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문
이선영 지음 / 비채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빛이란, 인간 표현 행위에서 가장 강렬한 것이다. 저쪽에서 나를, 혹은 이곳을 주시한다는 무언의 액션. 중요한 건 그 강렬함을 당사자가 온몸으로 느낀다는 것일 테다. 기현도 그랬다. 그녀를 향하던 눈빛이 볼록렌즈에 모아진 햇빛처럼 집요했다고. 결국 그 집요함이 그녀의 인생을 송두리째 태워버린 것일지도.

 

 

 

변사체.

실종자.

지적장애인.

외딴 작은 마을.

그 마을의 중심에 있는 자.

 

어디서 많이 보았던 공식이다.

추리소설 기법을 가진 이 지문이라는 소설은 섬뜩한 반전을 지니고 있다.

그 반전에 동의하는 나는 온전한 걸까?

 

가평 경찰서로 좌천된 규민에게 투신자살한 것으로 보이는 변사체가 맡겨졌다.

단순 자살 건으로 처리될 일인데 왠지 그의 '촉'을 건드는 것이 있다.

실종자 명단에서 사체와 비슷한 사람을 찾아내고, 실종 신고를 한 자매를 만나게 된 규민은 이 사건을 자살이 아닌 타살로 간주한다.

 

기현의 실종 신고를 한 의현은 '성' 이 다른 자매다.

어릴 때 엄마가 아빠와 이혼을 하고 동생을 데리고 다른 남자와 재혼을 해서 그 호적에 오른 동생 기현은 그늘진 인생을 살고 있었다.

엄마가 병으로 죽고 의부의 손에 남겨진 기현의 인생은 남들 눈엔 부잣집 딸로 호강하는 듯 보였지만 성폭행으로 얼룩진 인생을 살고 있었다.

 

이런 일엔 보통 두 가지 반응이 있다.

멀리에서 벌어진 일은 모두의 가십거리가 되고

아주 가까이에서 벌어지는 일은 모두의 침묵이 된다.

 

꽃새미 마을에서 벌어지는 성폭력과 장애인 착취는 그 마을 유지에게서 비롯되었다.

먹고사는 입들은 모두 눈 감고, 귀 막고, 입 다물었다.

경찰마저도.

 

그곳에서 성을 짓고 외부인을 차단한 채 자신만의 왕국을 이루었던 자.

자기 외엔 모두 다 아래로 보던 자.

아무도 자신을 건드리지 못한다고 자만하던 자.

오창기는 음지에서 자신만의 왕국을 만들어 놓고 군림했지만

 

이민흠은 소설가라는 타이틀과 교수라는 이름으로 어린 학생들을 유린했다.

 

"그 기집애, 누군지 좀 알 수 없을까요? 방송에 인터뷰한 애 말이에요. 윤 선생, 정말 짚이는 애 없어요? 지금 상황에서 내가 알아보긴 그렇잖아요. 윤 선생이 좀 알아봐줄래요?"

"그 여학생 찾아내서 어떻게 하시려고요?"

"찾아서 요절을 낼 거예요. 저까짓 게 뭔데, 내 인생을 이렇게 망가뜨리냐고!"

 

그럼.

너 까짓 건 뭔데 이제 막 인생을 시작하는 어린 여자의 인생을 망가뜨렸니?

 

뉴스에서

소설에서

누구의 친구의 친구의 친구 이야기로

들어봤던 이야기는 추리소설이 되어 지울 수 없는 지문이 되었다.

 

단순한 재미로의 추리소설이 아닌

추리소설을 가장한 사회적 문제를 드러내는 이야기였다.

 

지금도 음지에서 오기현과 김예나, 혹은 신명호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폭력에 시달리며 숨죽이고 있을 많은 이들에게 이 책이 작은 용기가 되길 바란. 세상과 사회가, 많은 사람들의 인식이 차츰 당신들 편에 서기 시작했다고 말하고 싶다.

 

 

작가의 말처럼

이제 음지에 있던 이야기들이 햇살 아래에서 기지개를 켜고 있다.

무관심과

나랑 상관없는 이야기로 생각했던 이들과

알고도 모른 척했던 이들과

소리 없이 분노하던 이들에게

당하기만 하던 사람들의 소리가 전해지기 시작했다.

 

이제.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일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일

피해가 올까 봐, 귀찮아서, 내 일이 아니니까 외면했던 일

 

이 모든 일은

바로 내 일이 될 것이다.

 

6단계만 거치면 모두 아는 이 좁은 세상에서

폭력의 가해자를 나만 무사히 피할 수는 없을 테니까.

설사 내가 무사히 피해 온 일이라 하더라도

건너건너 알아보면 우린 모두 피해자이고

우린 모두 누군가에게 가해자이기 때문이다.

 

한숨에 호로록 커피처럼 마셔버릴 수 있는 이야기지만

타르처럼 내 안에서 굳어져 가는 커피처럼

선명한 지문을 남긴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