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0호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움베르토 에코의 마지막 작품은 이 세상에서 가려내야 할 가짜 뉴스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에 대한 고찰 같다.
우리에게 이러하게, 교묘히, 알게 모르게 진짜처럼 스며드는 가짜 뉴스는 이런 목적으로, 이런 사람들을 위해, 저런 사람들의 눈을 흐리기 위해 이렇게 만들어진다.라고 장문의 기사를 써 내려간 듯하다.

신문들은 뉴스를 널리 전파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뉴스를 덮어서 가리기 위해 만들어진 것 같아.
X라는 사건이 벌어지면, 신문은 그것을 다루지 않을 수 없어. 하지만 그 뉴스를 거북하게 받아들일 사람들이 너무 많아. 그러면 같은 호에 독자의 머리털이 곤두서게 할 만한 충격적인 기사들을 싣는 거야. 한 어머니가 네 명의 자식을 참혹하게 죽였다든가, 국민의 저축이 재처럼 헛된 것이 되어 버릴 거라든가 하는 기사들 말일세. 그러면 X라는 사건의 기사는 정보의 바다에서 익사해 버리지.

 

어디서 많이 들어 본 얘기 같다.
굵직한 사건이 벌어질 때마다 뉴스를 도배하는 건 유명 연예인들의 충격적인 소식들이다.
그 소식들에 가려져 정작 알아야 할 뉴스들이 소리 소문 없이 묻혀들어가고 알맹이 없는 가십거리들만 세간에 오르내리는 일련의 사건들을 자라면서 숱하게 보아왔다.

이 제0호를 읽으면서 머리털이 쭈볏거린다.
어른이라는 이름으로 자라나서도 나는 아직 무엇이 진짜 뉴스이고, 무엇이 가짜 뉴스인지 가려낼 혜안이 없다는 게 더 충격이었다.

나는 신문이 창간되지 않으리라고 확신 합니다.

도마니라는 이름을 가진 신문은 창간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신문이 1년 뒤 창간한다고 철석같이 믿고 있는 6명의 기자들은 시메이 주필에 의해 교묘한 기사를 만드는 일을 지시받는다.
하지만 늘 그렇듯 하지 말라 하는 일에 열과 성의를 다하는 이가 있게 마련이다.
브라가도초라는 기자는 기관 속에 은밀히 숨어서 막후에서 움직이는 조직에 대해 조사하겠다고 말한다.
나 콜론나는 그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미심쩍어 하지만 그가 조사해서 들려주는 이야기들이 전혀 사실무근은 아닐 거 같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아무 일도 일어날 거 같지 않은 아직 창간조차 하지 않은 이 신문사에 죽음이 드리운다.
브라가도초가 살해된 것이다.
브라가도초의 죽음으로 도미나는 그 즉시 해체된다.

뉴스란 새로 만들어 낼 필요가 없어요.
우리는 뉴스를 재활용하면 됩니다.
.
.
사람들의 기억은 짧아요.

 

 

90년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지금 이 시간대랑 너무나 다른 게 없어서 질릴 지경이다.
뉴스를 접하는 사람들의 태도도 문제지만, 뉴스를 만들어 내는 사람들의 자세도 매우 중요하다는 걸 깨닫는다.
뉴스를 관장하고, 뉴스를 파헤치고, 뉴스를 만들어 내는 사람들의 마음가짐이 어떤가에 따라서 뉴스의 질이 달라진다는 사실에 마음이 울적해진다.
하루에도 수천 건의 기사들이 온라인을 도배하고 있다.
그러나 그중에 진심으로 발로 뛰어 사건을 알아내고, 파헤치고, 진실을 담은 기사는 몇 건이나 될까?
과연 나는 그 기사를 보고 진실한 기사인지 알아낼 수 있을까?

정보의 홍수 속에서 진실을 가려내기는 힘들다.
그렇다고 알아내기 위한 자세를 멈춰 서는 안된다.
기사의 행간에 숨어있는 의도를 알아내야 하는 게 뉴스를 믿는 사람들이 해야 할 일이다.

내 눈을 흐리게 하는 정보들 속에서
올바른 정보를 찾아내는 힘.
그것을 길러야 하는 게 내게 주어진 숙제인 거 같다.

거장은
가는 걸음에도
그를 사랑하는 독자들에게
올바른 가르침을 숙제로 내주고 갔다...

그 숙제를 잘 풀어 내려고 노력하는 게 그를 기리는 일인 거 같다.

 

 

아무리 오래된 일이라도 가릴 것은 가리는 안목이 필요하다는 뜻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