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 서정시
리훙웨이 지음, 한수희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생소한 설정에 특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야기 왕과 서정시

고급 진 가제본의 위용과 1부와 2부로 나누어진 이야기는

각 부가 한 글자를 중심으로 서너 페이지로 구성되어 마치 단편 같은 느낌이 든다.

짧은 글들이 모여 장대한 이야기로 부풀려지는 느낌이랄까.

2050년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발표된다

위원왕후가 그해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다.

그러나

위원왕후는 시상식을 앞두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이렇게 단절한다. 잘 지내길.

죽은 위원왕후는 이런 메일을 리푸레이에게 남기고

그를 자신의 장례식에 초대한다.

노벨상을 받은 왕후의 타타르 기사에 나오는 장례식과 똑같은 방식의 장례를 치르면서 리푸레이는 왕후가 자살한 게 아니라고 의심한다.

그의 죽음은 무엇을 말하는 걸까?

작가 리홍웨이는 진시황과 분서갱유에서 모티브를 얻은 거 같다.

제국의 왕

책을 읽기 전에는 이 제국이 하나의 나라이고 왕은 그 나라의 왕이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제국은 첨단 IT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고, 왕은 이름 자체가 왕인 제국의 회장이다.

그가 영원한 영생을 얻기 위해 첨단 기술로 어떤 일을 저지르는지를 알게 되면 등골이 서늘해진다.

의식공동체

의식결정체

이동영혼

생소한 말들은 미래의 현실을 말해준다.

미래 사람들은 뇌에 칩을 심어 서로의 의식을 공유한다.

어디에서든 어떤 장치도 없이 사람들은 보고. 듣고. 말하고 느끼는 모든 것을 공유한다.

즉 지금 우리가 스마트폰으로 행하는 모든 SNS를 칩이 심어지면 다른 도구가 필요 없이 모두의 의식 공동체에서 서로 연결되어 모든 걸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그것을 관장하는 제국이라는 이름의 회사는 이 기술로 세상을 장악하게 되고 제국의 보스는 왕이라는 이름으로 결국 세상의 왕이 되어 있다.

오래 걸려 읽었다.

생소한 형식의 글

기발한 생각

그리고 암울한 미래

한 번 읽어서는 이 이야기의 골자만 겨우 알아챌 뿐이다

왕이 불멸로 향하는 길에서 인류의 발목을 잡는 모든 언어 장애물 또는 걸림돌이 전부 문학에서 나오니까요. 문학은 인간 자신의 병균이고 서정성은 하느님이 아담과 하와를 쫓아낼 때 그들의 몸에 새긴 저주니까요.

다들 국내 정상급 대학의 교수, 정상급 연구기관의 학자나 전문가들이었어요. 모든 공장 전체적으로 책 태우는 사람이 1천여 명 되는데 그들 모두가 각계에서 가장 우수한 사람들이었죠

 

 

 

그는 화로 앞을 지키고 있는 노인들을 보며 마음속으로 그들에게 절을 올렸다. 글자가 담긴 종이 곁에서 문자와 지식, 이성의 총결산과 감성의 토로를 장례 치르듯 자신의 손으로 화로에 넣고 있는 행위에 대한 경의의 표시로.

종이가 사라지고

필요한 글자 외의 글자들이 사라지고

모두의 의식이 조작되고 설계되고 재단되는 세상

왕이 추구하는 세상이었다.

사람들의 의식을 한곳에서 관리하게 된 제국은 의식 공동체를 통해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것을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단계를 이루었다.

그들은 디지털화된 의식을 통해 인간의 생각을 단순화 시키고 그 과정을 통해 불필요한 글자들을 없애 버린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잘 사용하지 않는 글자가 자연스레 도태되어 사라지는 거 같지만 글자가 사라짐으로 인해 그 글자에 담긴 뜻과 감정들도 함께 사리 진다는 걸 아무도 눈치채지 못한다.

결국 인류는 의식공동체로 인해 기계회 되고, 획일화되면서 스스로 생각할 수 있게 되는 것이 아닌 주어지는 정보만을 습득하여 그 정보 위주의 생활만을 영위할 뿐이다.

인간은 편리에 의해 이 모든 것들이 사라진다는 자각 없이 살아가는 세상이 된 미래.

아무런 의심 없이 편리한 세계를 이용한다고 생각하지만

결국은 그것에 의해 이용당하는 세상

언어에서 서정성을 제거해서 기계적인 언어와 사고로 인간을 융합하려는 계획

그렇게 최적화된 인류의 탄생은 시작되는 걸까?

심오한 이야기 한 편

가까운 미래에 벌어질지도 모를 이야기들

발전과 편리함이 가져다주는 부정적인 미래

그 미래를 위해 우리가 지금 지켜내야 하는 건 무엇일지를 생각해보게 하는 이야기였다.

최고의 연구진이자 대학에서 학문을 가르쳤던 엘리트들이 종이들의 장례식장에서 아무런 보수도 없이 책들을 불태우는 광경은 소름 끼치는 장면이었다.

기술이 발전하고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도 인간은 불멸이 아니기에 육체적 노화는 죽음으로 이를 수밖에 없다.

리푸레이는 왕후의 죽음을 조사 끝에 왕후와 왕이 제국이 만들어지기 전부터 서로 아는 사이였고, 제국이 만들어진 이후 왕은 왕후의 인생 전체를 설계했다는 사실을 알아낸다.

즉 언젠간 왕후가 노벨상을 받을 것을 계획하고 20여 년 전에 미리 노벨상 시상식에서의 연설문 초안을 만들어 놓았던 것이다. 그걸 알게 된 왕후는 자신의 생이 스스로의 결정으로 이루어진 게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고 스스로 목숨을 놓았던 것이다.

그러면서 리푸레이를 자신의 죽음으로 이끌어 제국과의 연관성을 알아차리게 만든 저의는 무엇일까?

이 이야기에서 가장 끔찍한 대목은

리푸레이 자신도 한때 제국에 몸담고 있었고, 왕의 눈에 띈 직원으로서 제국의 앞날에 관한 기획안을 작성했다는 것이다.

그 기획안으로 칭찬받을 것을 기대한 리푸레이에게 칭찬 대신 한직으로 밀려난 인사가 이루어지고 그것에 반대해 사직서를 제출한 리푸레이는 그대로 제국에서 퇴출당하고 만다.

육체는 소멸되고 의식만 남은 왕은 자신의 의식을 이식할 후계자를 찾게 되고 그 후보자 중 1위가 바로 리푸레이였다.

제국은 리푸레이가 작성한 기획안대로 이루어졌고, 이 끔찍한 세계의 발판을 마련한 게 바로 자신이라는 걸 깨닫게 되는 리푸레이.

그는 왕의 의식을 이식받아 왕의 꼭두각시 노릇을 하게 되는 걸까?

육체는 소멸해도 의식은 남는 디지털 유령.

왕은 자신의 의식을 이식할 대상을 찾는다.

번드르르한 말로 풀이하지면 윗 세대의 지혜를 공유하는 것이지만 결국은 내 디지털 영혼에 너의 젊은 육체를 연결해 달라는 뜻이다.

이것이 왕이 갈망하는 불로장생의 방법이었다.

가끔은 지금보다 불편했을지언정

감성이 흐르던 아날로그 시대가 더 풍요로웠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고 나니

90년대로 돌아가고 싶다.

아니

스마트폰 세상 이전이라도 좋을 거 같다

적어도 그때는 사람들의 시선이 서로 얽히는 시간이 많았을 테니...

좁은 사각 세상에 코 박고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세상을 보는 시야도 딱 고만큼만 되어버린 지금.

우리는 누구를 위한 세상을 살아내는 것일까

생각이 정말 많아지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