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독산동 ㅣ 문지아이들
유은실 지음, 오승민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6월
평점 :
그림만 넘겨 봤을 때는 미쳐 몰랐다.
그저 독산동에 오래 살았던 친구가 떠올랐을 뿐이다.
그 친구 덕에 나도 독산동에 놀러 갔었다.
이름만 알고 있었던 동네는 첫 느낌은 내가 살던 곳보다는 덜 복잡한 느낌이었다.
어딘지 낡았지만 그리운듯한 느낌을 그곳에서 받았다.
오래전 내가 누비고 다녔던 골목길 가득한 대학로의 정서를 본 느낌이었다.
교과서에도 그렇게 나와 있다.
공장이 가까이 있어서 친구들과 놀다가 다치더라도 근처에 있는 엄마나 아빠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동네.
공장이 가까이 있어서 가끔 친구 엄마가 아이스크림을 사주는 동네.
공장이 가까이 있어서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인형을 가지고 놀 수 있었던 동네.
하지만 교과서에는 그런 동네가 살기 나쁘다고 쓰여 있었다.
은이는 그런 동네에 살고 있었지만 우리 동네가 가장 살기 좋은 동네라고 생각한다.
"아빠, 교과서도 틀릴 수 있어?"
"넌 교과서가 틀린 것 같니?"
"엄마, 선생님도 모를 수 있어?"
"넌 선생님이 모르는 것 같니?"
"선생님은 딴 동네에 사니까, 우리 동네를 잘 모르는 거 같아."
"우리 동네는 우리 은이가 잘 알지."
그저 자신이 살고 있는 세상이 전부인 아이가 자신의 동네를 자랑스러워하는 이야기인 줄 알았다.
문장들을 읽어 가며 그게 다가 아님을 깨닫는다.
교과서 만드는 사람도, 교과서로 아이들을 가르치는 선생님도 모른다.
이 동네가 얼마나 좋은 동네인지를...
그곳에 살아 보지 않은 사람은 알 수 없는 동네 분위기...
은이에게 이곳은 다정하고, 활기차고, 안전하고 즐거운 곳이다.
공장이 들어찬 이곳이 삶이 터전인 사람들 틈에서 은이는 행복하고 안전했기 때문이다.
그것을 모르는 외부인들의 눈에 독산동은 공장이 많아서 살기 나쁜 동네일뿐이었지만...
어른들이 그어 놓은 선.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편견.
어른들이 구현해 낸 세상.
그것들이 가진 밑천이 바닥을 드러내는 건 아이의 해맑은 시선이 부여한 세상의 온기였다..
우리가 사는 어느 곳이나 살기 좋은 때도 살기 힘든 때도 있었다.
지금 독산동은 은이가 기억하던 예전과는 다를 것이다.
40년이 넘도록 살았던 내 친구의 집도 이젠 사라졌으니까...
변두리.
예전에 많이 썼던 말이다.
변두리 하면 떠오르는 동네 이름들이 있었다.
그리고 변두리 하면 떠오르는 동네의 풍경도 있었다.
그것 역시 외부인의 편견이었음을 이제는 안다.
살기 좋은 편의 시설로 중무장한 지금 우리의 모습에선 그때의 정서를 찾을 수 없다.
살기 편리해지면서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이 어떤 것인지조차도 잊고 사는 우리.
내가 어릴 땐 온 동네가 서로 오고 갔다.
명륜동 그 동네의 집집마다 내 학교 친구들이 있었고 내 동생의 친구들이 살았다.
지금 내가 살고 있는 곳에선 이웃집에 누가 사는지 얼굴도 모른다...
나의 독산동은
내게 어린 시절의 우리 동네 모습을 떠오르게 했다.
그래서 간만에 어린 시절을 배회하는 중이다...
터전을 잃은 그 많은 사람들은 지금 어디서 살고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