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神신 엄마가 만든다 - 수학으로 서울대 간 공신 엄마가 전하는 수학 매니지먼트 노하우!
임미성 지음 / 동아일보사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 자신이 수학 전공자이고 교직에 있던 사람으로서 시중에 나와있는 수학 교육서를 보면  

대부분 무지/오해/장삿속으로 인한 잘못된 내용을 담고 있었기에 

이 책에 합리적이라고 하는 평가는 무척 예외적인 칭찬이다. 

저자가 본인 자식만 기른 좁은 경험에 빠져 있는 사람이 아니고 

사교육 현장에 있으면서 많은 아이들을 겪어 보았고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교육관을 가지고 일에 임했음을 알수 있었으며 

그에서 나온 폭넓은 경험과 

고민과 지식에서 나온 합리적인 결론이 든든한 책이다.   

수학적 재능이 부족한 아이들 부터 

타고난 재능이 반짝반짝하는 아이들 까지 아이들의 편차가 굉장히 넓은데 반해 

대부분 아이를 잘기른 엄마들이 쓴 교육서를 보면 

자기 아이 하나만 이해하고 있는 좁은 경험으로 일반화한 글들이 대부분이며 그 오류를 일일히 지적하기 어려울 지경이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는 재능이 부족한 아이들을 이끌어주는 방법부터 

영재아들을 이끌어주는 방법까지  

편견없이 고민하고 경험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동의할 수 있었다. 

굳이 아쉬움을 꼽자면 

책 날개에 저자의 자제를 김용균 "공신" 이라고 표현한거 라든지 (공부의 신?) 

수학의 신 어쩌구 하는 오바스러운 제목인데 

마케팅 하려는 출판사의 의도인지 저자의 뜻인지 몰라도 

책을 살짝 의심하게 하였었다. 

다행히 내용은 충실하고 좋은 책이다. 적극 추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태준의 대만 여행기
현태준 글 사진 그림 / 시공사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대만을 사랑하고 잘 이해하고 있는 작가의 시선이 따뜻해서 좋았다. 

그러나 여행기로서도 여행 가이드로서도 내용은 많이 부실하다. 

저자의 귀여운 그림만 보려고 책 한권을 사기에는 아까웠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하철을 타고서 지원이와 병관이 1
고대영 지음, 김영진 그림 / 길벗어린이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도 내용도 좋은 책이고 한국적인 상황을 다뤘다는 점이 좋은 책이다. 

그러나 어린이 둘 끼리만 지하철을 타고 가라는 아이의 보호자를 절대 이해할 수 없는 설정이다. 

더욱이 큰 아이에게 작은 아이를 맡기다니.  

큰아이도 아직 어린데.. 

너무 무책임한 어른들 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구쟁이 ㄱㄴㄷ (양장) 사계절 그림책
이억배 글 그림 / 사계절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서 예상할 수 있듯이 

아이들에게 ㄱㄴㄷ 을 자연스럽게 소개하는 그림책이다. 

여러 책에서 자연스럽고 정감있는 이억배 씨의 그림이 

일상 생활을 배경으로 꼼꼼하게 생활을 묘사하여 

아이들이 자신과 쉽게 동일시 할수 있을 것 같다. 

기차 ㄱㄴㄷ 과 더불어 유아들에게 자음의 음감을 익혀주는 좋은 그림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 공황전야 (확장판) - 한국경제의 파국을 대비하라
서지우 지음 / 지안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증권회사에서 파생 금융 상품을 다루는 전문가인 내가 무척 흥미진진하게 끝까지 읽을 수 있었다. 

올해 경제상황이 안 좋아진 후 언론에 나오는 대부분의 기사는 지극히 무지하거나 주워들은 이야기를 논리도 없이 짜깁기한 기사였기에 

이렇게 정확한 지식을 바탕으로 논리를 갖추어 한국어로 쓴 글을 거의 처음 읽어봤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일단 저자의 현상 진단은 무척 정확해 보인다. 

대책까지 내놓는 노력을 기울인 점에 큰 박수를 보내고 싶다. 

가까운 미래 조차도 항상 예상외의 일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예측의 어떤 부분은 틀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가진 정보를 바탕으로 최선의 예측을 한다는 지식을 가진 자 로서 성실한 의무를 다한 저자에게 존경을 보내며  

나도 저자처럼 노력하고 시간을 아껴 써서 성과를 나누어야 겠다고 마음을 다잡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