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어떼가 나왔다 - 제10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
안보윤 지음 / 문학동네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를 가진 엄마라면 자신의 아이가 남들보다 조금 더 특별하기를 바란다. 방바닥에 어지러운 낙서를 보고서 예술적 재능을 점지하거나 일부터 열까지 숫자를 외는 것을 보고 산술적 재능이 있다고 기뻐하는 것이 모든 엄마들의 소박한 모습일 것이다.

<악어떼가 나왔다>(문학동네)의 아이 역시 남들과는 조금 다른 외형적 특성을 지녔다. S마트에서 사라진 아이의 배꼽 옆으로는 악어모양의 점이 있다. 아이의 엄마는 평소에 그 점을 좋아했다. 잃어버린 아이의 특징을 얘기할 때도 그 점을 떠올렸다. 아이의 실종사실이 뉴스를 타고 세상에 알려지면서, 엄마들의 세계에서는 자기 l아이들만의 문신이 유행처럼 번졌다.

특별한 아이, 특별한 문신은 결국 엄마들의 욕심이다. 문신의 유행으로 문신집과 사시병자들(휴우증으로)이 즐비한 안과만이 호황을 누렸다. 아이는 끝내 나타나지 않았고, 사건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아이는 뜻하지 않은 살인과 의도적인 자학으로 삶을 유지하는 한 가정 사에 끼어들었다. 희미해진 악어모양의 점처럼 앞을 알 수 없는 사람들의 삶은 고단하기만하다. 자신의 의지대로 살아가기에도 벅찬 세상은 그들의 삶을 흔들어 놓기까지 한다. 자신의 외모를 비관해 자학을 하는 C컵꽃띠나 우연한 칼놀림으로 살인자가 되어버린 그의 아버지는 이 시대를 특별날 것 없는 살아가는 ‘문신 없는’ 사람들이다.


“<악어떼가 나왔다>는 확실히 완성도라는 측면에서 약점이 있다. 우화 구성에 여기저기 부분적인 무리가 있고 문장이 거칠며 많이 다듬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강열한 작의와 거침없는 발상, 통쾌한 추진력, 그리고 이것들을 가지고 세상과 맞서는 태도가 좋게 보였고 자기만의 가능성을 폭넓게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느껴졌다.”는 문학평론가 성민엽의 말이 이 소설의 특성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