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단어들의 사전
핍 윌리엄스 지음, 서제인 옮김 / 엘리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사전에 실리지 못한 단어들로 인류의 절반을 담당한 여성사를 담은 참신한 이야기.

단어는 시간이 흐르면 변하는 거란다. 형태도 변하고 발음도 변하지. 아예 뜻이 변할 때도 있어. 자기만의 역사가 생기는 거지


스크립토리엄은 옥스퍼드 사전을 편집하는 곳이다.

엄마가 없는 에즈미는 아빠의 일터인 그곳에서 자란다.

아빠가 일하는 책상 아래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에즈미.

그곳에서 수 많은 단어들을 접하고 아빠에게 글을 배우며 에즈미는 버려지는 단어들이 있다는 걸 깨닫는다.

사전에 실리지 못하는 단어들.

그리고 에즈미는 어느 날 하나의 쪽지를 훔친다.

[여자 노예]

그 쪽지들은 하녀 리지의 트렁크에 숨겨지고 그 날 이후 에즈미가 훔쳐온. 아니 구해온 단어들이 그곳에 담긴다.

바로 그거예요. 리지. 종이쪽지에 기록된 적 없는 수많은 멋있는 단어들이 분명 여기저기 날아다니고 있을 거예요. 그것들을 기록하고 싶어요.


옥스퍼드 사전을 편찬한 실존 인물들 사이에 허구의 인물인 에즈미를 포함시켜서 그 당시 많은 일을 했던 여성들의 서사를 보여주는 이 기막힌 이야기는 에즈미를 통해 그 시대를 살았던 여성들의 의지와 투쟁과 굳건함을 얘기한다.

남성들의 세상에서 남성들에 의해 재단되고, 남성들에 의해 버려졌던 수 많은 단어들.

단지 가난하고 무지한 사람들과 여자들이 쓰는 단어라고 심사에서 탈락해 버린 단어들을 수집하는 에즈미를 통해 여성사를

그리고 그 단어들을 모아 책으로 엮어 준 개러스를 통해 작가는 상생을 이야기 하고 있다.

울증Morbs

"왔다가 가는 슬픔이지." 메이블이 잠시 말을 멈추고 숨을 쉬었다. "나도 울증이 있고, 너도 울증이 있고, 심지어 여기 리지도 드러내질 않아서 그렇지 울증이 있는 것이다. 여자의 숙명인 것 같어."

"소름끼치는Morbid에서 파생된 게 틀림없어." 쪽지를 쓰기 시자하며 내가 혼잣말을 했다.

"난 슬픔에서 파생했다고 본다. 우리가 잃은 거, 우리가 절대 가져보지 못하고 절대 못 가질 거, 그런 거에서. 아까 말했듯이 여자의 숙명이지. 너희 사전에 들어가야 돼. 흔하게 쓰여서 모르는 사람이 없는 단어니까."


신선한 작품이다.

데뷔작이 이 정도라면 핍 윌리엄스라는 작가는 앞으로 얼마나 색다른 작품으로 독자들을 놀라게 해줄까?

이 이야기엔 대표되는 여성들이 있다. 여성의 권리를 위해 자기 자리에서 노력하는 여성들, 투쟁하는 행동파와 꾸준하게 여성들의 입지를 위해 노력하는 설득파, 자신의 인생을 남성들에게 맡기지 않고 스스로 개척하는 여성들과 타고난 신분에 굴하지 않고 심지 굳게 살아내는 여성들.

남성의 그늘에 가려서 그 어디에도 이름 석자 하나 올리지 못했지만 자부심이 있는 여성들.

에즈미는 그 복합적인 여성상을 온 몸을 보여주는 인물이기도 하다.


세상은 늘 보이지 않는 곳에서 변화를 주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에 의해 발전한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해주는 이야기였다.

옥스퍼드 사전 만들기에서 많은 일을 함께 했지만 사전 어디에도 이름을 올릴 수 없었던 여성들과

사전에 실리지 못했던 [여자노예]라는 단어에서 이끌어낸 이 이야기는 세상의 모든 약자들과 소외된 자들의 이야기다.


올해 또 한 권의 인생책이 생겼다.

잃어버린 단어들의 사전.

바꾸기를 원하는 사람이 충분히 많으면 틀림없이 세상은 바뀔 수 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