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잃어버린 사람들 - 뇌과학이 밝힌 인간 자아의 8가지 그림자
아닐 아난타스와미 지음, 변지영 옮김 / 더퀘스트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를 잃어버린 사람들> 제목처럼 이 책에서는 '자아'라는 개념을 잃어버린 사람들의 예를 들어 '자아'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그렇다고 '자아' = '이것' 이라는 결론을 내리지는 않는다.

8가지 예로든 사람들의 모습은 일반적인 언어로 말한다면 '미친 사람'이다.

우린 이 사람들을 그저 '미쳤다'로 믿고 더 생각하지 않는다.

미친 사람, 정신병자. 이 단어들이 주는 감정은 더 이상의 소통을 불허한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도 나는 이런 생각을 했었다.

 

코타르증후군 환자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말할까?

 

 

자아의 존재

나는 죽었다고 말하는 남자는 코타르 증후군이다.

뇌 관점에서 보면 이 병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그렇다고 정신은 살아있지만 뇌는 죽었다고 믿는 사람을 어떻게 설득할 수 있을까?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니 살아있지만 존재하지 않다고 느낄 수밖에 없다.

 

자아의 재료

알츠하이머는 이 병을 최초로 연구했던 박사의 이름을 붙인 병이다.

치매.

나 자신을 이루고 있는 기억을 잃어버리는 병이다.

그래서일까? 평소와는 다른 모습들을 보여준다. 공격적이고, 파괴적이면서 불같은 성미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환상이 보이고 환청이 들린다. 모두 과거에서 온 망령들이다. 스스로가 현재를 느끼지 못한다면 그것 또한 정신병일까?

 

자아의 지도

'나'를 이루는 것의 가장 원초적인 것은 몸이 아닐까? 그 몸이 더 이상 내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면 어떨까?

데이비드는 자신의 한 쪽 다리에서 이질감을 느낀다. 자기 것이 아니라는 상상은 그것을 자르고 싶게 만든다.

BIID 진단을 받은 사람들은 자신의 신체 부위를 낯설어한다. 쉽게 말해 이물질로 여기기 때문에 잘라내고 싶어 한다.

눈에 아주 작은 티끌이라도 들어가면 눈도 못 뜨고 괴로워하는데 바로 그런 고통을 매시간 느끼면서 어떻게 살 수 있을까?

 

자아의 빈자리

 

자기 자신의 측면으로만 과도하게 주의가 집중되고, 다른 것들은 주의를 받지 못한 채 그냥 존재한다.

 

 

조현병은 자아의 빈자리다. 그걸 채우면 다시 평범이라는 이름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

이 챕터를 읽으며 조현병과 알츠하이머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알츠하이머가 기억을 잃어 자신을 잃어가는 거라면, 조현병은 어떤 경험이 자기를 중심으로 증폭되는 것이 문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자아와 정서

비현실을 사는 사람들의 기분은 어떤 걸까?

세라처럼 요가를 통해 몸을 느끼면서 극복할 수 있다면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병일까?

몸에서 분리된 느낌과 정서적 무감각을 몸을 느끼는 연습으로서 극복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세라는 자신의 병을 일찍 알아서 도움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오랫동안 이 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고통은 나처럼 숨 쉬는 공기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닿을 수 없는 고통이다. 그들은 그 공기를 느끼지 못하는 병을 앓고 있으니까...

 

자아의 멈춤

자폐증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한다.

우리가 자폐인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그럼 같은 거 아닌가? 문제가 되는 건 쪽수의 문제가 아닐까?

자폐인들이 사는 세상이라면 타인의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나야말로 문제아인 것이다.

이리 생각하면 자폐인에 대한 이해가 조금 쉬울까?

 

최소한의 자아

유체이탈, 도플갱어 같은 이야기는 과학적으로 설명되는 것보다 그저 문학 속에서 이해하는 게 내겐 더 쉽다.

우리 뇌는 속기 싶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다.

그건 어떤 이유일까? 어떤 이는 뇌를 쉽게 속일 수 있고, 어떤 이는 뇌를 속이기 어렵다.

정신력과 관련된 걸까?

이 부분은 읽어도 쉽게 이해되지 않았다. 뇌의 문제라는 건 알겠지만 아마도 문학 속에서 만나는 유체이탈과 도플갱어에 대한 이미지를 버리고 싶지 않은 나의 자아 때문인 거 같다.

 

 




무한의 자아

황홀경 발작은 주변을 완전하고 명료하게 느끼면서 자신이 완벽하게 동화되어 있다는 느낌이다.

1, 2초의 짧은 발작이지만 느끼는 사람에게는 시간이 느리게 흘러 더 오랜 시간을 경험한 것처럼 느껴진다.

'섬엽'이 관여한 발작으로 이 섬엽이 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서 이인증이 보인다. 그리고 활발하게 활동하면 황홀경 발작을 일으킨다.

섬엽을 활발하게 움직이게 하는 환각제는 황홀경 발작과 비슷한 걸 느끼게 만들고 이런 느낌들은 시간을 잊게 만든다.

 

위에 열거한 이야기는 모두 뇌에 관한 이야기다.

뇌에 문제가 생길 때 일어나는 현상들이다. 예전에는 그저 정신병으로 간주해버렸지만 이제는 이 문제들을 이해하는 수준으로 발전시켜왔다. 물론 이 뇌의 문제를 인지했다고 해서 실생활에서 만나는 고통스러운 환자들을 다 안다고 말할 수 없다. 그럼에도 이런 이야기들은 도움이 된다.

<나를 잃어버린 사람들> 제목이 참 많은 걸 이야기한다.

나를 잃어버린 다는 것은 곧 자아를 상실하는 것과 같은데 그것은 뇌의 한쪽에 자리한 아주 작은 단백질 덩어리에 문제가 생겼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 자아에 대한 완벽한 설명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저 피상적으로 알고 있는 자아라는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을 뿐이다.

우리의 뇌는 속이기 쉽다. 뇌를 속이는 일은 곧 나를 속이는 일일까, 아닐까?

뇌에 대한 책들을 읽으면 읽을수록 '뇌'에 대한 경이로움이 쌓여가는 거 같다.

 

뇌과학에 대한 이야기지만 우리가 들어 본 병증으로 설명하기에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모든 병이야말로 아는 것이 힘이다.

우리 뇌에서 벌어지고 있는 '자아'라는 개념 찾기가 언제쯤 완벽한 지도를 그리게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