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락의 아내
토레 렌베르그 지음, 손화수 옮김 / 작가정신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모두들 내게서 세상을 빼앗아 가려는 걸까?

 

 

2020 노르웨이 최고의 소설 <톨락의 아내>는 내게도 최고의 소설이 되었다.

광기 어린 문체는 서서히 시선을 압도하고, 간결한 문장들 뒤에서는 폭풍이 몰아쳤다.

문장과 문장 사이에 넘치는 강렬한 해일이 페이지를 넘길수록 점점 더 증폭되어 심장을 죄어온다.

 

단순한 느낌의 책 한 권이 몇 백 페이지를 넘어가는 양장본의 묵직한 스릴러 대표작들을 능가한다.

북유럽 스릴러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북유럽 문체에 어지간히 익숙해졌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아.니.었.다.

 

<톨락의 아내>는 톨락의 시점으로 이야기를 한다.

그래서 당연히 독자들은 톨락을 절반은 이해했다고 생각하게 된다.

주인공이니까.

주인공은 '절대'라는 메시지는 은연중에 독자 모두가 가지고 있는 '필수'의 감정이다.

그럼에도 나는 톨락이 애처로웠다가 점점 미워지기 시작했다.

 

톨락은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독자와 애증의 관계를 형성한다.

독자는 절대 톨락을 이해하고 싶지 않지만 이해하게 되고, 미워하고 싶지만 애정 하게 된다.

이 모순된 감정 때문에 나는 톨락을 잊을 수가 없을 것이다.

 

 





아내 잉에보르그를 누구보다 사랑했던 톨락.

톨락을 누구보다 이해하고 사랑했던 잉에보르그.

그 두 사람의 보금자리에 들어와선 안되었던 뻐꾸기 한 마리.

오도.

 

아버지의 말은 내 삶의 기반이 되었다.

 

 

그릇된 눈으로 세상을 보았던 아버지는 아들에게 세상과의 단절을 선사했다.

소통과 관심보다는 배제로부터 자라난 톨락.

그를 이해하고 품은 건 잉에보르그뿐이었다.

언젠가는 톨락이 세상 밖으로 나올 거라고 믿었던 순진함이자 자만심이 잉에보르그를 숲속에 묶어 두었다.

 

그리고 잉에보르그는 어느 날 모두의 시선에서 사라지고 만다.

 

오도는 한마디로 설명할 수 없는 사람이다.

 

 

이웃의 아이를 키우게 된 톨락.

자폐증이 있는 오도는 톨락과 어느 면에서 아주 닮았다.

자신만의 세계에 빠져 있는 오도를 잉에보르그는 살뜰히 챙겼다.

그리고 그 살뜰했던 마음만큼 진저리를 쳤다.

 

과거에 보지 못한 것을 지금 볼 수 있다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

 

 

그때는 몰랐고, 지금은 알고 있는 감정.

그때는 몰랐고, 지금은 알고 있는 상황.

그때는 몰랐고, 지금은 알고 있는 현실.

 

한 사람의 독백이 가져오는 오만가지 감정들이 태풍처럼 몰아친다.

앉은 자리에서 다 읽을 수 있었지만 일부러 멈추면서 읽었다.

 

죽음을 앞둔 남자의 자기 독백이 얼마나 특별할까? 라고 생각했던 나에게 지금껏 내가 만난 스릴러의 주인공 보다 더 스릴 있는 톨락의 이야기는 짧게 이어지는 문장들 때문에 더 길게 느껴졌다...

 

문학 스릴러.

문학작품인데 스릴러를 읽는 느낌이다.

토레 렌베르그가 스릴러를 쓴다면 <요 네스뵈>는 설자리가 없을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