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헌의 서양미술 특강 - 우리 시각으로 다시 보는 서양미술
이주헌 지음 / 아트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미술은 감각을 긍정하고 감각적인 표현을 적극적으로 추구한 미술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보는 이에게 즉각적인 호소력을 갖고 다가오는 미술입니다.

 

17년간 저자가 한 강연들을 모은 책 <이주헌의 서양미술 특강>

우리 시각으로 다시 보는 서양미술이라는 부제가 붙었다.

저자는 서양미술을 3가지 측면으로 나누었다.

 

인간 중심

 

서양의 투시원근법은 내가 만물의 척도이자 우주의 중심임을 나타내는 표현 양식입니다. 반면 동양의 원근법은 인간을 우주의 중심에 놓고 보지 않습니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분일 뿐이고, 자연은 인간보다 크고 광활한 전체이지요.

 

서양의 미술은 인간 중심이다.

그래서 모든 그림에 사람이 주가 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의 미술은 자연중심이다.

그래서 산수화가 주가 된 그림이 많다. 그곳에 인간은 거의 풍경처럼 그려져 있다.

서양 그림에 있는 그림자가 우리나라 그림에는 없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그런 비교를 해본 적이 없었다.

그러고 보니 동양화에서 사람은 작게 그려서 하나의 풍경을 이루거나 최소한의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서양 그림처럼 인간의 모습이 주가 되어 자세하고 밀접하게 그려진 게 없다.

 

로댕의 칼레의 시민 조각상은 그냥 봤다면 어떤 것을 표현했는지 몰라서 조각상들이 모두 우울해 보였을 것이다.

그들의 표정과 몸짓에 담긴 그 당시 6인이 느꼈던 비장한 감정을 잘 표현해낸 로댕은 19세가 최고의 심리학자라고 부른다고 한다.

정말이지 칼레의 시민 조각상에 얽힌 이야기를 읽고 사진을 다시 보니 6명의 모습을 다르게 표현함으로써 칼레 시민을 대표해서 사지로 끌려가는 사람의 심리를 다르면서도 정확하게 표현했다. 로댕이 정말 대단한 조각가였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사실 중심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서양미술의 사실주의는 논리를 중시하고 개인의 자유와 자율성을 중시하고 현실적인 태도를 가진 그리스 문화의 사실주의는 중세 때 잠시 사라졌다가 르네상스 시대에 와서 부활한다.

대리석에 새겨진 조각상들의 모습은 마치 살아있는 모습처럼 보인다.

루브르 박물관의 [검투사]는 헬레니즘 시기의 그리스 조각이지만 주름 하나까지도 정교하게 새겨진 조각상이다.

사진으로 보고 있음에도 그 정교함이 금방이라도 살아날 거 같다.

마치 재생 멈춤을 한 느낌의 조각상이 버튼만 누르면 다시 움직일 것만 같다.

이런 생동감이 서양미술의 오랜 근원이다.

 

측면을 정면 못지않게 중시하는 서양에서는 초상화를 그릴 때 얼굴 측면을 그리는 장르가 따로 발달했는데, 그것을 일러 '프로파일'이라고 합니다. 프로파일이라면 옆얼굴이라는 뜻 외에 신문 등에 나오는, 특정 인물에 대한 단평이라는 뜻도 있지요. 이처럼 서양인들에게 한 사람을 요약해 보여 주는 것은 그의 얼굴이 정면이 아니라 옆얼굴인 것입니다.

 

감각 중심

 

 

서양미술은 감각적인 즐거움을 적극적으로 추구한 미술입니다. 의도적으로 보는 이의 시각을 자극하고, 시각적 쾌감에 기초해 다른 감각적인 즐거움까지 공감각으로 확장해 느끼도록 발달했습니다.

 

그러고 보면 서양화엔 누드화가 많다.

고대 아르카익기와 고전기 그리스에는 대부분 남성 누드를 대상으로 했다.

그 이유는 세계의 주체는 인간이고, 인간 가운데서 가장 완벽한 존재가 성인 남자라고 생각해서라니 이 부분은 좀 실망스럽다.

어쨌든 누드화는 아름다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것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에스라인이 아니라 '에스커브'라고 표현한다.

 

이런 누드화의 발달은 멋진 몸매에 대한 서양인들의 열망을 추동해왔다.

아름다운 몸에 대한 그들의 열망이 그들의 몸매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하니 엄마들이 태교의 일환으로 미인과 미남의 얼굴을 자주 보려고 하는 것도 분명 타당한 이유가 될 거 같다^^

 

이처럼 몸에 대한 인간의 욕망은 인체의 비례와 형태에도 영향을 줍니다. 누드 미술을 발달시킨 서양미술은 감각을 긍정함으로써 욕망을 긍정하고, 욕망을 긍정함으로써 인간의 몸조차 적극적으로 욕망의 대상으로 표현하게 된 미술입니다. 그럼으로써 그 욕망의 주체로 하여금 신체 비례상의 변화까지 경험하게 한, 매우 감각적인 미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감각 중심의 서양문화를 가장 잘 반영한 것이 바로 인상파 미술이다.

시각적 쾌감을 극대화한 미술인 인상파 미술은 많은 인상파 작가들을 탄생시켰다.

그들을 실내가 아닌 야외에서 그림을 그렸다. 자연스레 본 것 이외에 자신의 느낌을 화폭에 담았다.

이런 감각적인 작품들은 감상자들의 잠재력을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이 책을 읽으며 마치 학생 때 미술시험을 앞두고 공부하듯이 정리해 보았다.

미술 특강을 들으면서 역사 수업도 함께한 기분이다.

그림에 담긴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알고 나면 그림이 달라 보인다.

<이주헌의 서양미술특강>속에서 나는 로댕에 대한 또 다른 느낌을 가지게 되었다.

그것만으로 횡재한 기분이다.

 

<여기, 까미유 끌로델>을 읽으며 로댕에 대한 분노를 느꼈었는데 <칼레의 시민>조각상에 대한 이야기를 읽으면서 로댕에 대한 새로운 마음이 생겼다.

무언가를 안다는 건 그런 거다.

제대로 알지 못하면 모르니만 못하다는 것.

 

이렇게 우리의 관점에서 보는 미술 특강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어렵지 않고 쉽고 재미있게 미술 소양을 쌓은 기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