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두가 빅 엔젤의 미소를 믿었다. 그래야 했으니까. 그들은 언제나 빅 엔젤을 믿어왔으니까. 그는 그들의 법이었으니까.

 

 

70세 빅 엔젤.

암 선고를 받은 그는 마지막 생일을 위해 파티를 연다.

여기저기 흩어져 살고 있는 일가친척을 모두 불러 보아 성대한 파티를 계획했다.

하지만 그의 생일을 얼마 앞두고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어머니의 장례식은 빅 엔젤의 생일 하루 전이었다.

 

 

파티를 위해 모였던 사람들은 장례식에 간다.

늘 시간을 지켰던 빅 엔젤은 멕시칸 타임을 누리는 식구들로 인해 장례식에 지각을 하고 만다.

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

자기 한 몸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빅 엔젤은 그저 식구들이 빨리 움직여 주기만을 바라지만 우왕좌왕 식구들은 모두 느긋하기만 하다.

 

 

가부장 중심과 가족주의의 멕시칸.

많은 등장인물들과 그들의 사연이 주를 이루는 이야기.

마치 백 년 동안의 고독 21세기 판처럼 느껴진다.

 

 

빅 엔젤에겐 아버지를 뺏어간 동생 리틀 엔젤이 있다.

미국 시민권을 위해 만난 여자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리틀 엔젤.

굶주림에 시달렸던 빅 엔젤의 형제들이 아버지 없이 살고 있을 때 리틀 엔젤은 온갖 것을 누리며 살았다.

그들은 그렇게 믿었다.

 

 

죽음을 앞에 두고 사람들은 풀고 싶은 회한이 있다.

그것이 무엇이든 저마다의 방법이 있다.

이 책에선 갖가지 등장인물들의 개성이 모여서 시끄럽고 복잡 복잡하고

정신없고, 아찔하고, 멋지게 맞불을 놓는다.

이야기들은 저마다 자유 의지를 가지고 몇 년을 건너뛰고 수십 년을 무시한 채로 다가오는 듯했다. 빅 엔젤은 어느새 시간의 폭풍 속에 서 있었다. 그에게 과거란 마치 라스 풀가스 극장에서 본 영화처럼 보였다.

 

아픈 몸으로 빅 엔젤은 현실감보다 시도 때도 없이 찾아오는 과거의 기억을 본다.

아름다웠던 기억보다는 괴로운 기억이 선명하다.

죽음 앞에서 나도 그럴까?

 

"네가 아기였을 적에, 내가 널 씻겨주었는데."

미니는 눈이 따갑지 않은 베이비 샴푸를 짜느라 정신이 없었다.

"나는 네 아버지였어. 그런데 지금은 네 아기가 되었구나."

 

 

아버지를 돌보는 미니.

목욕을 시키고 기저귀를 갈아주는 딸 앞에서 빅 엔젤은 아이처럼 투정을 부린다.

 

 

사랑스러운 가족이다.

다툼과 욕설이 난무하는 사이지만.

그 안에 끈끈한 정들 이 뭉쳐져 있다.

 

 

우리가 하는 건 말이다. 얘야. 바로 사랑이란다. 사랑이 답이야. 아무것도 사랑을 막을 수가 없어. 사랑에는 경계도 없고 죽음도 없지.

 

 

거칠고, 상스럽고, 도무지 경계가 없는 가족들의 이야기.

그런데도 그들이 서로에게 가지고 있는 애정을 확인할 때마다 온기가 생긴다.

우리네 정서와는 조금 다른 멕시코인들의 가족애는 마치 코미디 한 편을 보는 거 같았다.

 

 

파티는 극적으로 마무리되었고

모두는 서로의 앙금을 거두었다.

아버지의 아들

아들의 아들

그들은 그래서 가족이었다.

 

 

매번 더 나아지고 있는.

그러나 옛 감성을 그리워하는.

 

 

대 가족을 어깨에 지고 스스로 법이 되어 살아야 했던 빅 엔젤.

그가 마음의 짐을 덜어내고 조용히 죽음의 시간으로 여행을 떠났음에 안도하게 되었다.

그가 없는 빈자리를 채울 누군가가 있음으로.

 

 

가족은 늘 그렇게 채워지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