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 여왕 백 번째 여왕 시리즈 2
에밀리 킹 지음, 윤동준 옮김 / 에이치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타의 족보 잘레를 지키고 하스틴에 의해 점령당한 타라칸트를 구하기 위해 칼린다는 데븐 일행과 함께 타렉의 아들 아스윈 왕자를 찾아 나선다.

운명의 신은 칼린다에게 어떤 운명을 할애했을까?
원하지 않는 자리에 오르기 위해 서열 토너먼트를 치러야 했지만 그런 잔인한 악습을 없애기 위해 칼린다는 토너먼트에서 서로 싸우지 않도록 자매들을 설득하고, 그들의 죽음에 진심 어린 애도를 표했다
피비린내 진동했던 결투장은 칼린다의 설득에 동조하는 자매들이 생기고 그녀로 인해 새로운 룰이 만들어지기를 바라는 마음들이 그녀를 응원하고 그녀는 킨드레드가 되었다.

하지만
운명은 그녀의 토너먼트를 멈추지 않았다.
자나단으로 피신한 아스윈을 찾았지만 아스윈의 킨드레드를 뽑는 각국의 공주들과 토너먼트를 치러야만 하는 칼린다.
원하지 않았지만 갖게 된 권력과 백성들에 대한 책임감, 그리고 자신의 자유를 얻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하기로 결정하는 칼린다.
그런 칼린다에게 접근하는 타렉과 똑 닮은 아스윈
칼린다와 떨어져 난민이 된 데븐 
이들은 모두 원하는 걸 얻을 수 있을까?

새로운 형식의 판타지
읽으면서 영화로 만들어지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화려한 결투 실외에도 볼거리가 풍성할 거 같은 배경이 이 이야기의 최대 장점이다.
그리고 주인공의 연약한 듯 강인한 의지가 돋보이고
땅. 바람. 물. 불의 힘을 가진 부타들에 대한 이야기도 특별하진 않지만 특별한 배경 때문에 더 빛나 보이는 소재가 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게 끝이 아니다.
세 번째 이야기 악의 여왕이 기다리고 있음이다.

불의 여왕에서 칼린다는 자신이 버너라는 부타의 힘을 가졌다는 걸 인정하고 그것을 이용하고 극대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한 사람의 군주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미치게 되는지 새삼 깨닫는다.
부타는 타렉에 의해 도륙을 당하고 그 명백한 이유를 얻기 위해 백성들에게 심어 놓은 부타에 대한 두려움과 증오심들이 무차별 살상과 이유 없는 거부감을 갖게 만든다.
그 모든 것은 단지 천명의 부타의 피를 얻어 악마를 소환하기 위한 타렉의 소원에서 비롯되었다는 걸 아무도 모른다.
그토록 지킬 것을 위해 싸웠으나
결국 잘레를 이용한 악마 소환은 이루어지고 타렉의 모습으로 변신한 악마는 세상을 파괴하기 위한 전진을 시작한다.

미약하기만 한 소녀 칼린다의 어깨에 지어진 무게가 너무 버겁다.
타렉이 심어 놓은 부타에 대한 증오심이 그녀에게 열광하던 백성들의 마음을 순식간에 돌변시켰다.
칼린다는 돌아선 그들의 안전을 위해 어디까지 희생할 수 있을까?
그녀는 데븐과 아스윈 두 사람 중에 누구를 택할까?

칼린다의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이 고달프다.
그저 사랑하는 이들과 평화롭게 살아가는 게 전부인 그녀에게 운명은 쉬어갈 틈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그녀의 선택은 언제나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바라보는 사람들을 위한 결정이다.
그것이 다음 편 악의 여왕에서 어떻게 이어질지 조바심이 난다.
아직 정체를 다 모르겠는 아스윈
남성성보다는 여성성이 더 강한 데븐
이 둘 사이에서 칼린다는 어떤 결정을 내릴지 나는 그것이 제일 궁금하다.
아직까지는 첫사랑 데븐에게 마음이 더 많이 있지만.
사랑은 움직이는 거니까.
나는 아스윈이 더 매력 있게 느껴지기에 데븐 보다 아스윈에게 한 표 던져본다.
재앙을 몰고 온 아스윈이지만 칼린다의 악마의 불을 잠재워 주는 제국의 희망이냐
지고지순하지만 약간 우유부단한 데븐이냐.

이 칼린다라는 여전사에겐 어떤 남정네가 더 어울릴지 짝 맞춰 보는 재미도 있다.
작가의 마음이 어디에 있던 나는 아스윈을 응원할란다!


내가 좋아하는 판타지
여자 주인공이 시련에 굴하지 않고
남자에게 의지하지 않고
자주적으로 삶을 개척해 나아가는 모습이 멋지다

내 어릴 땐 이런 이야기는 존재하지 않았다
남자의 그늘에서
남자의 도움을 받아
남자가 이끄는 대로
남자의 결정에 만족하며
남자에게 자신의 모든 걸 일임하고
남자의 선택만을 기다리던

그런 줏대도
자존심도
열정도
자존감도
주체성도 없는
그런 여자들에 대한 학습만이 난무했다

이 이야기를 많은 공주들에게 전하고 싶다
내 안의 힘을 결코 간과하지 말고 살라고
부당해도 안주하지 말고 칼린다처럼 맞서라고
그 용기에 반드시 힘을 보태주는 사람들이 꼭 있을 거라고
그러니 절대 나약을 미덕으로 삼지 말라고
말해주고 싶다.

때론
낯선 이야기 하나가
많은 걸
바꿀 수 있는 그런 힘을 가질 수 있다는 걸

이 책이 의도하는 바가 내가 느끼는 것과 다르더라도
결국 세상의 모든 작품은
그걸 보고
그걸 읽고
그걸 듣고
그걸 만지고
그걸 느낀 사람의 의도에 달렸다는 걸
그걸 말하고 싶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