가득한 공간이 주는 평온함을 함께 느꼈던 이야기였다.

나만의 <사라진 서점>을 찾는 여정을 계속해야겠다.

언젠가 내가 발견해 주기를 기다리고 있던 '그곳'을 찾게 되는 날 나는 다시 태어날 수 있을 테니...

"누구한테 인정받으려고? 남들이 만들어놓은 인생에 갇혀 사는 인간들? 그 인간들은 자네도 자기들처럼 갇혀버렸으면 싶은 거야. 자기들만 공허감에 사무치면 억울하거든. 조심해 마서, 계속 부르주아의 눈으로 세상을 보다간 자네만의 가치를 못 보고 말 테니까."

보든 부인의 준엄한 말이 우리 모두에게 던지는 말 같다.

나만의 가치를 알아내는 것이 바로 '삶'이자 '인생의 진실'이 아닐까.

지금 길을 잃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