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을 넘어선 자본 리라이팅 클래식 2
이진경 지음 / 그린비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동안 문제가 되었던 그 시험(!)을 준비하느라 여유있게 책을 보지 못했다. 이 책도 지난 5월달 즈음에 사놓기만 하고 찔끔찔끔 책장을 넘기기만 하다가 이제서야 마지막장까지 넘길 수 있었다. 한동안 읽었던 책에 관한 리뷰를 꼼꼼히 했는데, 한동안 원하는 책을 읽지 못하다보니 리뷰를 정리할 필요성도 느끼지 못했다.

이진경. 예전에 [사사방(사회구성체론과 사회과학방법론)]이라는 걸출한 명저를 대학생 신분으로 발표해 운동권에 일대 파란을 일으켰던 그가, 그의 표현에 따르면 들뢰즈와 가타리를 거쳐 다시 맑스에게로 돌아왔다. 그리고 들뢰즈와 가타리로 향했던 것이 모두 다시 맑스에게로 돌아오기 위한 과정이었다고 말하는 이진경은 [사사방]에서와는 분명 다른 모습이다.

이 책을 통해 이진경은 '정치경제학 비판'이라는 부제를 단 [자본론]을, 부제에 충실하게 나름의 해석을 하고 있다. 보통 사람들이 맑스의 경제학을 정치경제학으로 분류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지적한다. 맑스의 경제학이 정치경제학처럼 보이는 것은 부제에 나타난 것처럼 '정치경제학을 비판'하기 위해 정치경제학의 방법론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맑스가 사용한 정치경제학 비판 방법은, 정치경제학의 논리적 허점을 메워 완전무결한 논리적체계를 갖추도록 정치경제학을 완성한 후에, 그 논리의 전제(공리)의 모순을 폭로하는 방법을 통해 정치경제학을 비판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맑스, 맑스의 경제학에 대한 나름의 해석 외에도 이진경은 맑스가 [자본론]을 쓰게된 목적과 당시 상황을 고려하고 현재를 반영하면서 맑스의 이론을 더 끌고나가려고 한다. 마치 맑스가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해 정치경제학을 밀고 나갔던 것처럼. [자본을 넘어선 자본]이라는 책 제목은 그래서 붙여질 수 있었던 것이다.

창조는 '처음'이라는 것 하나만으로도 의의를 가질 수 있지만, 그 극복은 창조의 부족함을 완성형으로 탈바꿈시켜야 한다는 의미에서 더 어려운 작업이다. 마찬가지로 이진경의 이번 작업은 그 자체가 [자본론]을 완성형으로 마무리 짓지는 못하더라도 완성형으로 나가는 한 걸음을 내딛기는 커녕 오히려 잘못된 지향으로 방향을 틀어놓았다게 다수의 평가인 듯 하다.

특히 '기계적 잉여가치'는 적잖은 사람들이 비판하는 핵심이다. 나조차도 기계적 잉여가치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할 수 없었다. 마찬가지로 그것을 비판하는 사람들의 논지 또한 정확히 이해할 수 없었다. 그러나, 그같은 이진경의 주장이 그다지 타당성 있어보이진 않는다.

오랜 시간을 끌며 책을 봤던 탓에, 역시 책 전반적인 흐름이 머리속에 남질 않아 밀도있는 책 이야기를 할 수 없음이 안타깝다. 단지, 이진경의 사유를 다시한번 따라가기 위해 언젠가 집중하여 다시 읽어봐야겠다는 다짐만 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