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인자와 프로파일러 - FBI 프로파일링 기법의 설계자 앤 버지스의 인간 심연에 대한 보고서
앤 울버트 버지스.스티븐 매슈 콘스턴틴 지음, 김승진 옮김 / 북하우스 / 2023년 2월
평점 :
그들은 이유가 있어서 살인을 했다. 그리고 나는 그 이유를 찾을 것이었다.
앤 버지스는 FBI에 프로파일러를 만든 장본인들 중 한 명이자 유일한 여성이었다.
간호학 교수로서 병원에서 강간 피해자들을 만나면서 그들의 고통을 감지하고 그들의 트라우마를 연구해서 체계적으로 확립한 최초의 연구자이기도 하다.
그런 이유로 FBI에 발탁되어 연쇄살인범들을 추적하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드라마에서 보는 프로파일러는 상당한 신임과 권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초창기 프로파일러는 그 필요성을 인정받지 못했다.
그저 어설픈 심리학자나 심령술사 정도로 인식되었던 그 시기에 프로파일링의 기초를 닦아 나간 사람들의 노력에 깊이 감명받았다.
FBI 건물 지하 깊숙한 곳, 저자가 방공호라 불리는 곳에서 끔찍한 사건들을 끝없이 되풀이하며 생각하는 모습들은 읽는 나조차도 답답하고 숨이 막히게 만들었다.
그런 노력들이 빛을 발하고 종잡을 수 없었던 범인의 윤곽을 그려내는 프로파일링이 성공을 거두어 범인을 잡게 되는 과정들이 초반에 그려진다.
그때까지 나는 피해자에게만 초점을 맞추느라 사건에 또 다른 쪽이 관여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잔혹하거나 포악하거나 정신병이 있는 사람이라고 치부하고 제쳐놓았던 것이다. 하지만 마리아의 말을 들었을 때, 범죄의 속성을 온전하게 이해하려면 한 사건의 두 측면으로서 피해자와 가해자 양쪽 모두를 보아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가해자가 왜 그렇게 행동했는지. 형언할 수 없는 극악한 행위를 했을 때 그의 머릿속에 어떤 생각들이 오갔는지 알아야 했다.
우리가 얻은 가장 큰 교훈은 성폭력이 성적인 행동 자체에 대한 행위라기보다 권력과 통제에 대한 행위라는 사실이었다.
프로파일링이 체계적이지 않았던 시간대에서 연쇄살인마 역시 체계적이지 못했다.
<살인자와 프로파일러> 책을 읽으며 프로파일러라는 직업이 생기고 그들이 범죄자들의 데이터를 만들어 나가는 동안 범죄자들도 같이 성장한 느낌이다.
그들도 똑같이 프로파일러나 형사들에 대해 연구를 했다.
우발적이고, 체계적이지 않았던 범죄자들이 점점 그들의 수법을 진화시키고, 지능적으로 변모해가는 과정은 프로파일러라는 직업이 자리매김하는 과정과 비슷하다.
범죄자 프로파일링은 어떤 사람이 사고하는 양식(사고 패턴)이 예측 가능하고 수량화 가능한 방식으로 그의 행동을 이끈다고 보는 접근 방식이다. 따라서 비협조적인 범죄 현장이라도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분석을 하면 가해자의 동기에 대해 가능성 높은 설명을 도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 범죄를 저질렀을 법한 사람의 구체적인 유형을 끌어낼 수 있다. 다른 말로, 범죄 현장을 읽는 법을 더 잘 알면 그 현장을 남겨 놓고 간 범죄자에 대해서도 더 잘 알 수 있다.
이런 성범죄에서 가장 감당하기 힘든 부분은 바로 아동 성범죄다.
이 이야기에 실린 [내 친구 미시]는 눈앞에서 친구의 납치를 목격한 오팔의 이야기가 나온다.
자신이 먼저 잡혀서 자동차에 던져졌던 오팔은 미시를 잡기 위해 범인이 한눈을 판 사이 차에서 빠져나와 도망친다.
눈앞에서 미시가 잡혀가는 광경을 보고도 숨어서 꼼짝하지 못한 오팔의 기분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버지스는 요청을 받고 오팔을 만나 그림으로 목격자 진술을 듣는다.
오팔이 그린 그림들과 아이가 한 말들을 토대로 버지스는 오팔의 두려움과 고통을 감지한다.
미시를 아는 남겨진 모든 사람들의 고통이 예상되지만 눈앞에서 친구가 납치된 모습을 목격한 아이는, 혼자만 도망쳤다는 그 사실을 평생 의식하며 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런 감정들은 현실에서 모두 뒷전이 되고 만다.
범인이 잡혀도 그 고통은 미시를 알던 사람들에게서 결코 끝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하나의 사고방식이나 하나의 접근만으로 우리 스스로를 한정하지 말아야 했다. 우리는 우리가 가진 서로 다른 배경, 관점, 경험 등 모든 것을 사건에 가져와야 했다. 그것이야말로 프로파일링 방법론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팀으로 함께일 때만 가장 일을 잘할 수 있었다.
프로파일링은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토대로 만들어진다.
그러기에 한 사람의 의견보다는 여럿이 서로의 의견을 나누며 다각도에서 사건을 바라보아야 한다.
나는 이것이 프로파일링의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한다.
누구 한 사람의 의견이 지배적인 것이 아니라 다양한 목소리의 의견을 수립하는 것이 유연한 사고를 기르는 방법임과 동시에 복잡한 범인의 생각을 다양한 시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라 생각한다.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신참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귀담아듣지 않는 경우를 많이 봐서 그런지 이 부분의 버지스 생각에 적극 동의한다.
이런 연쇄살인범이나 극악무도한 범죄자들 그리고 사건 현장의 처참한 모습들을 매일 봐야 한다면 너무 고통스러울 거 같다.
그래서 프로파일러들은 강한 정신력을 소유한 사람들이어야 할 거 같다.
그래서 요원들은 일이 끝나면 일상으로 돌아오는 스위치를 돌렸다. 그러나 버지스는 그러지 않았다. 피해자들의 이야기에 교감하면서 그 분석을 통해서 사건의 통찰력을 얻었다. 그야말로 최강의 멘탈을 소유하신 분이라고 생각한다.
형사라는 직업보다 프로파일러에 더 매력을 느끼던 터였다.
형사가 일선에서 끔찍한 현장을 직접 본다면 프로파일러는 그보다는 덜 심할 거라 생각했던 내 생각이 틀렸다는 걸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분석은 언제나 꼼꼼해야 하고, 더 자주, 더 많이 자료들을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항상 그 생각을 하고 있어야 한다.
범죄소설을 즐겨 읽는 나에게 프로파일러는 매력 있는 존재였다.
그러나 <살인자와 프로파일러>를 읽으며 그러기에는 강한 멘탈을 소유해야 한다는 걸 깨달았다.
범인보다 강한 정신력과 유연한 사고, 열린 마음 그리고 '정치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이 일을 하기 힘들 거 같다.
앤 버지스는 이 모든 걸 가지고 있는 분이다.
남자들의 세계에서 당당하게 자신의 자리를 우위에 둘 수 있었던 것도, 범인을 다르게 보는 시각도, 피해자와 교감하는 능력도 모두 그녀가 한 수 위였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리고 윌리스 사건을 보면서 언론이 범죄와 범인을 다루는 방식에도 문제가 있다는 다시 확인했다.
요즘 언론은 사건의 묘사를 너무 자세하게 한다. 그 자극을 보는 사람들의 심리에 대해서는 생각을 안 하는 모양이다.
그리고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범인에 대해서는 똑같은 범죄자임에도 다른 묘사를 한다.
그 가증스러움이 범죄를 즐기는 이들에게 어떤 환상을 품게 하는지도 생각해 봐야 할 시기인 거 같다.
평소 범죄 소설이나 영화를 좋아하는 분들
프로파일러를 꿈꾸는 분들
가해자와 피해자의 심리를 알고 싶은 분들은 이 책이 많은 도움이 될 거 같다.
<살인자와 프로파일러>를 읽으며 많은 일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그 일이 원활해지기 위해서는 '소통'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상에서 '소통'의 부재야말로 많은 고통을 불러오는 촉매제가 아닐까...
가해자 역시 만들어진다.
그들이 느낀 최초의 고통으로부터 회복되지 못한 자아가 범죄를 키운다.
그 과정에서 '소통'의 부재는 더 많은 범죄를 미래로 불러들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