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어하우스 플라주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90
혼다 데쓰야 지음, 권남희 옮김 / 비채 / 2020년 6월
평점 :
절판


 

 

살인범은 지금도, 아무렇지 않은 얼굴로 도쿄에 살고 있다.

그렇다. 이 사건에는 내 인생이 걸려 있다.

어떻게든 상품으로 만들어야 한다.

 

 

월세 5만엔.

청소는 교대로.

세 끼 식사 제공.

 

 

완벽한 셰어하우스라고 생각되는 이곳 플라주는 1층에 카페를 겸하고 있다.

입주자들은 2층에 머물고 일자리가 없는 사람들은 1층 카페에서 아르바이트도 할 수 있다.

상당히 좋은 조건을 가진 이 셰어하우스엔 전과자들이 산다.

사회로부터 한때 격리되었었던 사람들.

저마다의 과거에 발목이 잡힌 사람들.

어떻게든 사회 일원으로 되돌아가고 싶은 사람들.

 

 

 

이 가게의 이름, 플라주는 프랑스어로 '해변'이라는 뜻이다.

바다와 육지의 경계. 그것은 항상 흔들리고 있다.

 

 

한 번의 실수로 인해 인생을 까먹고 사는 다카오.

진의를 알 수 없는 눈빛을 가진 미와.

전 애인의 범죄에 얽힌 시오리.

친구를 죽인 살인범이라는 누명을 쓴 도모키.

애인을 구하기 위해 과잉방위를 하다 살인자가 된 미치히코.

교통사고 전과를 가진 아키라.

그리고 플라주의 주인 준코.

 

 

이들의 드라마를 읽다 보면 나름의 선함에 물들게 된다.

글자 그대로 보면 모두 범죄자이자 전과자들이지만 그들의 면면을 보면 우발적인 일이었을 뿐이거나

자기 자신을 지키기 위한 방어였을 뿐. 진정 나쁜 마음으로 일을 저지른 사람은 없었다.

그런 그들은 자신들의 죗값을 치르고 사회에 나왔지만 그들이 머물 곳도, 그들이 일할 곳도 녹록지 않은 게 바로 세상이었다.

 

 

그런 그들에게 안식처를 제공하고, 그들이 자립할 때까지 서로를 의지할 수 있는 플라주에 몰래 잠입한 남자는 그들 중 한 명을 다시 교도소로 보내고 싶어 한다.

살인자가 너무 쉽게 무죄로 풀려났고, 분명 그 배후에는 모종의 거래가 있을 거라 믿는 기자.

그는 자신의 기사를 완성하기 위해 플라주에 입주해서 자신의 주장을 마무리하려 한다.

 

 

우리가 전과자인 건 사실이니까. 인생이 그렇게 간단히 리셋되지 않아. 과거는 언제까지고 따라다녀... 속죄는 할 수 있어도 실수를 저지른 과거를 지울 순 없어.

 

- 읽은 사람의 가치관을 뒤흔들 수 있는 강렬한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

 

혼다 데쓰야의 글은 처음이다.

무심하게 흐르는 사람들의 과거가 그들을 다르게 보이게 만들지 않는다.

독자는 그들의 과거를 앎으로써 그들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

그래서 이야기가 끝나고 나면 내가 믿고 있는 사실들에 대해 다시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말이 있다.

죗값을 치른 사람들은 어째서 사회에서 받아들여지지 못하는 걸까?

어쩜 우리 모두가 끼고 있는 편견이란 색안경이 그들의 죄만 볼 뿐 그 사람을 보지 않아서인지도 모르지.

 

 

많은 생각이 필요한 이야기다.

그들을 말없이 품어주는 준코의 이야기가 바로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였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발버둥 쳐도 받아들여지지 않는 곳에서 다시 모진 마음을 먹거나, 사람 노릇을 하지 못한 채로 스러지거나, 아니면 아예 인생에서 사라질 수밖에 없는 선택지를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였다.

 

 

누군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한 사람들.

그 한 걸음을 내딛기까지 많은 용기가 필요한 사람들.

하지만 사회는 그들이 내민 손을 외면하기 바쁘다.

 

"저기 말이야, 얘기할 수 있는 사람과 할 수 없는 사람의 경계랄까. 그런 걸 아는 거 중요해. 모두 알아줄 필요는 없고 누구에게나 알릴 필요도 없어. 근데 아무한테도 알리지 않으려고 하다 보면 사람은 의외로 쉽게 펑크가 나버려."

 

 

죄만 미워할 수 있을까.

죗값을 치른 사람에 대해 아무런 편견 없이 사람만 볼 수 있을까.

그들을 믿을 수 있을까.

 

 

플라주엔 방문이 없다.

아무것도 숨길 것이 없는 사람들이 되는 연습을 시키기 위한 준코의 생각이 옳은 결과를 많이 가져오길 바란다.

 

 

진정한 죄인은 반드시 그 죗값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것이 선의로 이루어진 것이든, 악으로 이루어진 것이든.

 

 

마지막 반전에 이르러서야 인간의 본성 앞에서 간담이 서늘해진다.

한동안 이 책을 읽고 가지게 되는 의문점들에서 놓여나기 힘들 거 같다.

 

 

작가는 자신의 말을 지켰다.

내 가치관은 지금 흔들리는 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