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불온한가 - B급 좌파 김규항, 진보의 거처를 묻다
김규항 지음 / 돌베개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스로를 "B급 좌파"라고 규정하고 있는 김규항은 일선에서 활동하는 운동가도 아니요, 그렇다고 못난 현실을 뒷짐만 지고 바라보는 풍객도 못된다. 그러기에 그는 스스로를 "B급 좌파"라 정의 한다.
그는 사회진보주의자이면서 동시에 예수를 선전하는 신자이기도 하다. ‘진보’와 ‘예수’가 얼핏 반대 개념으로 비칠 수도 있지만, 그가 논하고 있는 예수는 ‘허울뿐인 관념에서 벗어나 실천적 행동’을 행하는 진보주의자로써의 관점이다.
‘진보’와 ‘예수의 행동’이 지닌 공통점은 ‘인간다운 삶’을 위한 행보이다. 그러기 때문에 ‘B급 좌파’ 혹은 ‘예수쟁이’가 그리고 있는 세상 읽기의 기본 틀은 인본주의를 벗어나지 못한다.
“자본주의적 이기심이 가장 인간적인 품성으로 추앙되고, 남을 누르고 빼앗는 능력이 사회적 능력으로 설명되는 세상에서 사람다운 사람의 유일한 조건은 공정함을 쫓는 것이라 나는 믿는다. 나는 아이들에게 공정함을 쫓는 습성을 길러주려 애쓴다.”
그래서인지 그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소 삐딱할지 몰라도 그 속에 배어진 사람의 냄새는 지워지지 않는다.

“인텔리들은 늘 뒤늦게 흥분하고 먼저 절망한다.” 그래서 “그들은 늘 ‘대중의’ 저력에 뒤늦게 흥분하고 ‘대중의 반동’에 먼저 절망하는 발작과 패닉의 끝없는 반복상태를 보인다.”
그를 B급 좌파로 남게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앞으로 나아가기를 거부한 지식층의 안일한 태도 때문이다. ‘자본과 권력의 음험한 욕망과 결합하여 강고한 지적권위주의’를 형성하고 있는 지식층에 그는 진보란 이름으로 딴죽을 걸고 있는 것이다.
“다른 세상을 꿈꾸는 일의 출발은 ‘다른 가치관’을 갖는 것이다. … 혁명은 한줌의 지배 계급이 차지하던 것을 공정하게 분배하는 세상’이 아니라 ‘남보다 잘 먹고 잘 사는 일 자체를 부끄러워하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혁명의 최종 목표는 ‘가치관’을 바꾸는 것이다.”
‘공정한 가치관’으로 세상을 풍요롭게 살수 있다면 좋겠지만 불행히도 세상은 ‘불합리한 공론’들이 머리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좌파 인텔리들마저 자식과 연결되는 문제에대해서는 ‘공정한 가치관’과는 ‘다른 가치관’을 갖고 있다.
“제 자식이 ‘진보적 엘리트’가 되길 바랄지언정 고등학교나 마친 노동자가 되길 바라는 좌파 인텔리를 본적이 있는가?”
가치 있는 삶을 위해 수십 년 간 쌓아 온 가치관을 바꾸는 일은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머리를 바꾸는 일은 자칫 사회의 몸뚱이마저 망가뜨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보는 서서히 그리고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결코 한 발짝도 밀려서는 안 된다.

고정된 가치관을 바꾸기 가장 쉬운 방법은 내 자녀를 스승으로 두는 길이다. 자녀의 시선만큼 자신을 따끔하게 만드는 채찍도 없다. 김규항은 열한 살 난 딸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을 발견하며 진화해 나가는 것 같다.
“딸은 단지 딸아들 하는 자식 중의 하나가 아니다. 딸은 한 남자가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 가장 정교하게 알아낼 수 있는 ‘삶의 시험지’다. 한 남자가 ‘딸에게 존경받는 인간’이 되려고 애쓴다면 그의 삶은 좀 더 근사해질 것이다.”
가치관은 바꾼다는 건, 세상을 바꾼다는 건, 존경받는 아버지가 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