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된 장난 마음이 자라는 나무 22
브리기테 블로벨 지음, 전은경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교실에 들어갔을 때, 나에게 말을 건네는 아이는 한 명도 없었다. 하지만 나는 여자아이들이 내 새 옷을 보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놀라워하는 아이들의 시선이 계속 느껴졌다. 부러움이라고 불러도 좋을 만한 시선이었다. 캘빈 클라인 티셔츠는 페리키타스의 시시한 블라우스나 에르메스 스카프보다 훨씬 더 세련되었다.
그날 나는 용기를 내어 운동장에 나갔다.
캘빈 클라인, 고마워. 반짝이 허리띠, 고마워…….

 

 

어젠가 읽은 인터넷 기사엔 같은 반에 있는 정신지체 학생의 사진을 맘대로 찍어 인터넷에 올린 어느 여학생이 등장했다. 상대의 밉게 나온 사진을 올린 후 친한 친구들끼리 비웃고 욕하고 뭐 그렇게 낄낄 깔깔 즐겁게 놀았던 모양이다. 이걸 본 어느 네티즌이 폐륜女 어쩌고 하면서 다른 사이트에 올려 일파만파, 학교는 사과를 하고 어쩌고 저쩌고. 딱 이 책이 떠올랐다, 『못된 장난』.

 

스베트라나 엄마의 조상은 예전에 러시아로 이주한 독일인이다. 이들은 '흑해 독일인'이라 불렸는데, 스베트라나와 엄마 그리고 새아빠는 최근 우크라이나에서 독일로 이주했다. 스베트라나의 엄마는 늘 조국을 그리워했지만 독일에서 그들은 '흑해 독일인'도 못되는 그냥 '러시아인' 혹은 '이방인'이라 불리며 사실상 '도둑'이나 '쓰레기'취급을 받는다. 그래도 스베트라나는 특유의 호기심과 노력으로 독일 명문 사립 에를렌호프 김나지움의 유일한 통학 장학생이 된다. 꿈꾸던 학교로 전학하며 품었던 스베트라나의 희망은 아이들의 지독한 따돌림으로 누더기가 된다. 노력이 필요없는, 아니 노력은 비웃음의 대상이 되는 '가진 자'의 세상에 '노력'으로 입성한 소녀를 김나지움의 학생들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들은 저 기사에 등장하는 너무도 어리석은 여학생처럼 스베트라나의 우스꽝스러운 사진이나 지저분하게 합성한 사진을 그들만의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려두고 깔깔 낄낄 즐겁게 놀았다. 물론 스베트라나에게 커뮤니티의 주소를 알려주되 읽는 것 외에 그 어떤 참여도 하지 못하도록 막아두는 것도 잊지 않는다. 아, 휴대전화 문자로 스베트라나를 모욕하는 것도 빠뜨리지 않는다. 그래서 스베트라나는 망가진다. 서서히.

 

스베트라나 그리고 그녀가 속한 세계의 모습이 어째 좀 '사립학교 아이들'이나 '꽃보다 남자'스럽지 않은가. 책을 읽으면서 사립학교 아이들의 그 여자애랑 꽃보다 남자의 금잔디가 문득 문득 문득 떠올랐다. 앞서 애기한 작품에서 왕자님이 등장하셨던 것처럼 학교의 왕자님이 여기에도 등장하는데, 아빠가 헐리우드의 유명 영화감독인 인도소년 라비가 바로 그런 동경의 대상이자 흠모의 대상이다. 라비가 학생 식당에서 따돌려져 밥을 못 먹고 난처해하는 스베트라나를 도와주면서 둘은 친구가 된다. 어째 진행도 점점 비슷해지는 거 같지? 그러나 이건 사립이나 꽃남같은 달콤한 이야기가 아니라 현실의 문제를 눈앞에 들이미는 좀 서글프고 안타까운 이야기다.

 

희망을 품었고 기대했고 노력한 스베트라나는 자신의 상황을 이해할 수도 없었고 인정할 수도 없었을 거다. 그래서인지 그녀는 보는 사람이 화가 날만큼 끝까지 노력한다. 그들 중 하나가 되기 위해서 말이다. 외면하는 애들한테 말을 걸고, 생일 파티에 초대받기 위해 자신에게 소중한 물건을 선물로 준비하고, 심지어 친구들이 비웃었던 옷차림을 바꾸기 위해 도둑질까지 하게 된다. 스베트라나는 노력한다고 생각했겠지만 그건 망가지는 과정이었다. 마지막 보루였던 라비의 믿음에 답해줄 수 없는 상황까지 몰리자 그녀는 다 놓아버린다. 스베트라나는 결국 자살을 선택한다. 철로 위에 누워 편해질 순간을 기다리던 그녀는 천운처럼 구조된다. 『못된 장난』은 스베트라나의 자살기사로부터 시작한다. 거봐, 달콤한 이야기가 아니랬잖아.

 

물론 김나지움 아이들의 비뚤어짐에 대해 이유를 찾는 장면도 나온다. 붕괴된 가정에서 부모들이 갖다 버리듯 비싼 사립에 내팽개친 아이들은 버림받았다는 생각에 상처받지 않으려고 갑옷을 두르고 괴물이 된다. 그들이 바라는 부모의 관심과 사랑 같은 걸 지닌 스베트라나에게 질투하기도 했고, 학업 성적이 좋은 노력파 스베트라나 때문에 초조하고 화가 나기도 했을 거다. 그렇다고 해서 스베트라나를 향한 그들의 행동이 이해받을 수는 없다. 살아가면서 더 절감하는 거지만 돈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세상은 진짜 천하다. 노력을 비웃고 가진자와 그렇지 못한 자를 전혀 다른 '것'으로 나눈다. 못 가진 자는 가진 자들 사이에서 더이상 인간일 수가 없다. 이건 아이들 사이의 왕따 문제를 다루는 듯 보이지만 결국은 '돈'을 섬기는 우리를 문제삼고 있다. 김나지움 아이들의 부모는 돈만 쳐다보고 사는 상류층이다. 가정을 지키지 못했고 자기 자식까지 돈으로 해결을 본다. 돈 주고 학교에 애를 완전히 맡겨버렸으니. 그런 부모를 비난하는 아이들도 결국 마찬가지다. 돈으로 친구들 사이에서 우위를 차지하려 하고 자신의 존재 의미를 거기서 인정받으려고 한다. 결국엔 자신들과 다른 가치를 지닌 친구를 모욕하고 망가뜨린다. 

 

이 작품에서 김나지움의 부잣집 아이들이 스베트라나를 괴롭히는 수단은 웹커뮤니티와 휴대전화 문자다. 이를 '사이버 스토킹'이라고 한단다. 앞서 언급한 기사를 봐도 알 수 있지만 우리의 학교 현실도 크게 다르지 않을 거다. 컴퓨터와 휴대전화는 아이들에게도 필수품이며 사이버 세상은 비밀스럽게 유지될 수 있으니 사이버 스토킹은 앞으로 더 심해지고 잔인해질 것이다.

 

스베트라나의 우직한 고군분투에 짜증이 날 지경이었지만 뭐 괜찮지 않겠는가. 그렇게 싸워가야 이노무 세상에 지지 않을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