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 - 대유행으로 가는 어떤 계산법
배영익 지음 / 스크린셀러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전염병...그냥 말만들어도 오싹한 기분이다. 게다가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라면 더 끔찍하지 않을까...? 지금 우리나라에는 구제역이라는 병으로 엄청난 수의 가축들이 병들고, 그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다른 가축에 병을 옮기는 것을 막기위해 안락사를 당하고 있었다. 얼마전 나는 TV로 이 광경을 보면서 눈물을 안흘릴 수가 없었다. 게다가 이기적인 생각이지만 이것이 사람이 당하는 일이 아니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어 조금은 안도감을 느꼈다고 해야할까...? 다만, 그 가축들을 키우는 주인들에게는 지금 상황이 끔찍하고, 슬픈 상황이겠지만 말이다. ㅠㅠ 

이 책의 저자는 정체불명의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침투하여 그것이 어떤 상황까지 만들어 내들어내는지 아주 생생하게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책을 읽는내내 긴장감과 묘한 불안함을 느꼈던거 같다. 이 책의 내용은 어떻게 보면 우리가 언젠가는 당할 수 있을법한 이야기라고 생각된다. 지구의 환경변화를 가장 먼저 느끼는 것은 인간이 아닌 동식물들이니깐 말이다. 이 책의 시작도 그러했다. 명태잡이 원양어선이 보다 많은 조업을 위해 빙하가 가득한 북태평양으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러다 냉동창고가 고장나고, 그 임시방편으로 주변의 빙하로 냉동고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그 빙하속에는 원인불명의 바이러스가 있다는 것을 모르고서 말이다. 결국 그 원양어선의 선장을 제외한 선원들은 모두 감염되고 만다. 그리고 그 멀쩡한 선장은 점차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숙주의 역할을 하게 되면서 주변으로 퍼지게 되는데...순간, 작년에 한창 유행했던 신종플루가 생각났던거 같다. 지금에야 신종플루에 걸려도 살수있는 방법이 생겼지만, 그때만해도 사람들이 여러명 죽었으니깐 말이다. 암튼, 이 책의 바이러스는 질병관리본부의 박사들에 의해 해결되기는 한다. 하지만 그 바이러스를 찾는 과정과 해결하는 방법은 엄청났다. 아마 실제였다고 해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을까 싶었다. 

'전염병'이라는 이책은 언젠가 우리에게도 이런 상황이 나타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몰입해 읽었던 책이었다. 물론 이런 바이러스가 와도 분명 우리는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은 들지만 그래도 묘한 불안감이 드는건 어쩔수 없는거 같다. 인간의 지식과 기술이 아무리 좋아져도 바이러스들 역시 진화된 상태로 우리에게 올테니깐 말이다. 영화 '바이러스'가 생각나던 책이었지만 이책도 영화나 드라마로 만들면 꽤 흥미롭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