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의 섬 웅진 모두의 그림책 41
다비드 칼리 지음, 클라우디아 팔마루치 그림, 이현경 옮김, 황보연 감수 / 웅진주니어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이름 없는 숲속에

<<소원의 늪>>과 <<잃어버린 시간의 폭포>> 사이에 자리 잡은 <<꿈의 그늘>> 이란 곳이 있습니다.

그곳엔 왈라비 박사라는 뛰어난 의사가 있습니다.

왈라비 박사는 '악몽'을 치료하는 의사입니다.



숲속에 사는 많은 동물들은 악몽에 시달립니다.

그들은 왈라비 박사를 찾아와 자신들이 꾼 악몽을 이야기합니다.

거대한 발에 짓밟히고, 스멀스멀 기어 다니는 괴물이 나타나고, 시커먼 어둠에 밤새 추격 당하고, 사나운 고함 소리에 고통을 받죠.

이런 악몽을 꾸는 동물들의 괴로움을 아는 왈라비 박사는 악몽 사냥에 나섭니다.

믿음직스러운 딩고와 시리오와 함께.

 

어느 날 테즈메이니아주머니늑대가 찾아왔습니다.






"꿈을 꾸면, 텅 비어 있는 듯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고 깊고 깊은 곳에서 가만히 웅크리고 있는 어둠만 보여요."

 

 

테즈메이니아주머니늑대의 악몽은 왈라비 박사도 모르는 꿈이었어요.

과연 왈라비 박사는 이 테즈메이니아주머니늑대의 악몽을 치료해 줄 수 있을까요?

 

다비드 칼리의 글과 클라우디아 팔마루치의 멋진 그림이 펼쳐지는 그림책은 단순히 악몽에 대한 꿈이 아니다.

악몽이라는 이름으로 왈라비 박사를 찾아오는 동물들은 멸종 위기에 놓이거나 멸종된 동물들이다.

 

간결한 이야기가 주는 울림이 페이지마다 담겨 있다.

동물들의 악몽의 의미를 알고 나면 그동안 지구상에서 인간에 의해 사라진 수많은 동물들에게 죄스러워진다.

아름다운 그림 속에 담긴 많은 이야기들을 이해하고 나면 그들이 왜 그렇게 고통받아야 하는지, 언제까지 그래야 하는지를 생각해 보게 된다.

 

책을 처음 펼치면 많은 동물들의 그림이 나온다.

그리고 마지막 페이지를 덮으면 또 다른 동물들의 초상이 나온다.

그들은 이제 사라지고 없는 동물들이다.

 

인간의 편의에 의해

인간의 욕심에 의해

인간의 무관심에 의해

그들은 삶의 터전을 잃고 사라졌다...

 

코로나19가 인간의 삶을 많은 부분 정지시켜 놓은 이 시간에

이 그림책이 주는 울림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하게 만든다.

 

환경을 생각하고

지구를 구하자는 이야기를 백날 해봐야 굳어진 문구와 말로는 사람들을 설득할 수 없다.

이렇게 멋진 그림과 간단하지만 정곡을 찔리는 글이 오히려 사람들에게 새로운 생각을 각인시킨다.

사라져간 수많은 동물의 초상 앞에서 언젠간 이곳에 그려질 인간의 초상을 생각해 본다.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지만

결국 인간도 동물 종이니 언젠가 천적이 생기면 멸종될 운명이다.

인간의 천적은 무엇일까?

기계화되는 인공지능의 세상이 바로 인간의 천적이 아닐까?

그때가 되면 이 그림책에 담긴 사라진 동물들의 심정을 이해하게 될까?

 

그림체에 혹해서 호기심에 즐겁게 읽다가

가슴이 먹먹해지는 아름다운 동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