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을 뚫고 시가 내게로 왔다 - 소외된 영혼을 위한 해방의 노래, 라틴아메리카 문학 서가명강 시리즈 7
김현균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서가명강 일곱 번째 시리즈는 바로 문학이다.

라틴 아메리카 문학.

영미문학에만 치중해 있던 우리나라에 라틴 문학은 극소수 작가들의 작품만 번역되어 있었다.

그것도 거의 중역이었다.

그래서 난생처음 접한 라틴 문학의 손꼽히는 작품 '백년의 고독' 을 읽다가 던져버렸던 슬픈 시간이 생각난다.

도대체가 무슨 말을 하는지 그 당시 나는 그 책을 거의 이해하지 못했었다.

지금은 많이 나아진 환경에서 라틴 문학을 접하고 있지만 그때의 트라우마 때문인지 '백년의 고독'은 내게 늘 고독하게 남아있을 거 같다.

어쨌든 요즘은 문학도 한곳에 치중하는 것이 아닌 글로벌하게 접할 수 있어서 나름 다양한 시간을 보내는 와중에

이번 서강명강 시리즈가 라틴 문학을 다루고 있어서 기대가 되었다. 

이 책에선 5명의 시인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시인들의 시인, 루벤 다리오.

잉크보다 피에 가까운, 시인 파블로 네루다.

영혼을 위무하는 시인, 세사르 바예호.

 

신성한 전통에 총구를 겨눈 반시인, 니카노르 파라.

파블로 네루다는 일 포스티노라는 영화로 알게 된 시인이다.

그의 감성적인 시를 영화를 통해 만났지만 제대로 아는 건 없었다.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준 시인인 네루다.

그래서 그를 좀 더 알 수 있게 되어 반가웠다.

하지만 네루다 보다 더 내 맘을 끌었던 시인은 파라다.

반시인 파라.

 

 

좋다, 밤은 길다

스스로 잘났다고 믿는 시인이라면 누구나

자신만의 사전을 지녀야 한다,

 

 

안티 정신으로 무장한 이 시인의 시는 재기 넘치고 오늘날 유행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통쾌하다.

현실을 그렇게 풍자적으로 비꼰 시들은 현대시의 시조라고 할 만한다.

전통의 기법들을 새로운 기법으로 갈아치웠다고나 할까?

 

 

 

파라의 거의 모든 시를 관통하는 시적 장치는 바로 유머와 아이러니, 패러디라고 할 수 있다. 유머는 블랙 유머인 경우가 많고, 패러디는 과거의 전통을 전유하여 다시 쓰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장치가 된다.

 

신랄한 유머.

재기 넘치는 은유.

정곡을 찌르는 시어들이 그의 매력을 가중시킨다.

 

어린 시절의 추억:

나무들은 아직 가구의 형태를 갖지 않았고

통닭은 산 채로 풍경 속을 돌아다녔지

기쁜 소식:

백만 년 뒤에

지구가 회복된단다

그런데 사라지는 건 바로 우리들

 

 

이 시를 읽는 데 뒷덜미에서 찬바람이 분다.

자연은 회복해도 인간은 사라지는 이 세상.

시인의 날카로운 말이 뇌리에 박혀 떠나지 않는다.

이토록 공허한 느낌이라니.

 

칠레에서는 인권이 존중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언론의 자유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곳에서는 백만장자들이 지배한다.

닭장은 여우에게 맡겨져 있다.

여러분에게 청하건대

어느 나라에서 인권이 존중되는지 알려 달라.

 

이 시에서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의 현실을 본다.

파라가 젊었을 때 보다 많은 발전을 했지만 우리는 여전히 자유가 없고, 인권이 없으며 지배당하고 있다.

100세를 넘게 장수한 시인 니카노르 파라.

거침없이 내지른 시들이 그의 장수의 비결은 아니었을까?

 

파라가 신선한 자극제였다면 고통을 짊어진 시인이 있었다.

신이 아픈 날 태어났다. 라고 말하는 시인 세사르 바예흐.

그에 대한 이야기를 읽는 데 계속 가슴이 아프다.

아주 쉬운 말로 절절함을 적어가는 시인의 말은 그래서 더 아프게 다가온다.

 

식탁에 앉아 쓰라림을 삼켰다. 배가 고파

한밤중에 잠 못 이루고 우는 아이처럼...

 

평생 가난 때문에 고통받은 시인은 그럼에도 타인에게 용서를 빈다.

그들의 배고픔이 자신의 잘못이라고.

배고팠던 자만이 배고픈 자를 이해하는 아이러니.

파라와는 다르게 단명했던 바예흐의 고단한 삶이 가슴 아프다.

 

라틴 아메리카.

무언가를 빼앗겨 본 사람들의 정서는 통하는 게 있다.

그래서 영미문학 보다 라틴 문학에 우리와 더 일맥상통하는 느낌이 있는 거 같다.

이 시인들은 모두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이자 많은 뮤즈를 거느린 바람둥이였다.

정열의 라틴 문화 속에서 자란 시인들답다.

 

생소함이 익숙함으로 자리 잡기에 좋은 시작이다.

서가명강 일곱 번째 이야기는 낯선 문화가 조금씩 익숙해지는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