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코 이야기
요코 가와시마 왓킨스 지음, 윤현주 옮김 / 문학동네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요코 가와시마 윗킨스가 쓴 <요코 이야기>(문학동네)를 읽다보면 다카하타 이사오의 애니메이션 <반딧불의 묘>가 떠오른다. 두 작품은 전쟁 피해자의 입장에서 일본을 그렸다는 것과 순박한 아이들의 시점에서 전쟁을 바라보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일본의 유명한 문학상인 나오키상을 수상한 노사카 아키유키의 소설을 원작으로 만들어진 <반딧불의 묘>는 전쟁의 참상을 실란하게 묘사한 대작이다. 전쟁으로 고아가 되어버린 두 남매의 가슴 아픈 이야기를 통해 전쟁이라는 무모한 싸움을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요코 이야기>는 조금 다른 시선에서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조선의 북동쪽에 나남’이라는 마을에 살고 있는 요코는 일본인 아이이다.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자 요코의 가족은 일본으로 피난을 떠나게 된다.

 피난 도중 여자를 탐내는 조선인의 눈을 피하기 위해 요코와 언니는 머리를 짧게 잘라 남자로 위장을 하기도 하고, 요코의 오빠는 살육을 저지르는 인민군을 피해 가까스로 일본 땅을 밟아 그리운 가족들과 재회한다.

두 작품이 비슷한 관점으로 전쟁을 고발하면서도 전혀 다른 양상의 결과물을 보여주는 것은, <반딧불의 묘>가 전쟁의 최대 피해자는 결국 아이들이라는 사실을 일깨워주는 반면 <요코 이야기>는 자국의 패망이 아이들에게 피해를 줬다는 인상을 심어주기 때문이다.

소설 초반에 전쟁 물자를 회수하는 일본군의 모습 외에 전쟁 가해자인 일본군의 침략 묘사는 어디에도 없다. 오히려 가해자는 여자를 농락하거나 일본인을 살육하는 조선인 뿐 이다.

주인공 가족의 안타까움이 전쟁이라는 비극보다는, 일본이 항복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터져 나왔다는 사실이 안타깝게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