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범 대 살인귀 스토리콜렉터 88
하야사카 야부사카 지음, 현정수 옮김 / 북로드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입소자들은 어떠한가? 확실히 이 시설에는 이상한 녀석이 많다. 하지만 역시나 '이 녀석이라면 시체의 눈을 도려낼 것 같네' 싶은 녀석은 없다.


[착한 아이의 섬]

역설적인 이름을 붙인 섬엔 버려진 아이들이 살고 있다.

40명의 아이들과 직원 몇 명.


폭풍우가 몰아치는 어느 날.

직원들은 뭍에서 섬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아이들만 있는 섬에서는 살인자가 기회를 잡았다.


첫 페이지부터 잔인한 모습이 연출되고 피비린내가 코끝을 스친다.

뭔가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거라는 생각으로 길지 않은 소설을 읽어 간다.


요괴라는 것은 사람의 마음이 낳는 것이야. 어떠한 마음이냐면, 겁이나 슬픔, 원한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지. 요컨대 요괴에는 인간의 부정적인 감정이 농축되어 있어. 그래서 같은 인간이 섣불리 건드리면 위험하지.


개연성 없는 살인을 저 말로 덮으려 했던가!


소설을 읽었는데 마치 게임 스토리를 읽은 느낌이다.

추리도, 미스터리도, 공포도, 잔혹 스릴러도 아닌 살인을 위한 이야기였다.


줄거리는 그럴듯해 보였지만 읽는 내내 불편함을 떨치지 못했다.

아무리 소외되고, 격리된 아이들이라 해도 어떻게 사람을 죽이는 일을 저렇게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는 걸까?

게다가 살인의 방법도 어른들 보다 더 진화되 기술(?)을 가지고 있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살인에 대해 아무런 죄책감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작가가 일본에서 얼마나 많은 인기를 끄는 작가인지 알 수 없지만

이 내용이 일본의 많은 미스터리 동호회에서 꼭 읽어봐야 할 작품이라니

이 작품에 열광하는 이들의 한 단면을 보는 거 같아서 그 자체로 씁쓸하다.


죽음에 대한 예의도 없고.

사람을 죽이는 걸 게임 정도로 생각하는 이 아이들의 모습에서 연상되는 건 인간성에 대한 무지함이다.

이 이야기를 읽고 나처럼 충격을 받을 사람들도 있을 테고

이 이야기에서 단지 재미만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있을 거 같다는 생각에는 더 충격을 받을 거 같다.


살아가기 위해 계속 죽여야만 한다 얼마나 무거운 운명인가. 하지만.... 가만히 생각해보면 모든 인간이 그렇지 않은가. 살기 위해서 다른 생명을 먹고 있다.


위 논리를 적용하고 싶었다면 작가는 좀 더 공부를 하고 심사숙고해서 글을 써야 했다.

자신의 무모한 글을 살짝 포장하기 위한 저 떡밥에 호응하고 싶지 않다.


그동안 북로드의 스릴러들은 독자들에게 심각한 사건을 통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불어 넣어주는 이야기들을 많이 출간해왔다.

이 책이 북로드의 책이라고는 믿을 수 없다. 다 읽고 난 지금에도.


잔인함과 잔혹함에도 '마지노선'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아이들을 이용할 때에는 그 '정당함'도 들어 있어야 한다.

마지노선도, 정당함도 없는 이야기였다. 내겐.


나는 비교적 어떤 책에서라도 장점을 찾아서 좋은 점을 부각시키고 싶은 리뷰어다.

이 책에서는 그 어떤 걸 부각해야 하는 지 모르겠다.

소외된 아이들의 방어기재?

정신적 트라우마?

섬에 갖혔다는 상황?

아마도 아이들이 주인공이라서.

그 아이들의 냉랭한 인간에 대한 생각이 너무 많은 불편함을 내게 주었다는 것만 알 수 있었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았으나, 온전히 내 맘대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