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누구니 - 젓가락의 문화유전자 한국인 이야기
이어령 지음 / 파람북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젓가락 앞에는 귀천이 없다. 금 젓가락이든 은 젓가락이든, 젓가락질하는 법은 왕도 노비도 다 똑같다.

 

아시아권에서는 거의 젓가락을 씁니다.

그리고 그 젓가락은 거의 나무젓가락입니다.

어딘가에서 한국인들만 쇠젓가락을 사용하는데 그것이 한국인들의 뇌를 더 똑똑하게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포크를 사용하는 서양인들보다 젓가락을 사용하는 동양인들의 뇌가 더 발달하는데 거기에 무거운 쇠젓가락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한국인의 뇌는 더 발달했다는 내용이 과연 타당한 건지 의구심이 들었는에 이 책 <너 누구니>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어령 선생님의 유작이며 한국인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는 젓가락을 통해 본 한국인입니다.

젓가락 하나로 어떻게 이런 이야기를 할 수 있는지 읽으면서 감탄을 했네요.

늘 쓰던 거라서 공기처럼 그 존재감을 모르고 그저 당연한 걸로만 생각했는데 젓가락을 다시 보게 됐습니다.






젓가락 하면 바로 따라오는 것이 숟가락인데요, 숟가락을 통해 계급을 나누는 금수저, 흙수저 이야기도 재밌었습니다.

젓가락은 한 짝만 가지고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젓가락은 늘 짝이 있죠.

우리의 짝 문화는 젓가락을 사용하면서부터 시작되었는지도 모릅니다.

중국이든 일본이든 아이누든, 먹을 것을 옮기는 식도구의 이름이 직접 인체와 연결되어 있는 것은 한국뿐입니다. 손가락에서 젓가락이란 말이, 그리고 숟가락이란 말이 생겨난 것이지요. 그래서 손가락과 연결된 젓가락, 숟가락은 바로 내 몸의 피와 신경이 통하는 아바타인 것입니다.

 

그런데 숟가락 젓가락은 어떤가. 사이좋게 한곳에 나란히 놓인다. 젓가락은 두 막대가 짝을 이룬 것인데, 숟가락과 만나 또 하나의 짝을 이룬다. 이 단짝들은 급기야 한 몸이 되어 '수저'라는 이름으로 재탄생한다. 그렇다고 스포크처럼 서로 붙어 한 몸이 되는 게 아니다. 따로, 그러면서도 서로 조화로운 결합을 보이는 것이 '수저'의 철학이다.

 

 

우리의 짝 문화가 점점 사라지는 것을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적으셨는데 사회가 점점 개인화되어 가는 모습이 저도 씁쓸합니다.

불을 사용하는 인간은 음식을 익혀 먹게 되고, 음식이 익기를 기다리며 인내심이 생겼고, 불에 익힌 음식은 뇌를 더 발달하게 합니다.

인간은 음식을 나눠 먹으며 집단을 이루었고, 그것이 매머드 같은 큰 동물도 잡을 수 있는 힘을 주었죠.

"집단주의는 개인을 죽이는 게 아니야. 개인의 힘을 확장시키는 것이야. 개인(의 능력)이 개인 이상을 발휘하기 위해 집단을 형성하는 거라고, 그러나 오늘날의 집단주의는 개인을, 개인의 개성을 죽이잖아."

'최초의 전사'가 역사를 만들었다고 하지만 내가 볼 때 아니야. 최초의 역사를 만든 이는 싸움꾼이 아니라 '이야기꾼'입니다. 그 이야기 속 가장 큰 상징이 부지깽이를 든 여성입니다. 그게 우리나라에 오면 꼬부랑 할머니죠.

 

 

글보다 말이 먼저 생겼고, 말을 하면서부터 역사가 만들어졌는데 글로부터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하는 바람에 글이 없던 350만 년을 다 지워버렸다는 말씀에 고개가 절로 끄덕여진다.

 

이어령 선생님의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은 다양하고, 그 시선들은 직관적이다.

그러나 근거를 댈 수 있는 직관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넓고 다양해서 '해박' 이라는 말이 정말 잘 어울리는 분이라는 생각이 든다.

젓가락 하나로 한국인의 모든 것을 풀어내신 솜씨가 시쳇말로 '장난 아니다'

 

작은 것에서 꼭 필요한 것들을 찾는 해박함을 가진이가 드물다.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이 거시적인 이도 드물다.

그래서 사람들이 점점 더 좁아지고, 자기 안으로 침잠해 들어가는 거 같다.

 

이 책을 통해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짝' 문화와 '꼬부랑 할머니와 꼬부랑 고갯길'의 이야기를 되찾아 가는 시간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

한류 콘텐츠가 세상으로 뻗어가고 있는 이 시점에 올바른 안내자를 잃은 기분이 들어서 매우 애석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