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의 힘 (프레더릭 레이턴 에디션) - 최상의 리듬을 찾는 내 안의 새로운 변화 그림의 힘 시리즈 1
김선현 지음 / 세계사 / 2022년 6월
평점 :
품절




미술치료 권위자 김선현 저자가 트라우마 치료 전문가로서 지난 세월 현장에서 사람들의 마음을 치료해 준 그림들을 소개하는 책입니다.

일 - 관계 - 돈 - 시간 - 나 자신으로 나누어 그림과 함께 그 그림이 주는 효과를 이야기합니다.

 

빨강은 아드레날린을 촉진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책에서는 칸딘스키의 그림을 추천합니다.

저는 기분이 가라앉고 처지는 날, 외출하기도 싫고 어딘지 아픈 느낌이 드는 날은 빨강 립스틱을 발라주면 왠지 생기 있게 보이고 마음도 금방 달라져서 나가고 싶기도 합니다. 단지 빨강이 저한테 잘 어울려서 그런 거라고 생각했는데 빨강이 가진 힘이 저를 달라지게 한 거라는 걸 책을 읽으며 깨달았네요^^

 

노랑은 긴장을 풀어주는 힘이 있습니다.

고갱의 기도하는 여인의 그림을 보면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과거에 자꾸 집착이 들 때는,

원래의 것을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미술 관련 책들을 자주 접하려 노력하다 보니 이 책에 실린 그림들이 익숙합니다.

그러나 처음 보는 그림들도 많습니다.

그림들마다 저자가 부여하는 느낌이나 치료 목적의 이야기도 도움이 되지만 그것을 바탕으로 나 자신의 상태를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은 거 같습니다.

어떤 그림 앞에서는 저자의 말에 공감하기도 하지만 저는 전혀 다른 느낌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그림은 보는 사람의 이해가 가장 중요한 거 같습니다.





저는 표지의 그림 때문에 이 책에 욕심을 냈습니다.

프레더릭 레이턴의 '불타오르는 6월'

표지의 화사한 색감과 편안한 모습처럼 보이지만 왠지 설정스러운 그림을 넋 놓고 보다 보면 편안함은 곧 불편함을 수반해야 한다는 기분이 듭니다.

그게 삶의 모습이니까요.

누군가가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누군가가 편안함을 누릴 수 있으니까요.

모델의 수고로움과 화가의 노고가 시간을 넘어 많은 사람들에게 '휴식'을 주네요.

 

#프레더릭레이턴에디션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가장 강력한 힘 중 하나는

내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봄으로써

변화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거든요

 

 

 

나 자신에게 객관적이기는 참 어렵습니다.

그래서 저는 누군가 나에게 지적을 하면 그것을 빠르게 인정하는 방법을 열심히 실천 중입니다.

인정하기 싫어서 변명을 하다 보면 변명을 위한 변명을 하게 되고, 계속 그러다 보면 좋은 관계도 서먹해져 버리니까요.

어쨌든 맘에 안 들어도 내게 있는 모습이고, 상대가 그것을 파악했다면 그건 내 잘못이니까요.

누구나 실수를 하고, 누구나 변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수한 것을 빠르게 인정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이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리스크를 줄여가다 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변화해 가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될 거라 믿습니다.

 

 

다양한 그림들 앞에서 왜 이 그림이 필요한지에 대한 설명을 읽어 갑니다.

때로는 그 그림 속에서 나만의 설명을 찾아 내기도 합니다.

 

아름답고 의미 있는 그림들이 사람들의 다친 마음을 어루만져 주는 모습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됩니다.

이 책은 곁에 두고 내 감정 상태에 해당하는 그림들을 보면서 나를 단련시키기 좋은 책입니다.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찾아가 직접 보면서 느끼는 거에 미치지 못하겠지만, 그러기 힘든 그림들을 편하게 책으로 만날 수 있는 시간들이 참 좋았습니다.

 

요즘 저는 병원과 집을 오가고 있습니다.

이틀에 한 번씩 집에 오는데 그런 시간에 이 책의 그림들과 글들이 제게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탁월한 표지 선정으로 인해 저는 '불타오르는 6월' 속에 파묻혀 있습니다.

당분간은 저 표지 그림으로 어수선한 마음을 달래 보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