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왕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소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마왕'이란 낱말은 범접할 수 없는 거대한 공포를 떠올리게 한다.
학창 시절 음악 시간을 떠올리면 마왕은 비교적 선명한 기억으로 남아있다. 워낙에 그런 이야기를 좋아해서 그런 건지 혹은 안도처럼 나역시 어디로도 손 뻗을 수 없는 절망과 두려움 때문이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작품 안에서 중요하게 등장하는 파시즘. 그 파시즘의 중심에 서려는 일본의 무솔리니 이누카이. 그러나 이누카이도 파시즘도 악이 아니다. 악은 무지하고 어리석은 대중인 것이다. 무지하고 어리석은, 생각없이 남 하는 대로 남 가는 데로 우르르, 자기 것은 하나도 없이 남의 깃털로 거죽만 꾸민 못난 까마귀같은 대중들이 바로 악이다. 그들이 파시즘을 만들고 전쟁을 조장하고 결국 자신의 무덤을 파는 것이다.
안도는 주문처럼 자신에게 말한다. "생각해, 생각해." 엉터리라도 좋으니 자신의 생각을 믿고 대결해 간다면 세상은 바뀐다고 믿는 사람이다. 세상이 바뀌고 안 바뀌고 보다는, 엉터리인지 아닌지 보다는, 자신의 생각을 믿고 대결해 나간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오늘 날 대중은 자신의 생각이 없다. 그러므로 믿을 수도 없고, 더구나 세상과 대결한다는 것은 꿈도 못 꿀 일.
대중이 모두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세상과 대결하는 상황도 생각해 보면 좀 고통스럽긴 하다. 그러나 우리는 너무나 모르고 너무나 속아 살고 있는 것이다. 보여주는 대로 볼 수밖에 없는, 던져주는 대로 받아 먹고 믿을 수밖에 없는 대중이란 말이다. '인터넷'이란 것이 세상을 정복한 지금, 대중은 더 어리석고 속여먹기 쉬운 존재가 되었다. 대중을 호도하고 봉기시키는 것은 너무나 간단하고 손쉬운 일이 되어 버린 것이다.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월드컵 거리 응원 등의 혼란과 광기가 가까운 예다. 나는 아직도 줄기세포 관련 문제의 진실을 알지 못하겠으며 광기로 가득했던 월드컵 거리 응원의 흥분이 두렵다.
활자를 통해 지켜 보고 있는 우리는 무솔리니와 클라라의 시체를 즐기는, 한치도 자신을 돌아보지 않는 대중의 어리석음에 혀를 차겠지만, 실상 내가 그 대중 안에 섰을 때 과연 어리석은 대중이 되지 않을 수 있을까. 치마를 올려주고 싶지만 두려움 때문에 떨기라도 할 수 있다면 다행이겠다. 어쩐지 나는 아무런 위화감없이 눈 앞에 벌어진 축제를 즐기는 어리석은 대중이 되어있을 것 같아 두렵다.
어리석은 대중이 되고 싶지 않다면, 오늘 아침까지 떠받들던 무솔리니가 처형되어 거리의 전시물이 되었을 때 그 시체에 돌을 던지며 웃고 야유하는 내가 되고 싶지 않다면, 알몸이 된 시체에 천 쪼가리를 둘러줄 수 있는 내가 되고 싶다면, 생각하고 생각하라. 보여주는 대로 보지 말고 떠들어대는 대로 믿지 말라.
마왕이 되는 것보다는 홀로 깨어있어 그 공포에 몸서리치는 쪽을 택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