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피센트 디즈니의 악당들 4
세레나 발렌티노 지음, 주정자 옮김 / 라곰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레피센트.

몇 년 전 동명의 영화를 안젤리나 졸리 주연으로 보았다.

그때까지만 해도 디즈니 만화의 악역에 이름이 있었다는 걸 몰랐다.

그저 배경으로 마녀라는 이름으로 존재했을 뿐이다. 나에겐.

말레피센트가 가장 강력한 마녀이며, 잠자는 숲속의 공주와 연관된 그 마녀라는 사실을 어른이 되어서야 알게 된 뒤로

이 디즈니 악당들에 대한 관심도가 생겼고, 그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가 제작되기를 바랐었다.

라곰 출판사에서 디즈니 시리즈 악당 편이 나오고 말레피센트는 4번째 시리즈다.

전 시리즈를 안 읽어도 개별적인 이야기라고 생각했는데 읽어보니 모든 시리즈의 인물들이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는 거 같다.

마치 미드 원스 어폰 어 타임처럼.

그 이야기에도 책이 한 권 나오고, 그 미완성의 책에 쓰이는 이야기에 따라 디즈니 캐릭터들의 운명이 바뀌기도 했다.

악당들 저마다의 사연을 보고 있노라면 악당으로 태어난 자들은 없다.

악당으로 만들어졌을 뿐.

그것도 사소한 오해와 불신으로...

말레피센트에도 드라마와 같은 책이 존재한다.

미래를 보여주는 책.

말레피센트는 영화와는 다른 이야기로 진행된다. 그래서 영화를 소설로 엮은 것이라 믿었던 내 예상은 빗나갔다.

요정의 아이로 태어났으나 다른 생김새 때문에 요정들로 부터 배척받는 말레피센트.

죽도록 버려진 아이를 거둬들인 건 요정들의 유모.

웃기다.

착한 요정의 타이틀을 가진 요정들이 자신들과 조금 다르다고 말레피센트를 왕따시키고, 못마땅해하고, 사라지길 원한다는 게.

그런 마음으로 어떻게 착한 요정짓을 할 수 있을까?

말레피센트는 자신이 다른 학생들보다 더 똑똑한데도 교사들이 자신을 싫어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교사들은 다른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애정이나 보살핌을 말레피센트에게는 조금도 드러내지 않았다.

요정 왕국은 유모와 요정 대모가 다스리는데 두 요정은 자매지간이다.

유모는 요정이면서 마녀의 핏줄을 지녔다.

그래서 요정 대모와 묘한 대칭을 이룬다.

유모는 말레피센트를 딸처럼 키우지만 요정학교에서 그녀를 배척하는 걸 막지는 못한다.

결국 착한 요정 시험날 말레피센트는 가장 아끼던 까마귀들이 위험에 처한 걸 알게되고 그녀의 분노가 그녀를 변신 시킨다.

그 날 말레피센트는 초록용으로 변신하고 요정나라를 불태웠다.

그 일로 말레피센트는 모든 요정의 적이 되었고, 가장 강력한 마녀로 거듭났다.

그리고 말레피센트는 오로라 공주의 탄생 기념일에 초대받지 못하고 그 이유로 그녀는 오로라 공주에게 저주를 내린다.

오로라 공주가 16살이 되는 날 물렛가락에 찔려 죽을 거라는 저주는 착한 요정들에 의해 잠에 빠지는 것으로 대체되었다.

그 착한 요정들은 요정학교에서 말레피센트를 골탕 먹이던 요정들이었다.

동화.

아름다운 이야기도 그 이면을 들추면 추악한 면이 나온다.

다른 것을 용납하지 않는 것.

다른 것을 나쁜 것으로 규정짓는 것.

누군가에겐 착한 요정이지만 누군가에겐 사악한 요정이 될 수 있다는 것.

말레피센트와 오로라의 관계가 드러나며 이야기의 끝을 가늠할 수 없게 만든다.

자신이 잃어버린 것을 찾기 위했을 뿐이었는데...

꼬임에 빠져 무엇을 잃는지도 모르고 행해진 마법.

마법엔 응당 그에 해당하는 대가가 따른다는 걸 알게 된 이야기.

왜 어린 여자들은 목숨을 구하려면 남자가 필요하죠?

왜 공주는 자기 목숨을 구하기 위해 직접 사울 수 없냐고요.

왜 저주를 직접 풀지 못하냐고요?

왜 그런 일에는 왕자가 필요하죠?

 

 

말레피센트의 이 말에는 디즈니의 반성이 엿보인달까?

디즈니의 이야기는 오랫동안 많은 여자아이들을 연약하고, 왕자를 꿈꾸고, 스스로 자신을 위해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항상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한 연약함으로 그려냈다. 그리고 그것을 보고 자란 여자아이들은 은연중 스스로 자신을 혼자서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나약한 인간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

세상이 바뀌고 시대의 흐름에 부흥하고자 공주 대신 악당을들 이야기함으로써 그 안에 그동안의 반성의 기미를 써넣은 거 같다.

사실 꽤 괜찮은 접근법이었는데 읽는데 집중력을 흐트러뜨리는 끊어지는 문장들 때문에 책을 읽는 데 거슬림이 있었다.

그것이 원작의 문제인지 아니면 번역의 문제 인지 잘 모르겠지만, 문장들이 매끄럽게 이어지는 게 아니라 토막토막 잘리는 느낌 때문에 감정이 이어지지 않아서 답답했다.

게다가 왔다 갔다 하는 시간의 변화무쌍함도 이야기를 읽어가는 데 방해가 되었다.

가장 멋진 반전과

가장 멋진 이야기 소재가 될 수 있었는데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어쨌든

이 방대한 프로젝트는 디즈니 캐릭터들이 하나하나의 이야기들이 아니라 모두 연결되어 있다는 원대한 포부로 이어지는 거 같다.

가장 강력한 마녀 말레피센트.

태어나면서부터 버려진 아이를 사랑으로 감싼 유모

그 유모의 품에서 자신을 잃지 않았던 말레피센트는 가장 사랑하는 것을 잃음으로 괴물이 되었고

가장 사랑하는 것을 얻음으로써 모든 걸 잃었다.

어쩜 디즈니 악당들 중에서 가장 외롭고, 애틋한 캐릭터가 아닌가 싶다.

영화와는 다른 이야기로 그녀의 아픔을 잘 보여주는 이야기

괴물은 만들어지는 것이다.

괴물로 태어나는 게 아니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