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펙트 마더
에이미 몰로이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사람들은 임신한 여자가 어떤 축복을 받는지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려 드는 걸까요? 왜 우리가 입은 손해에 대해서는 아무도 말하지 않는 거죠?

 

도시 여성 스릴러라는 호기심 어린 타이틀로 시작한 퍼펙트 마더.

제목이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완벽한 엄마는 어때야 하는 걸까?

 

출산 전부터 맘 카페에 가입하여 아이가 태어나고도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고, 육아의 고단함을 이야기하며 서로의 위로가 되어주던 맘 카페 회원들이 어느 날 회원 중 한 명인 위니가 싱글 맘인 것을 알게 되면서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혼자서 아이를 돌봐야 하는 위니를 위해 엄마들은 하루 날을 잡아 아이를 맡겨두고 자유의 시간을 즐기기로 한다.

거절하는 위니를 계속 설득해서 모임에 나오게 만든 넬.

아이들의 사진을 재미 삼어 찍어주는 호기심 많은 프랜시.

시장의 전기를 대신 써서 대박 난 대필 작가 콜레트.

이렇게 셋은 엄마들의 모임 주축 멤버로서 그날의 모임을 이끈다.

겨우 설득 끝에 모임에 참석한 위니의 아기 마이더스가 바로 그날 실종되는 일만 없었다면 그날은 그렇게 모두가 행복했을 것이다.

 

왜 안 돼? 나도 누구 못지않게 하룻밤 나가서 놀아도 괜찮은 사람이야. 재미있게 놀 자격이 있어. 왜 집에 남아서 아기에게만 집착해야 해? 다른 엄마들은 다들 나가서 잘만 노는데. 기념일도 축하하고, 술도 한 잔하잖아? 그 엄마들은 이 새로운 세상을 참 쉽게도 헤쳐 나가고 있잖아. 너무나도 평온하게. 너무나도 자신만만하게. 짜증나도록 완벽하게.

마이더스의 실종은 위니의 정체를 탄로나게 하고, 예전에 하이틴 배우였던 위니를 둘러싼 각종 가십들이 본질을 흐리게 만들고, 그날 모임을 이끌었던 엄마들 각자의 사연들이 하나씩 벗겨지면서 이야기는 끝을 알 수 없게 달려간다.

그리고 진실한 트릭이 이야기 속 이야기에 잘 숨겨져서 마지막까지 독자들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려놓는 데 성공한다.

어떤 게 진실인지 읽는 이들을 오락가락하게 만든 이야기 솜씨가 좋았다.

그리고 정말 오지랖 넓은 프랜시를 안타까워하면서도 그녀 때문에 많이도 짜증스러웠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

하지만 그녀가 아니었더라면 이 이야기를 어떻게 마무리했을지 생각해보니 프랜시야 말로 이 이야기의 일등 공신이 아닐까 한다.

임신과 출산과 육아를 한달음에 헤쳐 나가야 하는 여자들의 심리를 탁월하게 잘 써 내려갔다.

일과 육아를 병행해야 하는 여자들의 입장과 현실과 감정의 들숨날숨들이 곳곳에서 불을 뿜는다.

 

 

 

 

 

 

 

'여자들이 전부 다 누려야 한다'라는 생각이 이제 그 대가를 치르고 있다고 봅니다.

 

 

아이의 실종에서 아이 엄마의 과거로

아이 엄마의 과거에서 그날 모임에 참석했던 엄마들이 술을 마셨다는 이야기에 초점이 모아진다.

하루 단 몇 시간의 일탈이 그리도 용서받을 수 없는 일일까?

이 이야기는 단락마다 이메일 형식으로 육아 상식에 관한 글들이 적혀 있다.

맘 카페 회원들에게 매일 발송되는 메일이다.

그 육아 상식들을 읽자니 복잡한 마음이 든다.

과연 이 상식이 모든 아기들에게 올바르게 적용되는 상식일까?

초보 엄마들의 아기 키우기는 옆에서 잘 도와주는 남편이 있다 해도 어려운 법이다.

서로 각자의 정보를 공유하다 해도 어려운 법이다.

하물며 홀로 아이를 키워야 하는 사람에게는 더더욱 어려운 법이다.

게다가 상실의 아픔을 겪었던 사람에겐 더더더욱...

여자들의 이야기다.

용감한.

돈을 주고 모르는 사람에게 아기를 돌봐달라고 부탁하면서, 정작 엄마라는 사람은 아기 발 사진이나 보면서 몇 시간을 보내다니 얼마나 우스운 짓인가.

 

지구상에서 아이를 낳고 기르는 모든 여자들에 대한 이야기였다.

각자의 분신들이 이 이야기 속에 있을 거라 생각된다.

콜레트처럼 아이의 발육이 늦어져 속을 끓이거나, 프랜시처럼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거나,

위니처럼 홀로 아이를 키우기로 결정했거나, 넬처럼 자신의 아이를 떼어놓고 출산휴가를 앞당겨 끝내야 하는 마음들이 곳곳에서 아프다고 아우성을 치고 있었다.

이 불안정한 심리들은 그녀들의 호르몬 탓일까?

왜 아이에게 생긴 문제들은 모두 엄마 탓이어야만 할까?

이런 생각 뒤에 오는 반전이 너무 급하게 나타났다 사라지기에 이야기의 맥이 잘 나가다 끊긴 느낌이다.

그 부분을 좀 잘 다듬었다면 좋았을 거란 아쉬움이 남는 이야기였다.

급하게 마무리 지은 느낌 때문에 조금 허무했지만 읽는 내내 숨 가쁘게 느껴졌던 긴장감이 좋았던 스릴러였다.

육아는 전쟁이다.

어쩜 전쟁보다 더 한 것인지도 모른다.

아무렴.

사람을 길러내는 일임에 그것은 갖지 않아도 될 죄책감을 갖게 되는 일이기도 하지.

앞표지의 당당했던 여자들의 모습은 뒷 표지에서 고개를 숙이고 있다.

그리고 이런 문구가 더해졌다.

 

 

"아기를 낳았다고? 축하해! 이제 모든 게 네 잘못이 될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