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람의 화원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김홍도는 당대에 이미 그의 진가를 인정받아 벼슬까지 한, 그야말로 조선 화단의 별이었다. 그에 반해 신윤복은 오늘날의 평가가 무색할 정도로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그에 대한 기록이란 화원 출신 화가이며 부친인 신한평이 도화서의 유명한 화원이었다는 것이 전부다. 이 겨자씨보다 미미한 사실에 작가는 물을 주고 상상력이라는 거름을 덮어 『바람의 화원』이라는 화려하고 신비스런 꽃을 피워냈다.
『다빈치 코드』 이후로 '팩션'이라는 말을 더러 듣게 되었다. 역사적 사실이나 실존 인물의 이야기에 작가적 상상력을 더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결국 역사 소설과 크게 다를 것이 없다. 어쨌든 '팩션'이라고 불리는 이야기를 대할 때 어디까지가 팩트이며 어디까지가 픽션인가에 주목하는 경우가 있다. 허나 그것은 무의미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팩트가 담겼다 하나 그것은 이 픽션 안에서 모두 허구가 되어버린다. 고로 이 작품에서도 김홍도와 신윤복이 정말 사제지간이었을까 등과 같은 지엽적인 사실 여부에 머리를 갸웃하는 대신, 단 두 줄의 역사적 기록으로 이렇게 풍부한 두 권의 책을 엮어낸 작가의 상상력에 놀라고 즐거워하며 작가가 풀어놓는 이야기를 즐기는 것이 옳다고 본다.
김홍도는 도화서 내에서 벌어지는 권력 다툼에 몸을 섞기 싫어 생도청의 교수라는, 출세와는 거리가 먼 곳으로 물러나 있었다. 그리고 생도로 들어온 신윤복을 만났다. 그는 신윤복의 재능과 세상에 도도하게 맞서는 의기에 부러움과 질투를 느꼈다. 이들의 재능을 알아본 정조는 이들에게 각기 하나의 사건을 맡긴다. 김홍도는 10년 전에 있었던 그의 스승과 친구의 석연치 않은 죽음을 조사하게 되었고, 신윤복은 사라진 장헌세자의 어진을 찾는 임무를 명받았다. 살인 사건과 사라진 그림의 비밀을 밝히는 것이 이야기를 이끄는 줄기지만 이것은 그저 이야기를 끌어가는 역할을 할 뿐이다. 비밀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만나는 많은 인물과 허를 찌르는 이야기를 김홍도와 신윤복의 실제 작품과 연결시켜가는 작가의 상상력이 이 작품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이다.
『바람의 화원』에 등장하는 김홍도와 신윤복은 시대를 앞서가는 천재였지만 그 재능은 정당한 대접을 받지 못했다. 화인이 소비될 수밖에 없는, 천한 그들의 신세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이 작품의 주된 정서다. 김홍도의 작품 [무동]에 대한 이야기가 이를 가장 분명히 보여주는 부분이다. 작품에는 악공과 무동만이 존재한다. 윤복은 이에 의문을 느낀다.
"악공이란 본시 돈많은 양반들의 행차에 흥을 돋우는 자들이니 듣는 자가 있어야 비로소 존재합니다. 그런데 이 그림에는 어찌 악공들과 무동만 보일 뿐 연주를 듣는 자도 보는 자도 없습니까?"
그에 대한 김홍도의 대답에서 단순히 권력과 부를 과시하는 수단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었던 그들의 울분을 느낄 수 있다.
"저들이 누구를 위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흥에 겨워 북을 치고 피리를 불며 자신들의 신명으로 춤추기 때문이다. 돈많은 장사꾼들과 권세높은 양반들이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는 천한 광대가 아니라 스스로 흥을 풀어내는 예인들이지."
치밀하게 안배된 비밀들이 하나하나 모습을 드러내는 흥미로운 이야기다. 김홍도와 신윤복이라는 대가의 작품과 함께 얽힌 이야기는 더욱 빛이 난다. 화인으로서 울분을 담고 살 수밖에 없었을 김홍도와 신윤복의 상황과 감정의 묘사도 훌륭했다. 다만 주막을 주제로 한 김홍도의 그림을 독화하는 부분에서 오류가 있었고 문장에 지나치게 힘이 들어가 수식이 과하게 느껴졌던 부분들이 있어 아쉬웠다.
천재가 등장하는 이야기에는 당연하게도 凡人의 열패감이 드러나기 마련이다. 그런 범인의 모습은 평범한 독자에게도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천재를 앞에 둔 평범한 사람들이 어떤 절망과 패배와 질투와 선망을 맞보게 되는지 조금은 알 것 같다.